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hongDae/작업장


에이블 실험
베이커 실험

크로스로드 작전(Operation Crossroads)은 1946년 중반 비키니 환초에서 미국이 실시한 두 차례의 핵무기 실험이다.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이후 최초의 핵무기 실험이자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이후 최초의 핵 장치 폭발이었다. 이 실험의 목적은 핵무기가 군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크로스로드 실험은 마셜 제도에서 실시된 수많은 핵실험 중 첫 번째 실험이었으며, 사전에 공개적으로 발표되고 대규모 기자단을 포함한 초청된 청중이 참관한 최초의 실험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핵무기를 개발했던 맨해튼 계획이 아닌, 윌리엄 H. P. 블랜디 중장이 이끄는 육군/해군 합동 태스크포스 원(Joint Army/Navy Task Force One)에 의해 수행되었다. 비키니 라군에서 95척의 표적함 함대를 모아 1945년 나가사키에 투하된 팻 맨 플루토늄 내폭형 핵무기를 두 차례 폭발시켜, 각각 TNT 환산 23 킬로톤(96 TJ)의 수율을 보였다.

첫 번째 실험은 "에이블"(Able)였다. 이 폭탄은 1946년 영화 《길다》에 리타 헤이워스가 맡은 역할 이름을 따서 "길다"(Gilda)로 명명되었으며, 1946년 7월 1일 제509폭격대대의 B-29 슈퍼포트리스 "데이브의 꿈"에서 투하되었다. 목표 함대 상공 520피트(158m)에서 폭발했으며, 목표 지점을 2,130피트(649m)나 빗나나 예상보다 적은 선박 피해를 입혔다.

두 번째 실험은 "베이커"(Baker)였다. 폭탄은 "비키니의 헬렌"(Helen of Bikini)으로 알려졌으며, 1946년 7월 25일 수중 90피트(27m)에서 폭발했다. 방사능 바닷물 분무는 광범위한 오염을 일으켰다. 1947년 세 번째 심해 실험인 "찰리" 실험이 계획되었지만 베이커 실험 이후 미 해군이 목표 선박의 오염을 제거할 수 없어 취소되었다. 결국 9척의 목표 선박만 폐기할 수 있었다. 찰리 실험은 1955년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연안에서 실시된 심해 사격 작전인 위그왐 작전으로 재조정되었다.

비키니의 원주민들은 LST-861을 타고 섬에서 대피했으며, 대부분은 롱게리크 환초로 이주했다. 1950년대에는 일련의 대규모 열핵 실험으로 인한 방사능 오염으로 비키니는 생계 농업과 어업에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2017년 현재 비키니는 여전히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지만 스포츠 다이버들이 가끔 방문하고 있다. 기획자들은 크로스로드 작전 실험 참가자들을 방사능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려고 노력했지만, 한 연구에 따르면 참가자들의 기대 수명이 평균 3개월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커 실험의 모든 표적선이 방사능에 오염된 것은 핵폭발로 인한 즉각적이고 집중적인 방사능 낙진이 발생한 최초의 사례였다. 미국 원자력 위원회의 최장수 위원장이었던 화학자 글렌 T. 시보그는 베이커 실험을 "세계 최초의 핵 재앙"이라고 불렀다.

배경

편집

해군 군함에 대한 핵무기 실험을 최초로 제안한 것은 1945년 8월 16일, 후에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루이스 스트로스였다. 제임스 포레스탈 해군장관에게 보낸 내부 메모에서 스트로스는 "이러한 실험을 하지 않으면, 이 새로운 무기 앞에서 함대가 쓸모없다는 취지의 느슨한 이야기가 나올 것이며, 이는 현재 계획 중인 전후 해군 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예산 편성에 반대할 것입니다." 사용 가능한 폭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는 넓은 지역에 널리 분산된 다수의 표적에 대한 실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5년 전인 1921년, 해군은 빌리 미첼 장군의 폭격기가 프로젝트 B 함대함 폭격 실험을 위해 제공한 모든 표적함을 침몰시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적이 있었다. 스트로스 실험은 함정의 생존성을 입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1946년 2월 27일, 크로스로드 작전을 앞두고 표적함과 지원함이 진주만에 모였다. 앞에서 뒤로: USS 크리텐던, 캐트런, 브래컨, 벌러슨, 길리엄, 팰컨, 미확인 함선, 필모어, 코캐브, 루나, 미확인 유조선, 리버티선. 오른쪽에는 LSM-203LSM-465이 있다. 저 멀리 배경에는 플로팅 도크와 상선 헐크가 있다.

1945년 8월, 원자력법을 제정하고 의회 원자력 공동위원회를 조직하고 위원장을 맡게 될 브라이언 맥마흔 상원의원은 이러한 실험을 최초로 공개 제안했지만, 이는 함선의 생존성보다는 취약성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나포된 일본 함선에 원자폭탄을 투하할 것을 제안하며 “원자폭탄이 거대한 해군 함선에 사용될 때 얼마나 효과적인지 그 폭발로 증명해야 한다.” 9월 19일, 미국 육군 항공대 지휘관 헨리 아놀드 원수는 해군에 맥마혼이 제안한 실험에 사용할 38척의 나포된 일본 함선 중 10척을 따로 떼어줄 것을 요청했다.

한편 해군은 자체 계획을 진행했으며, 10월 27일 미국 함대 총사령관 어니스트 킹 해군원수가 기자회견에서 이를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80척에서 100척 사이의 표적함이 포함되었으며, 대부분 미국 잉여 함정이었다. 육군과 해군이 실험을 통제하기 위해 움직이는 동안 하워드 C. 피터슨 전쟁부 차관보는 "대중에게 이 실험은 해군의 미래가 걸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군이 대중이 상상하는 것보다 [실험을] 잘 견딘다면, 대중의 마음속에는 해군이 '승리'한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폭탄을 제조한 맨해튼 계획의 책임자 레슬리 그로브스 소장은 육군의 실험 감독 직책를 맡지 못했다. 합동참모본부는 해군이 가장 많은 병력과 물자를 투입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군 장교가 실험을 지휘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윌리엄 스털리 파슨스 준장은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고 히로시마 원폭 투하에 참여한 해군 장교였다. 그는 현재 특수무기 담당 해군작전차장 윌리엄 H.P. 블랜디 제독의 보좌관으로 근무하고 있었는데, 블랜디 제독이 이 역할을 제안했다. 이 제안이 받아들여져 1946년 1월 11일,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창설된 육군/해군 합동 태스크포스 1(JTF-1)의 책임자로 블랜디를 임명했다. 파슨스는 기술 지휘 태스크포스 부사령관이 되었다. 윌리엄 엘즈워스 케프너 공군 소장이 태스크포스 항공 부사령관을 맡았다. 블랜디는 이 실험의 코드명을 "크로스로드 작전"으로 명명했다.

육군의 압력을 받은 블랜디는 해군이 원했던 것보다 더 많은 함정을 즉각적인 목표 지역에 투입하는 데 동의했지만, "모든 함정에 석유, 탄약, 연료를 가득 채워야 한다"는 육군 항공대 커티스 르메이 소장의 요구는 거부했다. 블랜디의 주장은 화재와 내부 폭발로 인해 물 위에 있어야 피해 평가를 할 수 있는 함정들이 침몰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블랜디가 결과를 평가할 전 해군 위원회를 제안하자 맥마흔 상원의원은 트루먼에게 "해군의 존립 자체를 결정할 수도 있는 작전 수행을 해군이 전적으로 책임져서는 안 된다"고 불평했다. 트루먼은 "이 실험이 수준에 맞지 않는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크로스로드 작전이 "대중에게 객관적이라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민간인 검토 위원회를 구성했다.

반대

편집

크로스로드 작전을 전면 취소하라는 압력은 과학자들과 외교관들로부터 나왔다. 맨해튼 계획 과학자들은 더 이상의 실험은 불필요하고 환경적으로 위험하다고 주장했다. 로스앨러모스의 한 연구는 " 폭발에서 가까운 지표면 근처의 물이 방사능으로 인해 마녀의 양조장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과학자들이 이 실험이 선원들에게 미치는 방사능의 영향을 무시하면서 선박 생존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다고 지적하자, 블랜디는 일부 선박에 실험 동물을 추가하여 동물권 옹호자들의 항의를 불러 일으켰다.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실험에 참석하라는 초청장을 거절하고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는 실험실에서 더 정확하고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트루먼 대통령에게 반대 의사를 편지로 보냈다.

1년 전 물리학자 실라르드 레오에게 폭탄의 공개 시연이 소련을 유럽에서 "더 다루기 쉽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던 국무장관 제임스 F. 번스는 이제 그 반대의 주장을 했다. 미국의 핵무력을 더 과시하면 핵무기의 국제 통제와 미래 핵전쟁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한 애치슨-릴리엔솔 계획에 대해 소련의 입장을 강경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3월 22일 국무회의에서 그는 "국제 관계의 관점에서 볼 때 실험을 연기하거나 아예 실시하지 않는 것이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고 했다. 그는 트루먼에게 5월 15일부터 7월 1일까지 6주 동안 1차 실험을 연기할 것을 설득했다. 대중에게 연기를 설명하기 위해 여름 휴회 기간 동안 더 많은 의회 참관단이 참석할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했다.

하원 의원이 4억 5천만 달러 상당의 표적함 파괴에 대해 불평하자 블랜디는 실제 가치는 톤당 10달러인 고철 값으로로 370만 달러에 불과하다고 대답했다. 뉴욕주와 펜실베이니아주의 참전 용사와 의원들은 USS 텍사스처럼 자신의 이름을 딴 전함을 박물관 함선으로 유지하도록 요청했지만 JTF-1은 USS 뉴욕과 같은 배를 살릴 수 없는 점은 유감입니다."라고 답했다.

준비

편집

핵무기가 선박, 장비 및 물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일련의 세 차례의 실험이 권고되었다. 실험장은 미국이 통제하는 지역에 있어야 했다. 주민들을 대피시켜야 했기 때문에 사람이 살지 않거나 거의 살지 않는 곳, 가장 가까운 도시에서 최소 300마일(500km) 떨어진 곳이 최선이었다. B-29가 폭탄을 투하할 수 있으려면 1,000마일(1,600km) 이내에 공군 기지가 있어야 했다. 목표 선박을 봉쇄하려면 폭이 최소 6마일(10km) 이상인 보호 정박지가 필요했다. 이상적으로 예측 가능한 날씨 패턴이 있고 심한 추위와 격렬한 폭풍이 없는 곳이어야 했다. 예측 가능한 바람은 방사성 물질이 태스크포스 요원에게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예측 가능한 해류는 물질이 항로, 어장 및 거주지 해안에서 멀리 떨어져있을 수 있도록 한다. 선박을 이동하는 데 필요한 해군 인력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원 해제의 일환으로 현역에서 해제되고 있었고, 원자 무기에 대한 지식을 갖춘 민간 과학자들이 대학 교수직을 위해 연방 고용에서 떠나고 있었기 때문에 시기가 중요했다.

1월 24일 블랜디는 비키니 라군를 1946년 두 차례의 폭발인 "에이블"과 "베이커"의 장소로 지명했다. 1947년 초로 예정된 심해 테스트인 "찰리"는 비키니 서쪽 바다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다.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 제도를 포함하여 진지하게 고려된 가능한 장소 중, 비키니는 큰 보호 정박지, 적절하지만 이상적인 날씨는 아니었으며,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적은 인구가 있는 가장 외딴 위치를 제공했다. 트루먼 대통령이 전쟁 중 일본으로부터 점령한 모든 태평양 섬의 유일한 수탁자가 미국이라고 선언한 1월 15일에 미국의 독점적인 통제 하에 있었다. 해군은 1945년 10월부터 실험장을 검토해왔으며 트루먼 대통령의 선언 직후 비키니를 선정했다고 발표할 준비가 되었다. 2월 6일, 조사선 섬너호는 비키니 암초를 통해 석호로 들어가는 수로를 폭파하기 시작했다. 지역 주민들은 그 이유를 듣지 못했다.

167명의 비키니섬 주민들은 4일 후인 2월 10일 일요일, 마셜 제도의 미군 총독인 벤 와이어트 해군 준장이 콰잘레인 환초에서 수상비행기를 타고 도착하고나서야 처음으로 자신들의 운명을 알게 되었다. 개신교 선교사들로부터 배운 성경 이야기를 언급하며 와이어트 준장은 주민들을 "주님께서 적으로부터 구원하여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신 이스라엘 자손"에 비유했다. 그는 또한 "인류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 모든 세계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명된 합의서는 없었지만, 그는 케이블을 통해 "유다 왕이라고 불리는 지역 추장이 일어나 비키니 원주민들이 이 놀라운 사업의 일부가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보고했다. 3월 6일, 와이어트는 2월 10일 비키니인들이 환초를 내놓은 회의를 영상으로 재연하려고 시도했다. 반복되는 요청과 최소 7번의 재촬영에도 불구하고 유다는 카메라 앞에서 "우리는 기꺼이 갈 것입니다. 모든 것은 신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라고만 말했다. 다음 날, LST-861은 그들과 그들의 소지품을 동쪽으로 128마일(206km) 떨어진 무인도 롱게리크 환초로 옮겨 영구 이주를 시작했다. 1974년 3명의 비키니 가족이 돌아왔지만 오염된 음식을 먹은 지 4년 만에 체내 방사능이 증가해 1978년 다시 대피했다. 2022년 현재 이 환초는 여전히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다.

 
비키니 환초의 지도. 목표 지역이 표시되어 있다

표적함

편집

표적선을 배치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비키니 라군에서 산호초를 제거하기 위해 100쇼트톤(90 톤)의 다이너마이트가 사용되었다. 워싱턴 DC 외곽의 데이비드 테일러 모형시험 수조에 있는 "리틀 비키니"라는 이름의 연못에서 다이너마이트와 모형 선박으로 베이커의 드레스 리허설이 진행되었다. 비키니 라군에는 93척의 표적선 함대가 모였다. 목표 클러스터의 중심의 밀도는 평방 마일당 20 척(km2당 7.7 척)였는데, 이는 군사 교리가 허용하는 것보다 3~5 배 더 컸다. 목표는 현실적인 정박지를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많은 거리에서 폭발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피해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또한 얼마나 많은 선박을 침몰시켜도 되는지에 대한 육군/해군의 의견 불일치 결과를 반영했다.

표적 함대에는 구형 미국 전함 4척, 항공모함 2척, 순양함 2척, 구축함 13척, 잠수함 8척, 상륙함 40척, 수송선 18척, 유조선 2척, 플로팅 도크 1척, 항복한 추축국 함정 3척이 포함되었다. 3척의 추축국 함정은 일본 경순양함 사카와, 전함 나가토, 독일 순양함 프린츠 오이겐이었다. 배에는 표본 양의 연료와 탄약, 기압, 선박 이동 및 방사선을 측정하기 위한 과학 장비가 실렸다. 일부 표적선의 살아있는 실험 동물은 지원선 USS 벌레슨으로 공급되었다. 돼지 200마리, 기니피그 60마리, 염소 204마리, 쥐 5,000마리, 생쥐 200 마리 및 곤충을 포함한 곡물을 유전적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국립 암 연구소에서 가져왔다. 수륙양용표적선은 비키니섬에 정박했다.

150척 이상의 지원 함대가 42,000 명의 남성(이 중 37,000명 이상이 해군 장병)과 37명의 여성 간호사를 위한 숙소, 실험실 및 작업장을 제공했다. 추가 인원은 에네웨타크 환초콰잘레인 환초와 같은 인근 환초에 배치되었다. 해군 장병은 실험에 참여하고 원자폭탄이 폭발하는 것을보고 싶다면 1년 동안 복무 의무를 연장 할 수 있었다. 비키니 환초의 섬들은 계측 장소로 사용되었고, 베이커 실험으로 오염되기 전까지는 휴양지로 사용되었다.

카메라

편집
 
에이블 실험, 23 킬로톤

8대의 B-17 폭격기에 무선 조종 자동 조종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 카메라, 방사능 탐지기, 공기 샘플 수집기가 장착된 원격 제어 무인 항공기로 변환되었다. 조종사들은 폭발로부터 안전한 거리에 있는 모 항공기에서 무인 항공기를 조종했다. 무인 항공기는 승무원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에이블의 버섯 구름과 같은 방사선 환경으로 날아갈 수 있었다. 모든 지상 기반 폭발 연속 사진은 환초의 여러 섬에 세워진 높은 탑에서 원격 제어로 촬영되었다. 비키니 카메라는 모두 50,000 장의 스틸 사진과 1,500,000 피트 (460,000m)의 동영상 필름을 촬영했다. 카메라 중 하나는 초당 1,000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실험 시작 전에 모든 인원은 표적 함대와 비키니 환초에서 대피했다. 그들은 환초에서 동쪽으로 최소 10 해리(19km) 떨어진 안전한 위치에 있는 지원 함대의 함선에 탑승했다. 실험 요원들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 특수한 짙은 색 안경을 지급받았으나 에이블 실험 직전에 안경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직원들은 추가 보호를 위해 폭발에서 몸을 돌리고 눈을 감고 팔로 얼굴을 감싸도록 지시받았다. 권장 예방 조치를 무시한 몇몇 참관인은 폭탄이 폭발하자 다른 참관인들에게 조언했다. 대부분의 선상 관측자들은 약간의 뇌진탕을 느꼈고 실망스러운 작은 "펑"하는 소리를 들었다고 보고했다.

 
"길다"라는 별명이 새겨진 마크 III "팻맨"형 핵폭탄인 에이블 폭탄에는 영화에서 주인공 역은 리타 헤이워스의 사진이 붙어 있다.

2016년 7월 26일, 국가안보문서보관소는 핵폭탄이 폭발한 직후 핵실험장 상공을 비행한 정찰기가 촬영한 영상 전체를 기밀 해제하고 공개했다. 이 영상은 유튜브를 통해 볼 수 있다.

애칭

편집

"에이블"(Able)과 "베이커"(Baker)는 1941년부터 1956년까지 사용된 미국 육군/해군 합동 음성 알파벳의 처음 두 글자이다. 현재의 NATO 음성 알파벳의 알파(Alfa)와 브라보(Bravo)에 대응한다. "찰리"(Charlie)는 두 체계의 세 번째 문자이다.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각 실험의 폭발 시간은 H 또는 How 시간으로 발표되었다. 공식 JTF-1 역사에서는 M 또는 Mike 시간이라는 용어가 대신 사용되었다.

1946년 7월에는 단지 7개의 핵폭탄만 존재었다. 실험에 사용 된 두 개의 폭탄은 나가사키에 투하된 종류인 팻맨 플루토늄 내폭형 핵무기였다. 에이블 폭탄은 길다라는 이름이 스텐실로 적혀 있었고 1946년 영화 길다의 스타인 리타 헤이워스의 에스콰이어 잡지 사진으로 장식되었다. 베이커 폭탄은 "비키니의 헬렌"이었다. 유혹과 파괴를 결합한 핵무기에 대한 이 팜므파탈 주제는 1946년부터 모든 언어에서 여성용 투피스 수영복의 이름으로 "비키니"를 사용하는 것으로 대표된다.

미국의 크로스로드 실험과 폭팔
이름 일시 (UTC) 장소 표고 + 높이 배송 목적 장치 수율 주석
에이블(Able) 1946년 6월 30일 21:00:01.0 비키니 환초, 북동쪽 라군 북위 11° 35′ 동경 165° 30′ / 북위 11.59° 동경 165.50°  / 11.59; 165.50 (Able) 0 + 158 m (518 ft) 공중 자유 낙하 무기 효과 Mk III "Gilda" 23 kt [1][2][3][4][5]
베이커(Baker) 1946년 7월 24일 21:34:59.8 비키니 환초 북동쪽 라군 북위 11° 35′ 동경 165° 31′ / 북위 11.59° 동경 165.52°  / 11.59; 165.52 (Baker) 0 – 27.5 m (90 ft) 수중 무기 효과 Mk III "Helen of Bikini" 23 kt [1][2][5]
찰리(Charlie)
(취소됨)
1947년 3월 1일 비키니 환초 북동쪽 라군 북위 11° 34′ 동경 165° 31′ / 북위 11.57° 동경 165.51°  / 11.57; 165.51 (Charlie) 0 – 50 m (160 ft) 수중 무기 효과 Mk III 23 kt [5]

에이블 실험

편집
 
크로스로드 에이블 실험으로 1946년 7월 1일 23킬로톤의 공중 배치 핵무기 "길다"가 폭발했다.
 
네바다호는 핵실험을 위해 눈에 잘 띄는 주황색으로 칠해졌다.

1946년 7월 1일 9시, 길다는 제509폭격대 소속 B-29 슈퍼포트리스 데이브의 꿈에서 투하되었다. 이전에 빅 스팅크로 알려진 이 비행기는 1945년 나가사키 임무에 사진 촬영 장비 항공기로 투입되었다. 1946년 3월 7일 연습 임무 중 사망한 폭격수 데이브 셈플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바뀌었다. 길다는 목표 함대 상공 520피트(158m) 상공에서 23킬로톤의 수율로 폭발했다. 다섯 척의 함선이 침몰했다. 두 척의 공격수송함은 즉시 침몰했고, 두 척의 구축함은 몇 시간 내에, 일본 순양함 한 척은 다음날 침몰했다.

114 명의 언론 참관인 중 일부는 선박에 대한 영향에 실망감을 나타냈다. 뉴욕 타임스는 "2척만 침몰하고 1척은 전복되었으며 18척이 손상되었다"고 빠르게 보도했다. 다음날 타임스는 제임스 포레스탈 해군장관의 설명을 실었다. "중무장된 함선은 수중 피해를 입지 않으면 침몰하기 어렵습니다."

예상보다 적은 선박 피해의 주된 원인은 폭탄이 조준 지점을 710야드 (649m) 빗나갔기 때문이다. 폭탄이 조준된 배는 침몰하지 못했다. 이 실수로 B-29 폭격기 승무원에 대한 정부 조사가 이루어졌다. 폭탄의 빈약한 탄도 특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설명이 제시되었지만 설득력있는 설명은 없었다. 폭탄 투하 영상도 결정적이지 않았다. 폭탄 조준기를 점검한 결과 오류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펌킨 폭탄 투하가 실시되었지만 정확했다. 폴 티비츠 대령은 승무원의 계산 착오로 인한 실수라고 생각했다.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았다. 에이블이 예상보다 덜 화려했던 다른 요인들도 있었다. 관찰자들은 트리니티 실험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었고 높은 습도로 인해 빛과 열을 많이 흡수되었다.

1941년 진주만 공격 당시 유일하게 출격했던 전함 USS 네바다는 에이블의 조준점으로 지정되어 있었고, 표적 함대의 군집에서 눈에 띄도록 흰색 포신과 포구가 있는 주황색으로 칠해져 있었다. 400야드(366m) 이내에 8척의 함선이 있었다. 폭탄이 계획대로 네바다 상공에서 폭발했다면 전함 2척과 항공모함 1척 등 최소 9척이 침몰했을 것이다. 실제 폭발 지점은 표적의 서북서쪽에 있었고, 훨씬 덜 혼잡한 수역에 있는 공격 수송선 USS 길리엄에 더 가까웠다.

에이블 목표 배열

편집
 
크로스로드 작전의 에이블 실험을 위한 비키니 라군의 표적 함선 배열. 표적 함선의 절반은 이 지도의 영역 밖에 있었다. 다섯 개의 빨간색 X는 침몰한 다섯 척의 함선을 나타낸다. 표(오른쪽)에는 함선 번호가 적혀 있다. 폭발 지점으로부터 반경이 1,000야드(914m)인 원은 심각한 선박 손상 영역을 나타냅니다. 폭탄의 과녁은 32번 함선인 전함 USS 네바다로, 폭격수를 돕기 위해 주황색으로 칠해져 있었다. 폭탄은 5번 함선인 공격 수송함 USS 길리엄에 더 가까이 떨여졌다. 모든 잠수함은 수면 위에 있었다.
침몰선 위치[6]
# 이름 유형 제로 지점과의 거리
5 길리엄 수송선 50 yd (46 m)
9 사카와 순양함 420 yd (380 m)
4 칼라일 수송선 430 yd (390 m)
1 앤더슨 구축함 600 yd (550 m)
6 램슨 구축함 760 yd (690 m)
심각한 손상
# 이름 유형 제로 지점과의 거리
40 스케이트 잠수함 400 yd (370 m)
12 YO-160 야드 유조선 520 yd (480 m)
28 인디펜던스 항공모함 560 yd (510 m)
22 크리텐던 수송선 595 yd (544 m)
32 네바다 전함 615 yd (562 m)
3 아칸소 전함 620 yd (570 m)
35 팬서콜라 순양함 710 yd (650 m)
11 ARDC-13 플로팅 도크 825 yd (754 m)
23 도슨 수송선 855 yd (782 m)
38 Salt Lake City Cruiser 895 yd (818 m)
27 휴스 구축함 920 yd (840 m)
37 린드 구축함 1,012 yd (925 m)
49 LST-52 LST 1,530 yd (1,400 m)
10 새러토가 항공모함 2,265 yd (2,071 m)
 
에이블 실험 후 표적 함대. 항공모함 새러토가호가 오른쪽 중앙에 있고 인디펜던스호는 왼쪽 중앙에 불타고 있다. 그 사이로 일본 전함 나가토가 있다. 전함 펜실베이니아 왼쪽에 있는 배는 석호의 물로 방사능을 씻어내려 하고 있다.

베이커 실험

편집

각주

편집
  1. United States Nuclear Tests: July 1945 through September 1992 (DOENV-209 REV15) (PDF) (보고서). Las Vegas, NV: Department of Energy, Nevada Operations Office. 2000년 12월 1일. 2006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8일에 확인함. 
  2. Yang, Xiaoping; North, Robert; Romney, Carl (August 2000). CMR Nuclear Explosion Database (Revision 3) (보고서). SMDC Monitoring Research. 
  3. Norris, Robert Standish; Cochran, Thomas B. (1994년 2월 1일). “United States nuclear tests, July 1945 to 31 December 1992 (NWD 94-1)” (PDF). 《Nuclear Weapons Databook Working Paper》 (Washington, DC: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2013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6일에 확인함. 
  4. Operation Crossroads, 1946 (DNA-6032F) (PDF) (보고서). Defense Nuclear Agency. 1984년 5월 1일. 2014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6일에 확인함. 
  5. Sublette, Carey. “Nuclear Weapons Archive”. 2014년 1월 6일에 확인함. 
  6. Data in the table and the map come from Delgado 1991. The Able map is on p. 16, the Baker map on p. 17, and ship damage and distances on pp. 86–87. The full text of this reference is posted on the Internet (see link in Sources,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