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수군
군론에서 사원수군(四元數群, 영어: quaternion group)은 단위 사원수 i, j, k로 생성되는 유한군이다.
정의
편집사원수군은 원소의 개수가 8개인 비아벨 군이다. 사원수군은 흔히 Q로 표기되며, 다음의 원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 Q = {1, −1, i, −i, j, −j, k, −k}
여기에서 1은 항등원을 나타내며 (-1)2 = 1이 성립한다. 또한 Q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해 (-1)a = a(-1) = -a가 성립한다. 이 외에도 원소들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사원수군의 군 표(Cayley table)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 −1 | i | −i | j | −j | k | −k | |
---|---|---|---|---|---|---|---|---|
1 | 1 | −1 | i | −i | j | −j | k | −k |
−1 | −1 | 1 | −i | i | −j | j | −k | k |
i | i | −i | −1 | 1 | k | −k | −j | j |
−i | −i | i | 1 | −1 | −k | k | j | −j |
j | j | −j | −k | k | −1 | 1 | i | −i |
−j | −j | j | k | −k | 1 | −1 | −i | i |
k | k | −k | j | −j | −i | i | −1 | 1 |
−k | −k | k | −j | j | i | −i | 1 | −1 |
표를 살펴보면, 이 군이 비가환군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j = -ji이다.
행렬 표현
편집사원수군은 GL2(C)의 부분군으로 나타낼 수 있다.[1] 의 원소들은 각각 다음 행렬에 대응된다.
여기에서 는 허수 단위이다.
성질
편집자기 동형
편집사원수군의 중심은 이며, 사원수군의 교환자 부분군 역시 이다. 이에 대한 몫군(내부 자기 동형군)은 클라인 4원군 이다.
사원수군의 자기 동형군은 4차 군론 이다. 외부 자기 동형군은 이다.
부분군
편집사원수군의 부분군은 (자명군과 스스로를 포함하여) 총 6개가 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다.
각주
편집- ↑ Thomas W. Hungerford. 《Algebra》. Springer-Verlag. 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