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동
안심동(安心洞)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의 행정동군이다.
안심1동 安心1洞 | |
---|---|
Ansim 1(il)-dong | |
![]() | |
면적 | 3.34 km2 |
인구 (2020.7.31.) | 44,007 명 |
인구 밀도 | 13,200 명/km2 |
세대 | 20,004가구 |
법정동 | 신기동, 율하동 |
통·리·반 | 49통 296반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로 121 |
웹사이트 | 안심1동주민센터 |
안심2동 安心2洞 | |
---|---|
Ansim 2(i)-dong | |
면적 | 13.54 km2 |
인구 (2020.7.31.) | 11,207 명 |
인구 밀도 | 827.7 명/km2 |
세대 | 4,896가구 |
법정동 | 용계동, 율암동, 상매동, 매여동 |
통·리·반 | 16통 69반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반야월로1길 28 |
웹사이트 | 안심2동주민센터 |
안심3동 安心3洞 | |
---|---|
Ansim 3(sam)-dong | |
면적 | 6.1 km2 |
인구 (2020.7.31.) | 21,470 명 |
인구 밀도 | 3,500 명/km2 |
세대 | 8,170가구 |
법정동 | 괴전동, 금강동, 대림동, 사복동, 숙천동, 동호동, 신서동 |
통·리·반 | 18통 115반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로 368 남일빌딩 2층 |
웹사이트 | 안심3동주민센터 |
안심4동 安心4洞 | |
---|---|
Ansim 4(sa)-dong | |
인구 (2020.7.31.) | 29,725 명 |
세대 | 11,886가구 |
법정동 | 서호동, 동호동, 신서동, 각산동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로49길 98 |
웹사이트 | 안심4동주민센터 |
경산군 안심읍을 1981년 대구직할시 동구에 편입하여 안심출장소로 개편하였다가, 그 후 안심1~4동으로 분동하여 현재에 이른다. 신서동과 동내동 일대에 신서혁신도시가 조성 중이며, 안심동에서 분리하여 혁신동을 신설하게 된다. 숙천동 일대는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과 마주보고 있다.
유래편집
후백제의 견훤은 원래 상주고을 가은현 사람으로 본래의 성은 이씨였으나, 후백제 왕의 악몽을 갖고 천하를 병탄코자 공산동 수대전을 시정함에 고려 태조 왕건이 정기 5,000명으로 공산 아래서 맞아 대전을 벌였으나 전세가 불리하여 장사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이 죽고 제군이 패배함으로 왕건은 난을 피하여 지금의 동내동까지 이르니 적국의 추격이 없으므로 한 줌의 땀을 식히고 숨을 돌리게 되니 이 곳을 안심(安心)이라고 불렸다.
반야월편집
반야월(半夜月)은 안심(安心)의 별칭이다. 대구반야월초등학교, 반야월종합시장, 반야월성당, 반야월역, 반야월로, 반야월네거리, 반야월삼거리와 같이 학교, 시장, 역 등을 가리킬 때 많이 쓰인다.
역사편집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하양군 안심면, 경산군 북면[1]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하양군 안심면, 경산군 북면[2]
-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면[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경산군 북면 금강동, 내곡동, 대촌동/임천동, 동호동, 사복동, 상동동/마여동, 금호동/서호동, 중리동/숙천동, 신기동, 구룡동/금계동, 구암동/하율동, 율하동 안심면 금강동, 내곡동, 대림동, 동호동, 사복동, 상매동, 서호동, 숙천동, 신기동, 용계동, 율암동, 율하동 하양군 안심면 각산동/하막동, 송전동/괴동, 내상동/내하동, 매여동, 신중동/서동 안심면 각산동, 괴전동, 동내동, 매여동, 신서동
교육편집
안심1동편집
안심2동편집
안심3동편집
안심4동편집
교통편집
지하철편집
고속도로편집
기관편집
주거편집
아파트편집
- 안심2동
- 동양건설산업 대구 안심뉴타운 파라곤 (율암동) : 입주미정.
- 안심3동
- (주)신일 신서 신일해피트리 (신서동) : 2007년 3월 입주.
오피스텔편집
- 안심3동
- 대보건설 대구혁신도시 하우스디 어반 메가시티 (신서동) : 2022년 2월 입주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