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블라스틴

화학요법 약물

빈블라스틴(Vinblastine) 또는 상표명 벨반(Velban)은 화학요법 약물로, 여러 유형의 을 치료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된다. 치료 질병에는 호지킨 림프종, 비소세포폐암, 방광암, 뇌암, 흑색종고환암이 있다. 정맥 주사로 투여된다. 세포 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작용한다.

빈블라스틴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다이메틸(2β,3β,4β,5α,12β,19α)-15-[(5S,9S)-5-에틸-5-하이드록시-9-(메톡시카보닐)-1,4,5,6,7,8,9,10-옥타하이드로-2H-3,7-메타노아자사이클로운데시노[5,4-b]인돌-9-일]-3-하이드록시-16-메톡시-1-메틸-6,7-다이디하이드로아스피도스퍼미딘-3,4-다이카복실레이트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865-21-4
ATC 코드 L01CA01
PubChem 241903
드러그뱅크 DB00570
ChemSpider 211446
화학적 성질
화학식 C46H58N4O9 
분자량 810.989g/mol
SMILES eMolecules & PubChem
유의어 빈카류코블라스틴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간 (CYP3A4 매개)
생물학적 반감기 24.8시간 (최종)
배출 담즙 및 콩팥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D(오스트레일리아)D(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정맥 주사

1958년에 분리되었다. 주류 의약품으로 개발된 천연 약초 치료제의 예로, 원래 일일초(Catharanthus roseus)에서 얻었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1]

약리학

편집

빈카 알칼로이드로, 빈크리스틴과 화학적으로 유사하다.[2] 튜불린 중합을 억제한다.[3] 빈블라스틴, 블레오마이신, 메토트렉세이트 (VBM) 화학요법은 초기 호지킨 림프종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4]

작용 기전

편집

낮은 농도에서 미세소관 역학을 억제하고, 높은 농도에서 미세소관의 마이너스 말단과 중심체의 부착을 불안정하게 해 미세소관 파편을 생성한다.[5]

약물동태학

편집

P-당단백질과 결합해 뇌 흡수가 제한적이다.[6]

부작용

편집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간의 부작용을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감각 변화, 변비, 쇠약, 식욕 부진, 두통을 유발한다.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낮은 적혈구 수와 호흡곤란이 있다. 세균 감염이 있는 사람에게 투여해서는 안 된다. 임신 중에 사용하면 아기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부적절한 투여로 정맥에서 빠져나오면 광범위한 조직 손상과 수포를 일으킬 수 있다.[7]

분리 및 합성

편집

일일초는 빈블라스틴의 유일한 생물학적 생산자이나, 생합성 경로는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8] 실험실에서 빈블라스틴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샤플리스 에폭시화를 통해 C20의 입체화학을 정하고, 연이은 반응으로 C16과 C14의 입체화학을 확립한다. 합성법의 전체 수율은 22%이다.[9]

역사

편집

로버트 노블과 찰스 비어는 일일초에서 처음 빈블라스틴을 분리했다. 빈블라스틴의 화학요법제로서의 가능성은 일일초의 항당뇨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동물에 식물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제시되었다.[10] 1965년에 FDA 승인을 받았다.

각주

편집
  1. 세계보건기구 (2023).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23: web annex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3rd list (2023)》. 세계보건기구. hdl:10665/371090. 
  2. Ravina E (2011). 《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 1판. Wiley-VCH. 157쪽. ISBN 9783527326693. 
  3. Altmann KH (2009). 〈Preclinical Pharmacology and Structure-Activity Studies of Epothilones〉. Mulzer JH. 《The Epothilones: An Outstanding Family of Anti-Tumor Agents: From Soil to the Clinic》. 슈프링어. 157–220쪽. ISBN 9783211782071. 
  4. Gobbi PG, Broglia C, Merli F, Dell'Olio M, Stelitano C, Iannitto E, 외. (2003). “Vinblastine, bleomycin, and methotrexate chemotherapy plus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early-stage, favorable Hodgkin lymphoma: the experience of the Gruppo Italiano Studio Linfomi”. 《Cancer》 98 (11): 2393–2401. doi:10.1002/cncr.11807. hdl:11380/4847. PMID 14635074. S2CID 21376280. 
  5. Yang H, Ganguly A, Cabral F (2010). “Inhibition of cell migration and cell division correlates with distinct effects of microtubule inhibiting drug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5 (42): 32242–32250. doi:10.1074/jbc.M110.160820. PMC 2952225. PMID 20696757. 
  6. Tsuji A (1998). “P-glycoprotein-mediated efflux transport of anticancer drugs at the blood-brain barrier”. 《Ther Drug Monit》 20 (5): 588–90. doi:10.1097/00007691-199810000-00024. PMID 9780140. 
  7.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Vinblastine”. 《Drugs.com》. 
  8. Zhu J, Wang M, Wen W, Yu R (2015). “Biosynthesis and regulation of terpenoid indole alkaloids in Catharanthus roseus”. 《Pharmacognosy Reviews》 9 (17): 24–28. doi:10.4103/0973-7847.156323. PMC 4441158. PMID 26009689. 
  9. Kuehne ME, Matson PA, Bornmann WG (1991). “Enantioselective Syntheses of Vinblastine, Leurosidine, Vincovaline, and 20'-epi-Vincovalin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56 (2): 513–528. doi:10.1021/jo00002a008. 
  10. Noble RL, Beer CT, Cutts JH (1958). “Role of chance observations in chemotherapy: Vinca rosea”.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76 (3): 882–894. Bibcode:1958NYASA..76..882N. doi:10.1111/j.1749-6632.1958.tb54906.x. PMID 13627916. S2CID 34879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