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 에서 아벨 극한 정리 (-極限定理, 영어 : Abel's limit theorem )는 수렴 영역 의 어떤 경계점 에서 수렴하는 멱급수 의 성질에 대한 정리이다.[ 1] :41-42, §2.5
중심이 0인 실수 멱급수
∑
n
=
0
∞
a
n
x
n
(
a
0
,
a
1
,
a
2
,
⋯
∈
R
)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x^{n}\qquad (a_{0},a_{1},a_{2},\dots \in \mathbb {R} )}
의 수렴 반지름 이
0
<
r
<
∞
{\displaystyle 0<r<\infty }
이라고 하자. 아벨 극한 정리 에 따르면, 만약
∑
n
=
0
∞
a
n
r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r^{n}}
이 수렴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2] :177, §20, Theorem 100
lim
x
→
r
−
∑
n
=
0
∞
a
n
x
n
=
∑
n
=
0
∞
a
n
r
n
{\displaystyle \lim _{x\to r^{-}}\sum _{n=0}^{\infty }a_{n}x^{n}=\sum _{n=0}^{\infty }a_{n}r^{n}}
또한, 만약
∑
n
=
0
∞
a
n
(
−
r
)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r)^{n}}
이 수렴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2] :178, §20
lim
x
→
(
−
r
)
+
∑
n
=
0
∞
a
n
x
n
=
∑
n
=
0
∞
a
n
(
−
r
)
n
{\displaystyle \lim _{x\to (-r)^{+}}\sum _{n=0}^{\infty }a_{n}x^{n}=\sum _{n=0}^{\infty }a_{n}(-r)^{n}}
편의상
r
=
1
{\displaystyle r=1}
이고[ 3] :220, §11.2
∑
n
=
0
∞
a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
이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멱급수가
[
0
,
1
]
{\displaystyle [0,1]}
에서 균등 수렴 함을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두 함수열
(
f
n
,
g
n
:
[
0
,
1
]
→
R
)
n
=
0
∞
{\displaystyle (f_{n},g_{n}\colon [0,1]\to \mathbb {R} )_{n=0}^{\infty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
n
(
x
)
=
a
n
(
x
∈
[
0
,
1
]
,
n
≥
0
)
{\displaystyle f_{n}(x)=a_{n}\qquad (x\in [0,1],\;n\geq 0)}
g
n
(
x
)
=
x
n
(
x
∈
[
0
,
1
]
,
n
≥
0
)
{\displaystyle g_{n}(x)=x^{n}\qquad (x\in [0,1],\;n\geq 0)}
그렇다면,
∑
n
=
0
∞
f
n
(
x
)
{\displaystyle \sum _{n=0}^{\infty }f_{n}(x)}
는
[
0
,
1
]
{\displaystyle [0,1]}
에서 균등 수렴하고, 임의의
x
∈
[
0
,
1
]
{\displaystyle x\in [0,1]}
에 대하여,
(
g
n
(
x
)
)
n
=
0
∞
{\displaystyle (g_{n}(x))_{n=0}^{\infty }}
는 감소 수열이다. 또한, 임의의
x
∈
[
0
,
1
]
{\displaystyle x\in [0,1]}
및
n
≥
0
{\displaystyle n\geq 0}
에 대하여,
|
g
n
(
x
)
|
≤
1
{\displaystyle |g_{n}(x)|\leq 1}
이다. 아벨 판정법 에 의하여,
∑
n
=
0
∞
a
n
x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x^{n}}
은
[
0
,
1
]
{\displaystyle [0,1]}
에서 균등 수렴한다.
아벨 극한 정리에 따라, 만약 실수 멱급수가 수렴 구간의 오른쪽 끝점에서 수렴한다면 이 끝점에서 좌연속 함수 이고, 왼쪽 끝점에서 수렴한다면 이 끝점에서 우연속 함수 이다. 즉, 실수 멱급수는 전체 수렴 구간에서 연속 함수 이다.[ 3] :221, §11.2, 따름정리2 그러나, 복소수 멱급수는 수렴 영역의 경계점 에서 수렴하더라도, 이 경계점에서 연속 함수가 아닐 수 있다.
아벨 극한 정리는 급수를 적분으로 변환시켜 구할 때 종종 이용된다. 이는 아벨의 합 공식 이 이상 적분 을 변수를 포함하는 이상 적분의 극한으로 변환시켜 구하는 것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급수
∑
n
=
0
∞
(
−
1
)
n
3
n
+
1
=
1
−
1
4
+
1
7
−
⋯
{\displaystyle \sum _{n=0}^{\infty }{\frac {(-1)^{n}}{3n+1}}=1-{\frac {1}{4}}+{\frac {1}{7}}-\cdots }
를 계산해 보자. (이 급수는 교대급수 판정법 에 의하여 수렴한다.) 다음과 같은 함수
f
:
[
0
,
1
]
→
R
{\displaystyle f\colon [0,1]\to \mathbb {R} }
를 정의하자.
f
(
x
)
=
∑
n
=
0
∞
(
−
1
)
n
x
3
n
+
1
3
n
+
1
(
x
∈
[
0
,
1
]
)
{\displaystyle f(x)=\sum _{n=0}^{\infty }(-1)^{n}{\frac {x^{3n+1}}{3n+1}}\qquad (x\in [0,1])}
그렇다면, 아벨 극한 정리에 의하여
f
{\displaystyle f}
는 연속 함수이다. 임의의
x
∈
[
0
,
1
)
{\displaystyle x\in [0,1)}
에 대하여
f
′
(
x
)
=
∑
n
=
0
∞
(
−
1
)
n
x
3
n
=
1
1
+
x
3
{\displaystyle f'(x)=\sum _{n=0}^{\infty }(-1)^{n}x^{3n}={\frac {1}{1+x^{3}}}}
이므로, 임의의
x
∈
[
0
,
1
)
{\displaystyle x\in [0,1)}
에 대하여
f
(
x
)
=
f
(
0
)
+
∫
0
x
f
′
(
x
)
d
x
=
1
6
ln
(
x
+
1
)
2
x
2
−
x
+
1
+
1
3
arctan
2
x
−
1
3
+
π
6
3
{\displaystyle f(x)=f(0)+\int _{0}^{x}f'(x)\mathrm {d} x={\frac {1}{6}}\ln {\frac {(x+1)^{2}}{x^{2}-x+1}}+{\frac {1}{\sqrt {3}}}\arctan {\frac {2x-1}{\sqrt {3}}}+{\frac {\pi }{6{\sqrt {3}}}}}
이다. 따라서,
∑
n
=
0
∞
(
−
1
)
n
3
n
+
1
=
f
(
1
)
=
lim
x
→
1
−
f
(
x
)
=
1
3
ln
2
+
π
3
3
{\displaystyle \sum _{n=0}^{\infty }{\frac {(-1)^{n}}{3n+1}}=f(1)=\lim _{x\to 1^{-}}f(x)={\frac {1}{3}}\ln 2+{\frac {\pi }{3{\sqrt {3}}}}}
이다.
중심이 0이고 모든 계수가 음이 아닌 실수인 멱급수
∑
n
=
0
∞
a
n
x
n
(
a
0
,
a
1
,
a
2
,
⋯
≥
0
)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x^{n}\qquad (a_{0},a_{1},a_{2},\dots \geq 0)}
의 수렴 반지름이
0
<
r
<
∞
{\displaystyle 0<r<\infty }
이고,
∑
n
=
0
∞
a
n
r
n
=
∞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r^{n}=\infty }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2] :178, §20
lim
x
→
r
−
∑
n
=
0
∞
a
n
x
n
=
∞
{\displaystyle \lim _{x\to r^{-}}\sum _{n=0}^{\infty }a_{n}x^{n}=\infty }
중심이 0인 실수 멱급수
∑
n
=
0
∞
a
n
x
n
(
a
0
,
a
1
,
a
2
,
⋯
∈
R
)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x^{n}\qquad (a_{0},a_{1},a_{2},\dots \in \mathbb {R} )}
의 수렴 반지름 이
0
<
r
<
∞
{\displaystyle 0<r<\infty }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2] :189, Exercise 70
lim inf
n
→
∞
∑
k
=
0
n
a
k
r
k
≤
lim sup
x
→
r
−
∑
n
=
0
∞
a
n
x
n
≤
lim sup
n
→
∞
∑
k
=
0
n
a
k
r
k
{\displaystyle \liminf _{n\to \infty }\sum _{k=0}^{n}a_{k}r^{k}\leq \limsup _{x\to r^{-}}\sum _{n=0}^{\infty }a_{n}x^{n}\leq \limsup _{n\to \infty }\sum _{k=0}^{n}a_{k}r^{k}}
중심이 0인 복소수 멱급수
∑
n
=
0
∞
a
n
z
n
(
a
0
,
a
1
,
a
2
,
⋯
∈
C
)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z^{n}\qquad (a_{0},a_{1},a_{2},\dots \in \mathbb {C} )}
의 수렴 반지름이
0
<
r
<
∞
{\displaystyle 0<r<\infty }
이고,
|
ζ
|
=
r
{\displaystyle |\zeta |=r}
인 어떤
ζ
∈
C
{\displaystyle \zeta \in \mathbb {C} }
에 대하여
∑
n
=
0
∞
a
n
ζ
n
{\displaystyle \sum _{n=0}^{\infty }a_{n}\zeta ^{n}}
이 수렴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
t
→
1
−
∑
n
=
0
∞
a
n
(
t
ζ
)
n
=
∑
n
=
0
∞
a
n
ζ
n
{\displaystyle \lim _{t\to 1^{-}}\sum _{n=0}^{\infty }a_{n}(t\zeta )^{n}=\sum _{n=0}^{\infty }a_{n}\zeta ^{n}}
보다 일반적으로, 곡선
γ
:
[
0
,
1
]
→
ball
C
(
0
,
r
)
∪
{
ζ
}
{\displaystyle \gamma \colon [0,1]\to \operatorname {ball} _{\mathbb {C} }(0,r)\cup \{\zeta \}}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여기서
ball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
은 열린 공 이다.)
γ
(
1
)
=
ζ
{\displaystyle \gamma (1)=\zeta }
sup
t
∈
[
0
,
1
)
|
ζ
−
γ
(
t
)
|
|
ζ
|
−
|
γ
(
t
)
|
<
∞
{\displaystyle \sup _{t\in [0,1)}{\frac {|\zeta -\gamma (t)|}{|\zeta |-|\gamma (t)|}}<\infty }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1] :41, §2.5, Theorem 3
lim
t
→
1
−
∑
n
=
0
∞
a
n
γ
(
t
)
n
=
∑
n
=
0
∞
a
n
ζ
n
{\displaystyle \lim _{t\to 1^{-}}\sum _{n=0}^{\infty }a_{n}\gamma (t)^{n}=\sum _{n=0}^{\infty }a_{n}\zeta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