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冬至)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다. 대개 팥죽을 먹는다. 양력에서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남회귀선, 곧 적도 이남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이다. 이때 태양은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데, 대한민국, 독일 등과 같은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추위는 대략 이 무렵부터 강력해지기 시작한다.

동지
공식이름동지(冬至)
다른이름작은설
형태한국 등 세계 각국의 전통 명절
날짜매년 12월 22일
행사팥죽 먹기, 귀신 쫓기

동지는 겨울의 중간 지점이자 1년 중 가장 추운 날로 여겨지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먼저, 이때는 지구 북반구에서는 겨울이지만, 남반구에서는 여름이므로, 지구 전체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려면, 12월 지점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1] 동지는 북반구에서 1년 중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날일 뿐[2], 1년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이 아니다. 대한민국에서 24절기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은 소한이다.[3]

동지날 태양지구의 위치

똥지똥죽

일출과 일몰

편집

지역에 따른 2013년 동지의 일출과 일몰 시각은 다음과 같다.[4]

지역 위도와 경도 일출 일몰 낮의 길이
서울 북위 37° 33′ 동경 126° 58′  / 북위 37.550° 동경 126.967°  / 37.550; 126.967 07시 43분 30초 17시 17분 25초 9시간 33분 55초
평양 북위 39° 02′ 동경 125° 45′  / 북위 39.033° 동경 125.750°  / 39.033; 125.750 07시 52분 40초 17시 18분 01초 9시간 25분 20초

기후

편집

동지 때 지구의 북반구는 완연한 겨울이 된다. 이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태양의 복사 에너지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북위 37도인 지역(서울, 강릉 등)에서 하지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라 한다면 동지에는 49% 정도이다.

관련 풍습

편집
 황경    절기   양력
315° 입춘 2/4~5
330° 우수 2/18~19
345° 경칩 3/5~6
춘분 3/20~21
15° 청명 4/4~5
30° 곡우 4/20~21
여름
45° 입하 5/5~6
60° 소만 5/21~22
75° 망종 6/5~6
90° 하지 6/21~22
105° 소서 7/7~8
120° 대서 7/22~23
가을
135° 입추 8/7~8
150° 처서 8/22~24
165° 백로 9/7~8
180° 추분 9/22~23
195° 한로 10/8~9
210° 상강 10/23~24
겨울
225° 입동 11/7~8
240° 소설 11/22~23
255° 대설 12/7~8
270° 동지 12/21~22
285° 소한 1/5~6
300° 대한 1/20~21

동지(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많은 곳에서 축제일, 또는 1년의 시작일로 삼았다.

한국의 풍습

편집

동지는 반드시 음력 11월에 들어서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 불렀다. 또한 동지를 작은설로 부르며 크게 축하했다. 민간에서는 동지에, 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처럼,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이것은 옛날에 동지 (옛날 서당은 이 날에 입학하였다.)를 정월(正月)로 삼은 풍속에 따른 것이었다.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전해진다.

  • 동지 팥죽 - 동지 때 쑤어 먹는 팥죽. 새알심을 넣어 쑨다. 옛날에는 동지를 큰 명절로 지냈으나 요즘은 제사를 모시지 않고 붉은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는다. 붉은팥죽은 옛날부터 액운을 막는 절기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서는 초상 때나 이사를 하였을 때에 액운을 막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 동지가 동짓달(음력 11월) 초승에 드는 “애동지[5]”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
    • 팥죽을 쑤어 조상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 동짓날 날씨로 새해의 농사를 점친다.
  • 달력을 선물로 보낸다.
  • 서당의 입학 날짜는 대개 동짓날이었다. 이는 동지 이후로 낮의 기운이 점점 커지므로 아이들이 학문을 깨우쳐 밝게 커 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서당의 입학식을 동지에 한 것이다.

종류

편집

애동지

편집

애동지는 음력 11월 10일까지 드는 동지로 아기동지, 오동지라고도 부른다. 윤달이 들어 있는 2006년2009년, 2012년, 2014년, 2017년, 2020년, 2023년 등이 애동지다.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팥시루떡, 시루팥떡을 해 먹는다.

중동지

편집

중동지는 음력 동짓달 중순(음력 11월 11일 ~ 11월 20일) 사이에 드는 동지이다.

노동지

편집

노동지는 음력 11월 21일 이후로 드는 동지를 뜻한다.[6]

실제 날짜

편집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태양이 동지점을 지날 때, 지구의 북반구는 겨울이고 남반구는 여름이다. 따라서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는 동지(冬至, extreme of winter)라는 표현이 적당하지만, 모든 지역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12월의 지점(December solstice)으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태양이 동지점에 위치하는 날을 동짓날이라고 하는데, 보통 12월 22일 또는 12월 23일경이기 때문이다.
  2.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는 "90°-위도+적위"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식을 통해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은 북위 37.5° 이므로,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는 춘분 (적위 0°) 일 때 +52.5°, 하지 (적위 +23.5°) 일 때 +76°, 추분 (적위 0°) 일 때 +52.5°, 동지 (적위 -23.5°) 일 때 +29° 로, 동지일 때 1년 중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가 가장 낮다.
  3.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기상청. 2021년 4월 30일 발간)의 46쪽을 보면, 1991년~2020년까지 최근 30년 평균기온에서, 동지는 3.5℃, 소한 0.8℃, 대한 0.9℃, 입춘 1.0℃ 로, 소한이 24절기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다.
  4. 일출과 일몰 시각 계산 페이지 Archived 2014년 10월 8일 - 웨이백 머신, 한국천문연구원
  5. 대개 윤달이 끼는 해의 동지가 애동지인 경우가 많다.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동지」, 한국학중앙연구원
  7.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용어는 없다. 태양의 적위가 황경에 선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가 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의 날에서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의 이름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24절기를 현대 동아시아 전역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및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