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종

황경 | 절기 | 양력 |
---|---|---|
봄 | ||
315° | 입춘 | 2/3~5 |
330° | 우수 | 2/18~19 |
345° | 경칩 | 3/5~6 |
0° | 춘분 | 3/20~21 |
15° | 청명 | 4/4~5 |
30° | 곡우 | 4/20~21 |
여름 | ||
45° | 입하 | 5/5~6 |
60° | 소만 | 5/21~22 |
75° | 망종 | 6/5~6 |
90° | 하지 | 6/21~22 |
105° | 소서 | 7/7~8 |
120° | 대서 | 7/22~23 |
가을 | ||
135° | 입추 | 8/7~8 |
150° | 처서 | 8/22~24 |
165° | 백로 | 9/7~8 |
180° | 추분 | 9/22~23 |
195° | 한로 | 10/8~9 |
210° | 상강 | 10/23~24 |
겨울 | ||
225° | 입동 | 11/7~8 |
240° | 소설 | 11/22~23 |
255° | 대설 | 12/7~8 |
270° | 동지 | 12/21~22 |
285° | 소한 | 1/5~6 |
300° | 대한 | 1/19~21 |
망종(芒種)은 24절기 중 하나로 벼나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때라는 뜻이다. 태양 황경이 75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6월 6일 전후다.
어원
편집망종(芒種)의 망(芒)은 벼처럼 까끄라기가 있는 곡물을, 종(種)은 씨앗을 말한다. 까끄라기 곡식을 뿌리기 적당한 계절이란 뜻이다.[1]
풍속
편집예로부터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다" "망종에는 햇보리를 먹을 수 있다"는 말이 있을 만큼 보리베기·모내기로 몹시 바쁜 시절이다.
또한 제사나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다.
[後漢書 卷85 東夷列傳 75,韓 ] [原文] ; 常以五月田竟 祭鬼神 晝夜酒會 群聚歌舞 舞이數十人相隨류地爲節 十月農功畢 亦復如之, (마한)해마다 5월에 농사일을 마치고 귀신에 제사지내는데 밤낮으로 술자리를 베풀고 떼를 지어 노래하고 춤춘다 춤출 때에는 수십 명이 줄을 서서 땅을 밟으며 장단을 맞춘다 10월에 추수를 마치고서도 이와 같이 한다
[晉書 卷 97 列傳 67 馬韓 ] [原文] ; 俗信鬼神 常以五月耕種畢 群聚歌舞以祭神 至十月農事畢 亦如之, 풍속에 귀신을 믿어 해마다 오월에 씨뿌리기를 마치고 떼를 지어 노래하고 춤추는 것으로 귀신에게 제사지낸다 10월에 이르러 농사일을 마치고서도 이와 같이 한다
[高麗史 卷 50 志 4 曆 宣明曆 上 ] [原文] ; 芒種五月節 離六三 螳螂生 鵙(격)始鳴 反舌無聲, 망종(芒種)은 5월 절기이다 괘(卦)는 리(離) 육이(육(六二)이다 초후에 사마귀가 생겨난다 차후에 왜가리가 울기 시작한다 말후에 반설새가 울지않는다
[高麗史 卷 51 志 5 曆 授時曆 上] [原文] ; 五月 芒種五月節 夏至 五月中 螳螂生 鵙(격)始鳴 反舌無聲 鹿角解 蜩始鳴 半夏生, 망종(芒種)은 5월의 절기(節氣)이며 하지(夏至)는 5월의 중기(中期)이다 사마귀가 생겨나고 왜가리가 울기 시작한다 반설새는 울지 않으며 사슴이 뿔을 간다 매미가 울며 반하가 나기 시작 한다
[ 漏籌通儀 (물시계)] 하지후 6일이 하지이후(夏至二候)이고 하지 전6일이 망종삼후(芒種三候) 인데 그 주야의 각분이 상등하고 상대하므로 제36전(箭)을 함께쓴다 나머지 절후도 다 이와 같다, (누주(漏籌)=물시계,24기(氣)를 72후(候)로 세분,金泳이 敎命을 받들어 저술,[書雲觀誌])
[ 朝鮮王朝實錄(文宗朝) ] 예조에서 아뢰기를 “이제 농사철을 당하여 비가 때를 어기니 청컨대 오는 5월 초 1일에 기우제를 시행하소서”하니 승정원에 전교하기를 “대저 망종(芒種) 이후 하지(夏至) 이전 10일 안에 비가 내리면 이것을 때맞은 비라 하는데 요 몇해에는 매양 4,5월 사이에 비가 오지 않을 때 마다 기도를 행하였다, 이제 비록 비가 내리지 않으나 어찌 이를 가뭄이라 할수 있 겠는가 아직 천천히 하는 것이 어떠한가 하였다 (문종실록 7 ; 19 가 원년4,갑오26)
기타
편집각주
편집- ↑ 김상철 (2001년 6월 8일). “그림으로 보는 24절기”. 농민신문. N7면.
- ↑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보관됨 2023-12-09 - 웨이백 머신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용어는 없다. 태양의 적위가 황경에 선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가 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의 날에서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의 이름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24절기를 현대 동아시아 전역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 ↑ 스냅타임 동지는 천문현상…"기후변화와 관계없어" 이데일리. 2018년 12월 22일 (윤기한 기상청 예보관은 “24절기 중 천문현상을 반영한 절기인 동지, 하지(6월21일), 추분(9월23일)은 기상현상이 아니라 천문현상”이라고 말했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절기의 기상 특징이 퇴색했지만 동지와 하지, 추분은 절기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동지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하지는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아지면서 낮이 1년 중 가장 길다. 춘분은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춰 낮과 밤의 길이 같고 추분도 태양이 추분점을 통과하면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및 링크
편집-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월별 천문현상 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만 절입시각이 표기돼 있고, 나머지 20개의 절입시각은 표기돼 있지 않다. (이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11월쯤에 발행하는 역서, 천문력(벽걸이용, 탁상용)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역서, 천문력(벽걸이용, 탁상용)은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다. (무료 아님)) 단,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달력자료(월력요항) → 달력자료 에서는 나머지 20개의 절입시각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은 시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