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Ha98574/2011년 4월

Min's 토론 문서
Min's 토론 문서
 2011년 4월 
새로 고침

민들라미

민들라미는 초등학생(한 4학년쯤)인 초보관리자인데도 언행을 올바르게 안하는 찌질이. 2001년 7월 5일 출생으로 밝혀짐. 서울에 삶. —이 의견을 2011년 4월 1일 (금) 21:04 (KST)에 쓴 사용자는 Lsk2027(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현재 사용자 문서는 다른 사용자분께서 생성한 것입니다만.. 더 이전의 문서의 판으로 돌려주세요. 제가 뭐라 할 상태는 아니지만.. --SVN Ta.】【Con. 2011년 4월 1일 (금) 22:00 (KST)

요청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과거의 역사도 함께 복원되었으니, (과거에 특정판 삭제를 요청했던 판을 제외한 이후 역사) 그냥 과거의 역사로 복원하시면 됩니다. --Min's (토론) 2011년 4월 1일 (금) 22:53 (KST)
역사를 합친 것을 참조하지 못했군요. 어쨌든 감사합니다. --SVN Ta.】【Con. 2011년 4월 1일 (금) 22:56 (KST)
더불어 사용자:SEVEREN/파이어폭스, 사용자:SEVEREN/바벨, 사용자:SEVEREN/반스타, 사용자:SEVEREN/vector.js, 사용자:SEVEREN/common.js, 사용자:SEVEREN/토론, 사용자:SEVEREN/생성 문서도 복구해 주셨으면 합니다. --SVN Ta.】【Con. 2011년 4월 1일 (금) 22:58 (KST)
복원 완료했습니다. /반스타는 원래 없었던 문서라서 복원할 편집판이 없네요. --Min's (토론) 2011년 4월 1일 (금) 23:27 (KST)
조금 더 죄송하게 되었네요. 사용자:SEVEREN/반스타 및 도장이군요.. --SVN Ta.】【Con. 2011년 4월 1일 (금) 23:28 (KST)
복원했습니다:) --Min's (토론) 2011년 4월 1일 (금) 23:29 (KST)

안녕하세요.

제가 썼는데, 고친 것은 문서 주제에 만맞는 내용이 있는 것 같아서요. 이유을 발히지 않은 이유는, 위키 백과의 규칙에 대해서 아신다면 제가 고친 버전이 위키 규격에 더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문서 쓸대 쓸 내용이 없어 칸 좀 채우려고 상관없는 내용도 다 집어 넣습니다. 근데 별로 의미 없는 내용인거 같아서 편집했습니다. 수고하세요. —이 의견을 2011년 4월 5일 (화) 02:31 (KST)에 쓴 사용자는 119.149.150.222 (토론 | IP 정보)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렇군요. 수고 많으시네요:) --Min's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2:34 (KST)

그레이터맨체스터 주

요크셔 주[1], 노퍽 주[2], 더럼 주[3], 데번 주[4], 랭커셔 주[5], 링컨셔 주 [6], 버크셔 주 [7], 서퍽 주 [8], 에식스 주[9], 컴브리아 주[10], 케임브리지셔 주[11], 콘월 주[12] 모두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준어로 등재되어 있는 영국 잉글랜드의 '주'의 입니다. 마찬가지로 그레이터맨체스터 주[13]도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준어로 등재되어 있는 영국 잉글랜드의 '주'입니다. en:Template:England counties(틀:잉글랜드의 주), en:Counties of England(잉글랜드의 주), en:Category:English county location map templates(잉글랜드의 주 위치 지도 틀) 모두 Greater Manchester가 잉글랜드의 '주'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용자 Jyusin의 근거없는 억지 주장으로 영문 위키의 모든 내용과 표준국어대사전, 외래어표기법, 한국어 위키백과의 잉글랜드 주 표기 전부를 무시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것입니다. 그레이터맨체스터 주을 올바르게 이동 바랍니다.--777sms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7:16 (KST)

Greater Manchester를 '그레이터 맨체스터'라고 하는게 근거없는 억지주장인가요? Counties of England에 City of Bristol, City of London도 있군요.--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7:44 (KST)
Jyusin님이 그레이트맨체스터 주 문서 제목을 '그레이트 맨체스터'로 띄어 쓰자고 문서 변경 요청을 하였는데, 그 근거로 제시한 두산백과사전 그레이터맨체스터[14]와 브리태니커백과 그레이터맨체스터[15]는 모두 붙여쓰기하고 있습니다. 주장의 근거가 없는 것도 모라자 문서 제목을 '그레이트 맨체스터'로 띄어 쓰자고 하면서 자기 주장의 출처로 붙여쓰기 한 두산백과와 브리태니커 백과를 근거로 제시하여 오히려 자신의 주장과 반대되는 출처를 제시하는 것을 보면서 "이건 뭐하자는 거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황당하기까지 하더군요.--777sms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9:37 (KST)
띄어쓰기 하는것이 뭐가 그렇게 황당한가요? 님이 맘에 들지 않으니까 그렇게 느끼는거 아닌가요? 다른 백과사전은 위키백과처럼 띄어쓰기를 엄격하게 하고 있지도 않습니다.--Jyusi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09:42 (KST)

넘겨주기에 대한 문의

기존에 비슷한 문서가 있을 경우 새 문서 추가는 불가능 한건지요? 스포티지R Turbo GDI 문서를 작성하였습니다만, 기존의 스포티지 문서로 넘겨주기 하셔서 문의드립니다. --Xeon (토론) 2011년 4월 5일 (화) 18:05 (KST)

다른 차종 문서를 참고하여 넘겨주기하였습니다. 해당 분야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그 동안 관습적으로 만들어져온 문서들을 보니 모든 자동차의 각 모델별로 각각의 문서로 만들지 않고, 관련 브랜드(?) 끼리 모아서 서술하는 것 같더군요. 해당 분야에 대해 잘 몰라서 뭐라고 답변드리기가 그렇네요. 관련 토론 문서에서 다른 사용자와 토론해보세요. --Min's (토론) 2011년 4월 6일 (수) 21:30 (KST)

멕시코 시

멕시코 수도의 정식 명칭은 'Ciudad de México'인데 이것을 영어로 번역하면 멕시코시티가 되고 한국어로 번역하면 멕시코 시가 됩니다.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이므로 한국어 번역명칭인 멕시코 시를 쓰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Commurist (토론) 2011년 4월 6일 (수) 21:15 (KST)

의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곳에서 이야기하는 것보다 토론:멕시코 시에서 다른 사용자와 함께 의견을 나누도록 합시다. 해당 토론 문서에서 의견주세요:) --Min's (토론) 2011년 4월 6일 (수) 21:30 (KST)

주기여자분들께 말했는데도 셋 다 아무 말도 없네요. 민스 님이 참여해 주시거나, 저 문서 다 지워 주셔도 됩니다.--Saehayae (토론) 2011년 4월 10일 (일) 19:37 (KST)

네, 알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Min's (토론) 2011년 4월 10일 (일) 19:38 (KST)
이제 지워도 될 것 같습니다. 알토님이 닫아주셨네요.--Saehayae (토론) 2011년 4월 14일 (목) 23:45 (KST)
네,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1:22 (KST)

며칠 전에 왜 사용자 문서와 토론이 다르다고 하지 않으셨습니까? 제가 한림으로 개명했습니다. 참조해주시고 더 이상 이곳에서 해 주지 마시고, 이곳으로 써 주시기 바랍니다. --한림 불평과 건의 2011년 4월 10일 (일) 22:54 (KST)

계정명을 바꾸셨으면 바꾸신 계정명으로 활동하셔야죠. 실제 활동하시는 계정명과 다르면,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토론에 글을 적어도 바뀐 사실에 대해 알림창이 뜨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고 다른 사용자들로 하여금 혼란을 줍니다. 실제로 제가 예전에 아이스하키 틀과 관련하여 사용자토론에 글을 남겼지만 한림 님이 다른 계정으로 활동하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활동하시는 계정명과 달라 바로 확인을 하시지 못해서 답변을 못하셨습니다. 사용자토론에서 사용할 계정과 실제로 편집에 활동하시는 계정을 통일해주세요. -- Min's (토론) 2011년 4월 10일 (일) 23:00 (KST)

사용자문서

수고가 많으십니다 바쁘시지 않으시면 제 사용자문서를 삭제 해주시면 안되겠습니까? 삭제신청을 했는데 아직도 삭제가 되지 않아 직접 문의드려 봅니다.--Nhero2006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16:31 (KST)

네, 삭제했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17:15 (KST)
 완료 수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hero2006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17:25 (KST)

48/2(9+3) 문서에 대해

백괴사전의 사용자:아라/48÷2(9+3) 에다가 48/2(9+3) 문서의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백괴사전의 48÷2(9+3) 문서를 보충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아라다 알아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21:02 (KST)

삭제된 48/2(9+3) 문서의 내용을 백괴사전에 복구해달라는 요청이신가요? 백괴사전은 위키백과와는 관련없는 별개의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백괴사전에 복구해드리기는 힘듭니다. 다만, 백괴사전에서의 작업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일시적으로 복구해드릴 수는 있습니다. 필요시 이곳에 요청해주시면 됩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21:34 (KST)
그렇다면 위키백과에 사용자:Godnew3/48÷2(9+3) 에 복구시켜 된다는 건가요? --아라다 알아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21:49 (KST)
백괴사전에 이용하시려고 요청하신 것 아니신가요? 백괴사전 때문에 기존에 삭제된 내용이 필요하시다는 말씀이시라면 일시적으로 '48/2(9+3)' 문서를 '48/2(9+3)' 문서에 복구해드릴 수 있으니, 한국어 백괴사전에서의 이용 등 Godnew3 님의 필요에 따라 이용하시면 됩니다. 백괴사전은 위키백과와 전혀 상관없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관리자의 기능 및 권한을 이용해서 직접적으로는 이동할 수는 없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21:57 (KST)
좋습니다. 옮기고 나서 바로 삭제 신청하겠습니다. --아라다 알아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22:09 (KST)
임시로 복구하였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의 컨텐츠를 다른 곳에 이용하실 때에는 한국어 위키백과의 라이선스 정책(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을 유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1년 4월 11일 (월) 22:19 (KST)
옮겼으니 삭제해주세요. --아라다 알아 (토론) 2011년 4월 11일 (월) 22:19 (KST)


제 문서에 대해

안녕하세요. 지적하신 말씀은 충분히 공감합니다. 다만, 유의미한 내용이라 생각되어서 기존 내용을 참조해서 다시 백과사전에 올리고 싶은데, 어떻게 볼 수 있을지요. 기존 내용을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초과이익공유제, 전월세상한제 두 문서입니다. Exomu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1:06 (KST)

해당 내용들이 삭제되어 저도 아깝더군요. 시스템상으로 일시적으로 복구하는 기능이 있긴 하지만 비자유 저작물이 그대로 복사된 부분들이 많아서 일시적으로 복구하기는 힘들고, 다시 작성하시는데 참고하시기 위해서라면 제가 이메일로 삭제된 내용에 대해 작성하셨던 내용을 비공식적으로 보내드릴 수 있습니다. 아직 이메일 주소가 등록되지 않은 상태이시라면 특수기능:환경설정에 이메일을 등록하신 후 이곳에 말씀해주시면 제가 이메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공개하지 않고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11:26 (KST)

이미 이메일은 등록되어 있습니다. 부탁드립니다. 배려 감사합니다 Exomu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21:22 (KST)

두 차례에 나눠 요청하신 내용에 대해 그대로 전송하였습니다. 편집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5일 (금) 23:08 (KST)


감사해요...^^ 문제 안 되게 잘 편집하겠습니다...^^ Exomu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0:57 (KST)

남겨주신 말에대한 답변

그럼 KBS EBS MBC SBS 이 4개방송사는 왜 로고가 올라가있는 것이고 다른방송사는 제한된것인지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해주셨으면 하네요. 다른방송사의 로고는 현재 올릴수 없는건가요. 아니라면 말씀해주신대로 다른 언어 위키에는 올릴수 있다는 얘기인가요..?Lightstar77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9:05 (KST)

답변에 혼란을 주어 사과드립니다. 삭제할 때 이런 식으로 방송사의 고유의 로고를 포함한 로고로 착각했었네요. 고유의 로고가 제외된 말씀하신 4개의 로고 파일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관리하는 파일이 아니라,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려진 파일로, 상표법과 관련하여 이용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매우 단순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독창성이 있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에 퍼블릭 도메인으로 보고 올려져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살펴보니 독창성이 있다고 보기 힘든 파일들로 모이네요. 마침 찾아보니 관련 토론이 파일토론:Lawnb.jpg에 있네요. 일단 다시 한번 살펴보고 복원토록 하겠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9:12 (KST)
참고로 저도 용어 사용에 좀 착오가 있었던듯 합니다. 로고가 아니라, 정확히 말해서 CI네요. 그럼 말씀하신 대로라면 해당 파일을 문서에 사용해도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제가 이런 저작권에 관한 내용들을 잘 알지 못하는 편이라 어떻게 행동해야할지 잘 모르겠는데, 그럼 어느선까지 제한되는것인지 알고싶은데 간단하게라도 조금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Lightstar77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9:25 (KST)
한국어 위키백과를 비롯한 위키미디어 재단의 프로젝트는 특정 국가에 속한 프로젝트가 아닌 전세계적(글로벌)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로고, CI, 문양 등을 비롯하여 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에 대해 법률적 해석과 기준이 분명하지는 않습니다. 법률적인 해석과 그 기준을 명확하게 규정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지만, 그마저도 특정 한 국가가 아니라 여러 국가의 법률적인 문제 요소에 대해서도 살펴봐야 하고요. 이 때문에 같은 자매 프로젝트라도 각 프로젝트마다 그 기준이 조금씩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영어 위키백과처럼 논의된 인용 지침에 따라 비자유 저작물(non-free media)임을 표시하고 제한적으로 인용하는 곳도 있는가 하면, 독일어 위키백과의 경우 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을 금하고 있지만 로고, CI, 문양에 창작성 여부에 대한 기준을 높여 인용하는 경우도 있고요. 아직까지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준을 통과해야만 로고로서 인용할 수 있다는 기준은 없습니다. 기존에 올려진 파일들과 비자유 저작물들을 올려놓고 자매 프로젝트간 파일을 공유하며 이용하는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려진 기존의 파일들을 참고해보면서 판단하라는 말씀 밖에 드릴 수 없네요. 다른 사용자 분들께 여쭤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고요. 올려주신 파일들에 대해서는 지극히 저의 개인적인 판단과 생각으로는 일반 문서에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9:26 (KST)
방송사 로고로 실제 예를 들자면, 이런 로고는 비자유 저작물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예이고, 이런 로고는 저작권을 보호하기에 독창성이 없다고 보고 퍼블릭 도메인으로 보는 로고이기 때문에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이용할 수 있는 예입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9:28 (KST)
여러모로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부터는 문제안되도록 좀더 꼼꼼히 살펴보고 작성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Lightstar77 (토론) 2011년 4월 16일 (토) 19:32 (KST)

임시 이동했으니, 삭제부탁드립니다.

사용자:베이징/임시로 이동하혔습니다. 사용자:베이징문서만 삭제해주시기바랍니다. --北京 (대화 / 편집항목·메세지) 2011년 4월 18일 (월) 10:10 (KST)

완료했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8일 (월) 11:58 (KST)

사용자:Libera와 관련하여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1년 4월#사용자:Libera와 관련하여 (차단 해제 요청) 요청을 추가했습니다.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Ellif (토론) 2011년 4월 18일 (월) 18:01 (KST)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차단에 대해서도 제가 처리한 부분도 아니고, 해당 사용자 및 신천지와 관련하여 구체적이고 자세한 내막을 잘 모르기 때문에 선뜻 바로 처리하기가 힘들 것 같네요. 일단 저로서는 관련 내용에 대해 좀 더 살펴보고 더 지켜봐야할 듯 싶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18일 (월) 23:21 (KST)

문관 요청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2011년 4월#그레이터맨체스터 → 그레이터맨체스터 주를 처리해주시기 바랍니다. Sawol (토론) 2011년 4월 21일 (목) 16:30 (KST)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관련 토론이 어디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이동 요청사항이 무엇인지 살펴봤지만, 토론이 어떻게 정리되었고 요청사항이 무엇인지 잘 파악되지가 않네요. 표준국어대사전의 표기대로 '그레이터맨체스터 주'로 이동해달라는 요청인가요? -- Min's (토론) 2011년 4월 21일 (목) 16:38 (KST)
네, '그레이터맨체스터 주'로 이동하면 됩니다. 토론:그레이터맨체스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awol (토론) 2011년 4월 21일 (목) 16:56 (KST)
마무리했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21일 (목) 17:22 (KST)

사용자 203.234.41.25와 사용자 110.13.74.106에 대하여

203.234.41.25는 공주교육대학교의 청목관에 있는 컴퓨터 실습실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고, 110.13.74.106는 공주교육대학교의 남자 기숙사인 학선사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이며, 이들 두 기관에서는 상기한 단일한 아이피로 여러대의 컴퓨터(별표 참조)의 컴퓨터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에 이 아이피에 권한제한 또는 차단등을 하면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실습실과 학선사에서 생활하고 있는 모든 학생과 사생들이 위키피디어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가급적 상기한 조치에 대해서 신중히 결정하여 주시고 가능한 상기한 조치를 지양하여 주시기를 바라는 바 이 글을 남깁니다.

  • 별표

- 컴퓨터 실습실 : 5개실 총 700여대 - 학선사 : 100여개실 총 200여대 -110.13.74.106 (토론) 2011년 4월 26일 (화) 08:42 (KST)

백:관리자 요청/2011년 4월에 답변드렸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26일 (화) 08:54 (KST)

새싹미디어 문서 삭제에 대해

제가 직접 작성한 새싹미디어 문서를 삭제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명성 부족이라는데 이 홈페이지는 곧 오픈될 예정입니다. 이 홈페이지를 오픈 할 때 다시 게시할 수 있는지도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121.159.171.69 (토론) 2011년 4월 26일 (화) 20:36 (KST)

해당 대상은 백과사전에 실릴정도로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대상이 아닙니다. 저명성 지침을 참고해주세요. -- Min's (토론) 2011년 4월 26일 (화) 20:40 (KST)

학습자 성취에 대한 평가의 목적과 그 모형이 독자연구인 이유

학습자 성취에 대한 평가의 목적과 그 모형이 독자연구로 삭제되었는데 왜 삭제되었죠?? 나중에 삭제 신청할 때 참고하려고 질문드립니다.--Cwt96 (토론) 2011년 4월 26일 (화) 22:30 (KST)

'학습자 성취에 대한 평가의 목적과 그 모형' 혹은 '학습자 성취에 대한 평가'라는 것 자체가 백과사전 문서에서 단독으로 서술할만한 개별 이론이나 개념(혹은 그러한 종류)이라기보다, 여러 개념과 각 개념의 목적 및 여러 모형에 대한 이론/개념 등을 모우고 연결하고 통합하여 '학습자 성취에 대한 평가의 목적과 그 모형'이라는 새로운(통합한) 이론/개념/결론 등을 만든 문서로 보았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26일 (화) 23:16 (KST)
같은 내용인 사용자:SEVEREN/연습장1에 있는 문서들을 모두 같은 이유로 삭제해 주면 감사하겠습니다. --SVN Ta.】【Con. 2011년 4월 26일 (화) 23:18 (KST)
정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금은 시간이 안 나서 (저로서는) 시간나는대로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26일 (화) 23:19 (KST)

옴니아 문서 합병토론

옴니아 시리즈 문서를 만들어주셨는데 합병토론 을 제안했으니 참고해주세요.--1 (토론) 2011년 4월 27일 (수) 14:09 (KST)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27일 (수) 16:49 (KST)

취임 성과에 대한 편집에 대하여

송영길 취임 성과에서 삼성 송도 바이오 사업에 대한 투자유치를 함으로써 인천 지역의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결과에 대하여 확대해석이라고 하면서 편집하는 판단에 대해서 이의를 주장하고 이러한 송도 바이오에 대하여 참고할 기사를 더 보충하여서 확대해석이 아니라 2조3천억 투자를 단계적으로 하는 계약이 이루어지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자료가 있는데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편집한 것에 대하여 좀더 알아보시고 일방적인 편집은 사양합니다. 만약 이러한 사업이 진행되지 않거나 보류될 경우에는 사실이 아니기에 인정할 수 있지만 그러한 문제가 없다면 심사숙고해서 판단해 주시기 바랍니다.Gowipo (토론) 2011년 4월 27일 (수) 17:04 (KST)

  1. 인용하신 기사는 해당 기사 하단에 '본 자료는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라고 안내되어 있고 문서 내용이 문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사업 설명에 대한 홍보성 보도 자료일 뿐으로, 애초에 인용하신 기사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범주에 속하기 힘든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2.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라고 할 지라도, 특정 인물에 대한 평가나 성과에 대한 여론이 담긴 '기사'가 아니라, 특정 인물에 대해 전혀 언급도 없고 그 인물에 대한 평가가 전혀 없는 특정 사업에 대한 홍보를 위해 작성된 '보도 자료'를 가지고 특정 인물의 '취임 성과'라고 서술하셨는데, Gowipo 님의 그러한 편집으로 인해 어떤 사업의 홍보를 위해 작성된 보도 자료를 인용하여 위키백과가 그것을 '취임 성과'로 판단하여 서술한 격이 되었기 때문에 이를 되돌렸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27일 (수) 17:25 (KST)
  1. 본인의 기준으로 인용기사의 범주에 들기 어렵다는 말에 수긍하기 힘드네요. 또한 인천시장의 이름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인천시의 책임자이고 실제로 기사의 내용을 보면 7개월 이상 동안 삼성과 첩촉하여 이루어 낸 성과이며 또한 삼성이란 회사가 광고로써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업성의 타당성과 투자유치의 확실한 비전에 의한 사업과 송도와 인천에 대한 관심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다고 생각해서 다시 올리고, 이러한 정보가 변경되면 다시 재 수정을 통하여 편집을 할 수 있는데 무조건 삭제를 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차 후 잘못된 정보는 계속 관심을 가져 주세요.Gowipo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09:26 (KST)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있고 좀 더 중립적인 기사가 많은데 굳이 홍보를 위해 관련 기관에 의해 작성된 홍보성 보도 자료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범위에 속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씀드렸을 뿐 인용기사의 범주에 들기 어렵다고 말씀드린 적이 없습니다. 인용하신 기사 내용을 살펴보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사업에 대한 내용일 뿐 특정 인물에 대한 평가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평가가 전혀 없는 기사를 인용해서 그것을 취업 성과로 분류하는 것은 기사의 내용을 확장한 것입니다. 특정 인물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려면 그러한 여론이 반영된 기사를 인용하여 이러이러한 근거로 이러이러한 평가가 있다 혹은 이러이러한 지적이 있다는 식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단지 어떤 사업에 대한 내용을 위키백과가 특정 인물의 취업 성과라고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말씀하신 '인천시장의 이름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인천시의 책임자이고 실제로 기사의 내용을 보면 7개월 이상 동안 삼성과 첩촉하여 이루어 낸 성과'라고 위키백과가 판단하여 서술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차라리 그렇게 판단하여 해당 인물에 대해 평가한 기사가 있다면 그것을 반영하셔야지요. -- Min's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09:32 (KST)

피디아 피디어

사실 뭐가 옳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옮기기 전에 사용자토론에서 물어봐주실 수는 없었을까 싶네요. 제가 그 고민 안한게 아니니까요. 회사에서 명백하게 브리태니커라고 쓰는 경우가 아닌 한 일단은 피디아쪽이 더 일반적이라고 보았던 것입니다. --거북이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16:46 (KST)

죄송합니다. 오프라인상에서 여러가지 해야할 일들을 하면서 모바일 환경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미쳐 말씀드리지 못한데다 개인적으로는 당연히 '피디아'가 아니라 '피디어'인 것으로 알고 있어서 오타나 잘못 확인하셔서 만드신 것으로 생각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피디어'로 알아왔기 때문에 뭐가 더 일반적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한국어로 자칭하는 명칭이 없다면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pi(ː).diə/ 피디어)-- Min's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17:16 (KST)
두피디아라고 공식적으로 쓰는군요. 저도 당연히 -피디아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렇게 갔던겁니다. 본인의 당연을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고 작업해주시길 부탁드릴게요. 그리고 영어 외래어 표기법을 모든 외국어에 적용하면 안됩니다. -pedia는 그리스어에 기원을 두는군요. --거북이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17:28 (KST)
거북이 님께서 맞다고 생각하시는 편집으로 이동 및 편집하셔도 반대하지 않습니다. 맞다고 생각하시는 방향으로 편집해주세요:) -- Min's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18:00 (KST)
아, 저는 민스님께서 원래대로 돌려주시는 것이 더 좋은 모양새라고 생각했습니다~ --거북이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18:05 (KST)
네, 알겠습니다. 곧 시간나는대로 작업토록 하겠습니다. 늘 수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18:11 (KST)

네오위즈 로고

http://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Daum_communication_logo.svg 다음이나 네이버의 로고는 괜찮으나 네오위즈의 로고는 삭제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165.246.178.29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19:24 (KST)

해당 문서(Commons:File:Daum communication logo.svg)에 설명되어 있듯이 해당 파일은 매우 단순한 형태를 가진 파일이기 때문에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저작권 보호에 필요한 창작성을 발견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퍼블릭 도메인으로 올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종류의 파일을 예를 들자면 이 파일이 파일의 차이, #남겨주신 말에대한 답변에서의 토론 내용, 파일토론:Lawnb.jpg 등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Min's (토론) 2011년 4월 28일 (목) 22:05 (KST)

'시즈오카 아사히 TV'

말씀하신걸 들어보니, 다른일본방송들도 다 띄어쓰기했다고해서 이걸 원상복구 하셨다던데, 잘못된것이 다수라고해서 그많은것들을 따라야만합니까?
보통 방송사명을 한국방송공사, 부산문화방송, 청주방송 이렇게 모두 붙여있는게 공식명칭이지 '한국 방송 공사', '부산 문화 방송', '청주 방송' 이런식으로 쓰는거 거의 못보셨을거라 봅니다. 이렇게 띄어쓰기 하지 않고 붙여서 쓰는것이 해당회사의 공식명칭입니다. 그래서 잘못된걸 바로잡으려 하는데 잘못된것이 많다고 해서 그걸 따르겠다니 뭔가 안맞다고 보네요 전.
현재 대부분의 일본방송사들이 띄어쓰기되어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제 계획은 해당 방송사들을 모두 띄어쓰기가 안되어있는 올바른 공식명칭으로 환원시킬 예정입니다. 제 의견 참고해주셨으면 하네요. Lightstar77 (토론) 2011년 4월 30일 (토) 12:20 (KST)

한국어권 국가의 방송사는 공식 한국어 명칭이 붙여쓴 것에 따라 붙여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방송국 뿐만 아니라, 성남 시립 교향악단,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서울역 등의 여러 고유 명사 표제어들이 이에 따라 붙여 쓰고 있고요. 하지만 비한국어권의 고유 명사의 경우 공식 한국어 명칭이 없거나 공식적으로 한국어로 자칭하는 명칭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띄어쓰기 규정에 따라 단어별로 띄어쓰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단위별로 띄어쓰지 모두 무조건 한국어 명칭처럼 붙여쓰지는 않습니다.(도쿄 역, 베이징 대학 등) 수고해주시는 것은 감사드리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과 다르게 비한국어권, 한국어권 할 것 없이 무조건 표제어를 대량으로 바꾸는 것보다 일단 다른 여러 사용자와의 토론을 통한 의견 수렴을 하는 것이 우선일 듯 싶습니다. -- Min's (토론) 2011년 4월 30일 (토) 12:25 (KST)
이동하신 것들을 확인해보니 이미 기존의 여러 틀에서 띄어쓴 표제어로 사용되었고, 비한국어권 고유 명사의 표제어의 경우 방송국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른 비한국어권의 고유 명사를 표기하는 방식과 다른 점, 대량이 문서 이동 및 여러 틀과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 등 때문에 관련 위키프로젝트토론 공간 등에서의 총의 혹은 최소한 다른 사용자와의 토론이 선행되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과정 없이 방송국 관련 문서가 대량 이동하신 점을 확인하였습니다. 특별한 이의가 없다면 다시 원래대로 이동할 생각인데 의견이 있으시다면 말씀해주세요. -- Min's (토론) 2011년 4월 30일 (토) 18:19 (KST)
"Ha98574/2011년 4월"의 사용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