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6년
연도
해 1893년 1894년 1895년 - 1896년 - 1897년 1898년 1899년 |
연대 1870년대 1880년대 - 1890년대 - 1900년대 1910년대 |
세기 17세기 18세기 - 19세기 - 20세기 21세기 |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연호편집
기년편집
사건편집
- 1월 1일 - 조선, 양력 사용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그레고리력 채용)
- 2월 11일 - 조선 고종이 신변의 위협을 느껴 아관파천을 감행하였다.
- 4월 6일 - 그리스 아테네에서 제1회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4월 15일).
- 4월 7일 - 서재필, 유길준, 윤치호, 주시경 등의 참여로 독립신문 창간.
- 5월 26일 -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 거행. 민영환, 윤치호등이 조선 사절단으로 참석.
- 7월 2일 -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이승만 등의 주도로 독립협회 결성.
- 8월 4일 - 조선의 지방제도를 23부제에서 13도로 개편하는 칙령(제36호) 반포되었다.
- 8월 27일 - 세계에서 가장 최단기로 끝낸 전쟁,영국과 잔지바르 술탄국의 영국-잔지바르 전쟁 발발
- 덕수궁의 함녕전에 자석식 전화기가 설치되어 고종이 자주 이용하였다.
탄생편집
- 1월 7일 - 빌리 아이흘러, 독일의 언론인, 정치인.
- 2월 18일 - 프랑스 시인 앙드레 브르통.
- 5월 30일 - 미국의 영화 감독 하워드 혹스
- 7월 16일 - 제1대 유엔 사무총장, 노르웨이의 정치인 트뤼그베 리.
- 8월 9일 - 장 피아제, 스위스 교육학자.
- 9월 16일 - 캐나다의 여성 장수자이며 前 트뤼도 행정부 예하 별정행정관 마거릿 피츠제럴드.
- 9월 24일 - 미국 소설가 스콧 피츠제럴드.
- 11월 23일 - 체코슬로바키아의 정치인 클레멘트 고트발트.
- 11월 30일 - 김억, 한국의 시인.
- 12월 1일 - 게오르기 주코프, 구 소련의 군인.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기붕.
- 인덕대학 창설자 박인덕.
- 한국의 화가 나혜석.
- 10월 7일 - 축구선수 파울리노 알칸타라.
사망편집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경인 | 대 | 2월 13일 | 병신 |
2월 | 신묘 | 대 | 3월 14일 | 병인 |
3월 | 임진 | 대 | 4월 13일 | 병신 |
4월 | 계사 | 소 | 5월 13일 | 병인 |
5월 | 갑오 | 대 | 6월 11일 | 을미 |
6월 | 을미 | 소 | 7월 11일 | 을축 |
7월 | 병신 | 소 | 8월 9일 | 갑오 |
8월 | 정유 | 대 | 9월 7일 | 계해 |
9월 | 무술 | 소 | 10월 7일 | 계사 |
10월 | 기해 | 대 | 11월 5일 | 임술 |
11월 | 경자 | 소 | 12월 5일 | 임진 |
12월 | 신축 | 대 | 1897년 1월 3일 | 신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