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네오오랑우탄

보르네오 오랑우탄(Pongo pygmaeus)은 보르네오섬에 서식하는 오랑우탄의 종이다. 약간 더 작은 수마트라오랑우탄과 함께 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유인원이다. 보르네오오랑우탄의 수명은 야생에서 약 35~40년 정도이고, 최대 60년까지 산다. 고릴라, 수마트라오랑우탄 다음으로 몸집이 큰 유인원이다.

보르네오 오랑우탄
보르네오 오랑우탄
보르네오 오랑우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과: 사람과
아과: 오랑우탄아과
속: 오랑우탄속
종: 보르네오 오랑우탄
(P. pygmaeus)
학명
Pongo pygmaeus
Linnaeus, 1760
보전상태


위급(CR): 절멸가능성 극단적으로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아종

편집

최근까지 지리적으로 고립되었던 보르네오오랑우탄 개체들 사이에서, 유전자 이동이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 보르네오오랑우탄과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약 150만년에서 170만 년 전에 두 종이 나뉘었다. 이것은 두 섬(보르네오섬수마트라섬)이 분리되기 전에 일어난 일이다. 두 오랑우탄 종은 침팬지보노보보다는 더 먼 친척뻘이 된다. 그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종의 오랑우탕은 최근인 1996년이 되어서야 mtDNA 기술의 도움으로 아종을 분류했다.

보르네오오랑우탄은 3종류의 아종이 있다:

  • 북서보르네오오랑우탄(P. p. pygmaeus) — 사라왁주(말레이시아)와 북서 칼리만탄(인도네시아)
  • 중부보르네오오랑우탄(P. p. wurmbii) — 남서 칼리만탄과 중부 칼리만탄(인도네시아)
  • 북동보르네오오랑우탄(P. p. morio) — 동 칼리만탄(인도네시아)과 사바주(말레이시아)

습성

편집
 
덴마크 올보르 동물원의 새끼 오랑우탄.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수마트라오랑우탄만큼 군집생활을 하지는 않는다. 서로 중첩되는 세력권을 가진 두 세 마리의 오랑우탄은 짧은 기간 동안 상호 작업을 할지도 모른다. 새끼들은 다른 유인원과 비교하여 더 길게 새끼 시절을 갖는 데, 약 8~9살이 될때까지 어미와 함께 머문다.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 더 육상생활을 한다. 이는 보르네오섬에서는 수마트라섬에서처럼 수마트라호랑이, 승냥이와 같은 육식동물을 피할 필요가 없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가설이 세워져 있기도 한다. 다만 인간을 제외하고는 천적은 바다악어, 말레이가비알 뿐이다.

음식

편집

보르네오오랑우탄이 먹는 음식은 어린 가지, 나뭇가지, 무기질의 거름과 새알뿐만 아니라 과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는 더 좁은 범위지만 곤충들도 먹는다.

현황

편집

보르네오오랑우탄은 야생에서 약 45,000 개체가 존재하여, 수마트라오랑우탄 보다 더 흔하다.: 수마트라오랑우탄은 야생에서 약 7,500 개체만이 남아 있다. 오랑우탄은 부쉬미트로 거래되고, 어미는 죽임을 당하여 새끼는 포획되어 애완용으로 팔리기도 하고, 서식지의 파괴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각주

편집
  1. Ancrenaz, M.; Gumal, M.; Marshall, A.J.; Meijaard, E.; Wich, S.A.; Husson, S. (2016). Pongo pygmaeus. 《IUCN 적색 목록》 (국제 자연 보전 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16: e.T17975A17966347. doi:10.2305/IUCN.UK.2016-1.RLTS.T17975A17966347.en. 2016년 9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