황경   절기  양력
315° 입춘 2/3~5
330° 우수 2/18~19
345° 경칩 3/5~6
춘분 3/20~21
15° 청명 4/4~5
30° 곡우 4/20~21
여름
45° 입하 5/5~6
60° 소만 5/21~22
75° 망종 6/5~6
90° 하지 6/21~22
105° 소서 7/7~8
120° 대서 7/22~23
가을
135° 입추 8/7~8
150° 처서 8/22~24
165° 백로 9/7~8
180° 추분 9/22~23
195° 한로 10/8~9
210° 상강 10/23~24
겨울
225° 입동 11/7~8
240° 소설 11/22~23
255° 대설 12/7~8
270° 동지 12/21~22
285° 소한 1/5~6
300° 대한 1/19~21

백로(白露)는 24절기의 15번째로 태양 황경이 165도가 될 때이다. 양력으로는 9월 7일 내지 9월 8일에 해당한다. 가을 기운이 완연하고 농작물에 이슬이 맺힌다 하여 백로라고 한다. 백로는 이슬을 아름답게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기후

편집
  • 밤에 기온이 떨어지고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등 가을 기운이 완연해진다.
  • 장마가 물러가고 맑은 날씨가 계속되지만, 간간이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으로 말미암아 곡식이 줄기째 부러지고 해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풍속

편집
  •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千石)을 늘인다"고 하여 백로에 비가 오는 것을 풍년이 들 조짐으로 보았다.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용어는 없다. 태양의 적위가 황경에 선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가 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의 날에서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의 이름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24절기를 현대 동아시아 전역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2. 스냅타임 동지는 천문현상…"기후변화와 관계없어" 이데일리. 2018년 12월 22일 (윤기한 기상청 예보관은 “24절기 중 천문현상을 반영한 절기인 동지, 하지(6월21일), 추분(9월23일)은 기상현상이 아니라 천문현상”이라고 말했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절기의 기상 특징이 퇴색했지만 동지와 하지, 추분은 절기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동지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하지는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아지면서 낮이 1년 중 가장 길다. 춘분은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춰 낮과 밤의 길이 같고 추분도 태양이 추분점을 통과하면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및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