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말말갈
속말말갈(粟末靺鞨)은 말갈의 한 부족이다. 반농반수렵(半農半狩獵)을 주로 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는 모든 말갈들을 복속시켰고 물길이 차지한 옛 부여 지역의 송화강 일대에 거주하는 물길 7종 하나인 속말말갈도 고구려 초기부터 복속되어 있었으나 사서 기록에서는 581년~600년 고구려에 정복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말갈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긴 《수서 (역사서)》에서 불열말갈 동쪽 지방의 화살만 모두 돌촉(石鏃)인데, 바로 옛날 숙신씨의 지역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통설은 속말말갈이 퉁구스족이라는 것이지만, 숙신과 예맥의 결합물이라는 학설, 예맥이라는 학설, 말갈 자체가 그저 범칭이자 비문명화된 부락에 대한 멸칭이었다는 학설 등이 난립하고 있다.
조양에서 출토된 석상 2점의 족속을 속말말갈로 추정하기도 한다.
668년, 고구려가 멸망하자 고구려에 복속되었던 말갈족들은 사방으로 흩어지거나 영주(營州)로 강제 이주당했다.
696년, 영주에서 거란의 이진충(李盡忠)이 당나라에 반기를 들자 , 대걸중상[1]은 말갈반인 걸사비우와 함께 각각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들을 이끌며 영주를 탈출했다.
이후 대조영이 이끄는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들은 읍루의 동모산으로 가서 나라를 세웠으니 그 나라가 바로 발해다.[2] 대조영은 당나라를 토벌하고 영주를 정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