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교
서영교(徐瑛敎, 1964년 11월 11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1] 제19·20·21대 국회의원이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다.
서영교 | |
---|---|
출생 | 1964년 11월 11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시 | (58세)
성별 | 여성 ![]() |
국적 | 대한민국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동아시아학 박사과정 수료 |
경력 | 대통령비서실 춘추관장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
배우자 | 장유식(변호사) |
종교 | 불교 |
소속위원회 | 교육위원회 운영위원회 간사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19·20·21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역구 | 서울 중랑구 갑(19·20·21) |
생애 편집
경상북도 상주시 출생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재학 시절 총학생회장으로 활동했다. 동대학원에서 공공정책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동아시아학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숭실대학교 언론홍보학과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강의하였다.
1988년부터 서울특별시 중랑구에서 10년간 무료 도서 대여실과 주부대학을 운영했다. 노무현 정부 청와대 춘추관장을 역임했다. 2012년 제19대 총선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랑구(갑)에 출마하여 제19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2년 원내부대표를 역임했으며, 2014년 원내대변인을 맡았다. 2015년 4월 새정치민주연합 전국여성위원장에 임명되었다.[2][3]
2016년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중랑구(갑)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나서 54.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학력 편집
경력 편집
- 1986년: 이화여자대학교 총학생회 회장
- 2005.03~2007.03: 열린우리당 서울특별시당 여성위원회 위원장
- 2007.05~2008.02: 노무현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보도지원비서관 겸 춘추관장
- 2007~2014.02: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 2011.10: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희망캠프 유세본부 본부장
- 2012.06~2013.05: 민주통합당 원내부대표
- 2012.11~2012.12: 제18대 대통령선거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유세단장
- 2013.04~2015.04: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 서울특별시당 여성위원장
- 2014.10~2015.05: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
- 2015.04~2015.1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전국여성위원회 위원장
-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KNA 최고위과정
- 2018.09~2019.01: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 2022.08~: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의정 활동 편집
- 2012.05~2016.05: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 갑,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 2012.07~2016.05: 제19대 국회 전반기, 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2013.04~2013.09: 제19대 국회 사법제도개혁특별위원회 간사
- 2014.06~2015.05: 제19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2014.10~2015.05: 제19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 2016.05~2020.05: 제20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 갑, 더불어민주당→무소속→더불어민주당)
- 2016.06~2016.07: 제20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 2016.06~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
- 2017.05~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2017.12~2018.05: 제20대 국회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2017.12~2017.12: 제20대 국회 대법관(민유숙·안철상)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간사
- 2018.07~2018.09: 제20대 국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간사
- 2018.09~2019.01: 제20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간사
- 2018.09~2020.05: 제20대 국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 2020.05~: 제21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 갑, 더불어민주당)
- 2020.06~2022.05: 제21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 2020.07~: 국회인권포럼 구성의원
- 2021.04~2021.05: 제21대 국회 국무총리(김부겸)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
- 2021.11~2022.04: 제21대 국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문상부) 선출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
- 2022.07~: 제21대 국회 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의정활동 편집
- 형사소송법 개정안 대표발의: 살인죄 공소시효 폐지를 골자로 한다. 대구 아동 황산테러 사건을 계기로 입법되었으며, 소위 '태완이법'으로도 불린다.[4]
- 형법 개정안 대표발의: 술이나 약물로 인한 심신장애의 감형을 금지하는 내용이다.[5]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대표발의: 아이가 친자라는 가정법원의 확인만 있으면 미혼부도 출생신고를 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다. 2년 전 언론에 소개된 아이의 이름을 따 '사랑이법'으로 불린다.[6]
- 군인연금법 개정안 대표발의: 부상당한 장병에 대한 치료비 지원을 기존 30일 이내에서 2년으로 확대하는 법안이다. 소위 '하재헌법'으로 불린다.[7]
-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안 및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 대표발의: DNA 등 과학적 증거가 있는 성범죄에 대한 공소시효를 배제하는 내용이다.[8]
-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 대표발의: 어린이집 주변 도로, 교육환경보호구역, 어린이보호구역 등 어린이들의 주요 통학로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내용이다.[9]
전과 편집
- 국가보안법위반(기타), 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 자격정지 1년- 1987년 4월 13일 선고, 1987년 7월 10일 특별사면[10]
역대 선거 결과 편집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2008년 |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비례대표 | 통합민주당 | 4,313,645표 |
|
비례대표 33번 | 낙선 | |||
2012년 | 총선 | 19대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갑 | 민주통합당 | 33,891표 |
|
1위 | 초선 | |||
2016년 | 총선 | 20대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갑 | 더불어민주당 | 45,838표 |
|
1위 | 재선 | |||
2020년 | 총선 | 21대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갑 | 더불어민주당 | 55,185표 |
|
1위 | 3선 |
각주 편집
- 내용
- ↑ 학위논문명 - 대한민국 지방정치에서 여성의 정치참여확대 방안 : 2006년 5.31 지방선거 중심으로
- 출처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전국여성위원장에 서영교 의원. 여성신문. 기사입력 2015년 4월 6일. 기사수정 2015년 4월 7일.
- ↑ 윤필호. (미래와 여성, 2부-④)서영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고용평등 위해 법·제도 정비”. 이투데이. 2015년 9월 2일.
- ↑ “[취재파일] 살인죄 공소시효 폐지 '태완이법', 누가 왜 반대하나?”. SBS. 2015년 7월 12일.
- ↑ “[취재파일] 술 마셨다고 봐 준다? '음주 감형 논란' 8년째 제자리”. SBS. 2017년 12월 11일.
- ↑ “'사랑이법' 통과…미혼부도 출생신고한다”. 연합뉴스. 2015년 5월 6일.
- ↑ “서영교, 부상군인 2년간 치료지원 '하재헌법' 대표발의”. 뉴스1. 2015년 9월 25일.
- ↑ “서영교, '성범죄 공소시효 배제' 개정안 2건 대표발의”. 뉴스1. 2016년 8월 11일.
-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통학로 금연구역’ 범위 제각각…어린이 건강권 침해 심각”. 경향신문. 2017년 11월 27일.
- ↑ 이옥남·김도연 (2016년 4월). 4·13 총선국회의원 당선자 전과현황 (보고서). 바른사회시민회의. 2018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전임 (중랑구 갑)유정현 (중랑구 을)진성호 |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 갑)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민주통합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중랑구 을)박홍근 |
후임 (중랑구 갑)서영교 (중랑구 을)박홍근 |
전임 (중랑구 갑)서영교 (중랑구 을)박홍근 |
제20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 갑)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더불어민주당→무소속→더불어민주당 (중랑구 을)박홍근 |
후임 (중랑구 갑)서영교 (중랑구 을)박홍근 |
전임 (중랑구 갑)서영교 (중랑구 을)박홍근 |
제21대 국회의원(서울 중랑구 갑) 2020년 5월 30일~ 더불어민주당 (중랑구 을)박홍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