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구
중랑구(中浪區)는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다. 동쪽은 경기도 구리시, 서쪽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남쪽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북쪽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등과 접한다.[3]
![]() 중랑구청 | ||
![]() 중랑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18.51 km2 | |
세대 | 185,920 가구 (2020[1]) | |
총인구 | 394,702 명 (2020[2]) | |
인구밀도 | 21,324 명/km2 | |
행정동 | 16개 | |
법정동 | 6개 | |
구청장 | 류경기(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갑: 서영교(더불어민주당) 을: 박홍근(더불어민주당) | |
구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봉화산로 179 | |
홈페이지 | 중랑구청 | |
상징 | ||
구목 | 느티나무 | |
구화 | 배꽃 | |
구조 | 까치 |
지명 유래편집
동대문구에서 분구할 때 분구의 기준이 되었던 중랑천에서 이름을 따왔다. 다만 이 중랑천은 일제강점기 때 붙여진 이름이며, 원 이름은 한천(漢川)이다.
지리편집
동쪽은 불암산에서 뻗어 내린 구릉산(검암산), 망우산, 용마산 등의 산줄기가 발달해 있으며, 북쪽은 봉화산 일대의 구릉지가 있다. 서쪽으로 묵동천과 면목천이 계곡 사이를 흘러 중랑천에 합류되었으며, 다시 한강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면목천과 중랑천이 만나는 지역은 상습 침수 지역이었으며, 거의 대부분 복개되어 있다.
역사편집
동대문구에 편입되기 전의 역사는 양주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88년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동대문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 구역편집
중랑구의 행정 구역은 16개 행정동으로 관리되며, 면적은 18.51km2이다. 중랑구의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74,313세대, 423,655명이다.[5]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면목본동 | 面牧本洞 | 1.01 | 16,197 | 37,090 |
면목제2동 | 面牧第2洞 | 0.73 | 12,019 | 28,404 |
면목제3.8동 | 面牧第3.8洞 | 1.67 | 12,759 | 29,569 |
면목제4동 | 面牧第4洞 | 1.11 | 9,803 | 22,634 |
면목제5동 | 面牧第5洞 | 0.64 | 6,105 | 14,407 |
면목제7동 | 面牧第7洞 | 0.87 | 10,673 | 25,877 |
상봉제1동 | 上鳳第1洞 | 0.85 | 9,276 | 25,826 |
상봉제2동 | 上鳳第2洞 | 0.68 | 9,225 | 18,758 |
중화제1동 | 中和第1洞 | 0.68 | 8,318 | 21,787 |
중화제2동 | 中和第2洞 | 0.98 | 14,498 | 31,005 |
묵제1동 | 墨第1洞 | 1.20 | 13,760 | 36,259 |
묵제2동 | 墨第2洞 | 0.70 | 8,476 | 20,267 |
망우본동 | 忘憂本洞 | 2.88 | 14,681 | 34,992 |
망우제3동 | 忘憂第3洞 | 0.99 | 8,298 | 19,400 |
신내1동 | 新內1洞 | 2.53 | 10,982 | 32,199 |
신내2동 | 新內2洞 | 0.99 | 9,243 | 25,181 |
중랑구 | 中浪區 | 18.51 | 174,313 | 423,655 |
인구편집
- 서울특별시 중랑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 총인구 | |
---|---|---|
1990년 | 448,383명 | |
1995년 | 439,802명 | |
2000년 | 440,018명 | |
2005년 | 412,380명 | |
2010년 | 400,027명 | |
2015년 | 403,237명 |
문화편집
자연공원편집
하천편집
산편집
문화재편집
교육 기관편집
서울특별시동부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포츠편집
축구편집
교통편집
지하철편집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본선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광운대 ~ 상봉 구간 (망우선)
버스편집
업체명 | 대표자 | 위 치 |
---|---|---|
경성여객 | 김종원 김정환 |
용마산로 380 (면목동) |
메트로버스 | 최윤준 | 신내역로 25 (신내동) |
보광운수 | 신영식 | 신내역로 25 (신내동)[6] |
북부운수 | 최윤준 | 면목로 230 (면목동) |
업체명 | 대표자 | 위 치 |
---|---|---|
중랑운수 | 이경자 | 용마산로94길 84 (면목동) |
금창운수 | 신현종 | 동일로124길 76 (중화동)[7] |
케이블 방송사편집
자매 결연편집
우호 도시편집
역대 구청장편집
역대 중랑구청장의 선거에 대해서는 중랑구청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랑구청장 목록
구분 | 성명 | 재임기간 | 비고 |
---|---|---|---|
1 | 이문재 (李文在) | 1988년 5월 12일 ~ 1992년 10월 9일 | |
2 | 이기재 (李褀載) | 1992년 10월 10일 ~ 1993년 3월 17일 | |
3 | 김명주 (金明柱) | 1993년 3월 18일 ~ 1995년 6월 30일 | |
4 | 이문재 (李文在)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선 1기 |
5 | 정진택 (鄭鎭澤)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 2기 |
6 | 문병권 (文秉權)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민선 3기 |
7 | 문병권 (文秉權)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 4기 |
8 | 문병권 (文秉權)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 5기 |
9 | 나진구 (羅鎭求)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 6기 |
10 | 류경기 (柳炅基)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민선 7기 |
각주편집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중랑천의 이름의 기원은 여러가지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대동방여전도》에는 중량포(中梁浦)라는 지명이 있는데 발음이 변했다는 설도 있으며, 대나무(竹)의 잎과 가지가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물결(浪)에 빗댄 죽랑을 소리 나는 대로 쓰다 보니 얻어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 ↑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제정 1987년 12월 31일 대통령령 제12367호)
- ↑ 《제25회 중랑통계연보 (2013)》. 중랑구청. 2013. 9쪽, 21쪽.
- ↑ 상법 상 본점 주소는 은평구 수색로24길 19 (수색동, 은평공영차고지)이다.
- ↑ 상법 상 본점 주소는 노원구 화랑로45길 127 (월계동)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중랑구청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