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바위역
한국철도공사 과천선의 전철역중 하나
서울 인왕산의 바위에 대해서는 선바위 (서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선바위역(Seonbawi station, 선바위驛)은 경기도 과천시 과천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전철역이다. 역세권 자체의 수요는 많지 않은 대신, 양재동, 사당동, 과천동으로 가는 길목에 있어 버스의 환승 수요가 많다. 또한 큰 공영주차장이 있고, 우면산과 인접해 등산객들의 방문이 잦다. 이 역부터 오이도역까지 한국철도공사 구간이고 좌측 통행이다. 양재천 하저터널로 경마공원역과 연결된다.
선바위
| |
---|---|
역명판(2020/09) | |
승강장(2020/09)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안양관리역 |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지하440 (과천동 355) |
좌표 | 북위 37° 27′ 6.7″ 동경 127° 0′ 7.7″ / 북위 37.451861° 동경 127.002139° |
노선 | 과천선 |
개업일 | 1994년 4월 1일 |
역 번호 | 435 |
종별 | 무배치간이역 |
등급 | 3급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선) | |
진접(경복대) 기점 47.3km | |
|
역사
편집남태령역 방면 선로의 특이 사항
편집이 역과 남태령역 사이에는 입체 교차 터널이 있으며 교류-직류 절연 구간이 있다. 이는 남태령역이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통행 방식과 전력 공급 방식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이다.
역명 유래
편집선바위는 인근 하천(양재천)에 큰 바위가 우람하게 서있다는 '선암'이라는 지명을 순우리말로 풀이한것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그냥 선암역(仙岩驛)으로 개통해도 되었지만 굳이 선바위역으로 개통한 이유는 울산광역시에 같은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동해선 선암역(현 개운포역)이 있기 때문이다.
역 구조
편집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갖추어진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다.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하다.
승강장
편집4호선 선바위역 배선도 | |||||||||||||||||||||||||||||||||||||||||||||||||||||||||||||||||||||||||||||||||||||||||||||||||||||||||||||||||||||||||||||||||||||||||
---|---|---|---|---|---|---|---|---|---|---|---|---|---|---|---|---|---|---|---|---|---|---|---|---|---|---|---|---|---|---|---|---|---|---|---|---|---|---|---|---|---|---|---|---|---|---|---|---|---|---|---|---|---|---|---|---|---|---|---|---|---|---|---|---|---|---|---|---|---|---|---|---|---|---|---|---|---|---|---|---|---|---|---|---|---|---|---|---|---|---|---|---|---|---|---|---|---|---|---|---|---|---|---|---|---|---|---|---|---|---|---|---|---|---|---|---|---|---|---|---|---|---|---|---|---|---|---|---|---|---|---|---|---|---|---|---|---|
|
↑ 남태령 |
1 | | 2 |
경마공원 ↓ |
1 | ● 수도권 전철 4호선 | 사당 · 한성대입구 · 불암산 방면 |
---|---|---|
2 | 금정 · 산본 · 안산 · 오이도 방면 |
환승 버스
편집- 1번 출구 (양재방향) : 일반 6, 8-1(주말), 11-3, 19, 917 마을 7-2, 서초 18 직행 3000, 3003, 3030, 6501, 7900 간선 441, 541, 542 지선 4435 광역 9100, 9200, 9201, 9300, M6405, M6410
- 2번 출구 (과천방향) : 일반 6, 8-1(주말), 11-3, 19, 917 마을 7-2, 서초 18 직행 3000, 3003, 3030, 6501, 7900 간선 441, 541, 542 지선 4435 광역 9100, 9200, 9201, 9300, M6405, M6410
역 주변
편집승차량 변동
편집역 노선 | 승차 인원 | 주 석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4호선 | 2424 | 2821 | 2954 | 3215 | 2646 | 2774 | 2859 | 3212 | 3718 | 4201 | 4822 | 5915 | 6738 | 7663 | 9199 | 14411 | 9022 | 8959 | 9357 | 9358 | 6883 | 6692 | 7215 | [2] |
사진
편집-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역사내부 변경 전)
-
1번 출구
-
3번 출구(중앙로)
인접한 역
편집과천선 | ||
---|---|---|
434 남태령 불암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4호선 |
436 경마공원 오이도 방면 |
각주
편집- ↑ 선바위역의 경우 2004년 3월 31일 이전만 해도 철도청 본부나 관리역에다가 전화하여 대용승차권으로 발권했었으나, 2004년 4월 1일부터 동년 12월 10일까지 KTX, 새마을, 무궁화호, 통근열차표를 구매할 수 있었다. 신길온천역, 수리산역, 대공원역도 마찬가지였으며, 2018년 8월 현재 퇴역한 한 역무원이 제보해주었다.
- ↑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1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