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小笒, 영어: sogeum, sogum 또는 sogŭm)은 한국의 전통 관악기 중의 하나이다. 향악기로 분류되며, 대금, 중금과 함께 신라삼죽(新羅三竹)에 속하는 악기이다.

기원과 역사 편집

삼국사기》에 따르면, 소금을 비롯한 신라삼죽은 '신라에서 기원된 것으로 누가 만든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한다.[1]

악학궤범》 이후의 문헌에는 소금이라는 이름이 나타나 있지 않는데, 이는 당악기의 하나인 당적과 형태와 음이 비슷하여 당적에 자리를 넘겨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이후 1950년대 초 국악사양성소의 교과 과정 속에서 소금이라는 이름이 재생되었다.[2]

이용과 편성 편집

소금은 〈보허자〉, 〈낙양춘〉과 같은 당악과 〈보태평〉, 〈정대업〉등의 당악계 음악 및 〈여민락〉, 〈수제천〉과 같은 향악의 합주에 편성된다.

현대 음악에서는 특유의 영롱한 소리 때문에 각종 창작국악에 널리 이용된다.

형태 편집

재질은 주로 대나무이다.현대에는 제작의 편의 및 보급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만들기도 한다.

플루트와 흡사하며,길이는 재료로 삼은 대나무에 따라 다르나 약 40cm가량 되며, 취구(吹口)가 있는 쪽 끝은 막혀 있다.

지공은 모두 6개이며 음정의 조절을 위하여 끝에 칠성공을 파기도 한다.

-현재의 전문가들은 창작곡을 연주 할때에는 정악곡을 할 때의 소금보다 얇은 관대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줄곧 쓰던 소금보다 좀 더 높은음을 자유 자재로 연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역 편집

소금의 음역은 임종(林: B)부터 중청남려(㵜: C)까지이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삼국사기》잡지 제 1
  2. 《국악개론》, 서한범, 태림출판사, P.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