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남군
여남군(汝南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군국제 시행 시에 여남국(汝南國)이 설치됐었다.
전한
편집《한서》에서는 고제가 설치했다 하고[1] 《수경》 〈여수〉의 주에서는 설치 시기를 고제 4년(기원전 204년)으로 보았으나[2] 왕국유는 이를 부정했으며, 주진학은 문제 전12년(기원전 168년) 유무를 회양나라에서 양나라로 옮겨 봉하면서 회양군을 나누어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3] 경제가 자기 아들 유비를 여남왕으로 봉했다가, 오초칠국의 난 이후 옛 오나라를 강도나라로 고쳐 유비에게 주는 대신 여남나라는 거두어 군으로 돌렸다.[4]
예주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46만 1587호, 259만 6148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간(기원전 8년) 무렵의 상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1] 총 38현(28현 10후국)이다. 오늘날의 주마뎬 시의 대부분, 저우커우 시의 남부와 뤄허 시의 일부, 신양 시 북부, 그리고 푸양 시 일대에 해당한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여현 | 平輿縣 | 주마뎬시 핑위 현 북 | 응소에 따르면 옛 심 자국(子國: 자작의 봉국)이 바로 이 현의 심정(沈亭)이다. |
양안현 | 陽安縣 | 주마뎬시 남 | 응소에 따르면 옛 도 자국이 바로 이 현의 도정(道亭)이다. |
양성후국 | 陽城侯國 | 저우커우시 상수이 현 서 | 유덕의 후국이다. |
은강현 | 㶏強縣 | 뤄허시 린잉 현 동 | 응소에 따르면 은수(㶏水)는 영천군 양성에서 나온다. |
부피현 | 富波縣 | 푸양시 푸난 현 남동 | |
여양현 | 女陽縣 | 저우커우시 상수이현 서 | 응소에 따르면 여수(汝水)는 홍농에서 나와서 회수로 들어간다. |
주양현 | 鮦陽縣 | 푸양시 린취안 현 서 | 응소에 따르면 주수의 북쪽[陽]에 있다. |
오방현 | 吳房縣 | 주마뎬시 쑤이핑 현 서 | 맹강에 따르면 본디 방 자국인데, 초 영왕이 방나라 자작을 초나라로 옮겼고, 오왕 합려의 아우 부개(夫概)가 초나라로 달아나자 이곳을 부개에게 봉하니, 부개는 당계씨(堂谿氏)가 되었고, 이 땅이 오나라 사람에게 봉해진 고로 오방이라 했으니, 오방성 당계정이 바로 그곳이다. |
안성후국 | 安成侯國 | 주마뎬시 루난 현 남동 | 왕숭의 후국이다. |
남돈현 | 南頓縣 | 저우커우시 샹청 시 서 | 옛 돈 자국으로 희성이다. 응소에 따르면 돈나라는 진나라의 핍박을 받아 남쪽으로 옮겼기 때문에 남돈이라 하는 것이고, 옛 성이 여전히 있었다. |
낭릉현 | 朗陵縣 | 주마뎬시 췌산 현 남서 | 응소에 따르면 낭릉산이 서남쪽에 있다. |
세양현 | 細陽縣 | 푸양시 타이허 현 남동 | 안사고에 따르면 거세수(居細水)의 북쪽이라서 세양이라 한다. 세수는 신처(新郪)에서 나온다. |
의춘후국 | 宜春侯國 | 주마뎬시 루난 현 남서 | 위항과 왕흔의 후국이다. |
여음현 | 女陰縣 | 푸양시 | 옛 호(胡)나라다. 도위의 치소가 있다. |
신채현 | 新蔡縣 | 주마뎬시 신차이 현 | 채 평후가 채(蔡)에서 여기로 옮겼고, 2대 후에는 하채(下蔡)로 옮겼었다. |
신식현 | 新息縣
新鄎縣[5] |
신양시 시 현 | 맹강에 따르면 옛 식(息)나라인데 나중에 동쪽으로 옮겨서 신(新)을 덧붙였다. |
구양현 | 灈陽縣 | 주마뎬시 쑤이핑 현 동 | 응소에 따르면 구수는 오방(吳房)에서 나와 동으로 친수(瀙水)로 들어간다. |
기사현 | 期思縣 | 신양시 구스 현 북서 | 안사고에 따르면 옛 장(蔣)나라다. |
진양현 | 愼陽縣 | 주마뎬시 정양 현 | 응소에 따르면 진수(愼水)가 동북에서 나와 회수로 들어간다. 안사고는 진(愼)은 원래 진(滇)인데 나중에 잘못된 것이며, 여전히 진구(眞丘), 진양현(眞陽縣)이 있다고 한다. 감인(闞駰)은 영평 5년에 도장을 잃어버렸다가 다시 파면서 “水”가 “心”으로 잘못됐다고 한다. |
신현 | 愼縣 | 푸양시 잉상 현 북서 | |
소릉현 | 召陵縣 | 뤄허시 옌청 구 동 | 안사고에 따르면 제 환공이 초나라를 치려고 주둔한 그 소릉이다. |
익양후국 | 弋陽侯國 | 신양시 황촨 현 서 | 안사고에 따르면 익산(弋山)이 서북쪽에 있으며, 옛 황(黃)나라가 이 현의 황성(黃城)이다. 임궁의 후국이다. |
서평현 | 西平縣 | 주마뎬시 시핑 현 서 | 철관이 있다. 응소에 따르면 백(柏) 자국이 이 현의 백정(柏亭)이다. |
상채현 | 上蔡縣 | 주마뎬시 상차이 현 남서 | 옛 채나라로, 채중 호 이래 18세를 지나 신채로 옮겼다. |
침현 | 𥧲縣 | 푸양시 린취안 현 | 응소에 따르면 손숙오의 아들이 받은 침구(浸丘) 땅이다. |
서화현 | 西華縣 | 저우커우시 시화 현 남 | |
장평현 | 長平縣 | 저우커우시 시화 현 북동 | |
의록현 | 宜祿縣 | 저우커우시 단청 현 남동 | |
항현 | 項縣 | 저우커우시 선추 현 | 옛 나라다. |
신처현 | 新郪縣 | 푸양시 타이허 현 북 | 응소에 따르면 진나라가 위나라를 쳐 취한 처구(郪丘)인데 한나라에서 이름을 고쳤다. |
귀덕후국 | 歸德侯國 | ? | 선제가 설치했다. 선현전의 후국이다. |
신양현 | 新陽縣 | 푸양시 제서우 시 북 | 응소에 따르면 신수의 북쪽이다. |
안창후국 | 安昌侯國 | 주마뎬시 췌산 현 서 | 장우의 후국이다. |
안양후국 | 安陽侯國 | 주마뎬시 정양 현 남 | 유발·주좌거·왕음의 후국이다. 응소에 따르면 옛 강(江)나라는 바로 이 현의 강정(江亭)이다. |
박양후국 | 博陽侯國 | 저우커우시 상수이 현 동 | 병길의 후국이다. |
성양후국 | 成陽侯國 | 신양시 북 | 해의(奚意)·조림·유중(劉衆)의 후국이다. |
정릉현 | 定陵縣 | 뤄허시 옌청 구 북서 | 고릉산(高陵山)이 있고, 여수(汝水)가 나와, 동남으로 신채에 이르러 회수로 들어가며, 남양·하남·영천·여남 네 군을 지나 1340리를 간다. |
악창후국[6] | 樂昌侯國 | ? | 세양현의 지양향(池陽鄕)이었다. 장수(張壽), 왕무(王武)의 후국이다. |
신나라
편집군의 이름을 여분(汝汾), 혹은 여분(汝坟)으로 바꾸고 일부를 분할해 새로 상도(賞都)군을 세웠다.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 신 |
---|---|
양성(陽城) | 신안(新安) |
안성(安成) | 지성(至成) |
세양(細陽) | 낙경(樂慶) |
의춘(宜春) | 선잔(宣孱) |
여음(女陰) | 여분(汝墳) |
신채(新蔡) | 신천(新遷) |
신식(新息) | 신덕(新德) |
신(愼) | 신치(愼治) |
서평(西平) | 신정(新亭) |
침(浸) | 윤치(閏治) |
서화(西華) | 화망(華望) |
장평(長平) | 장정(長正) |
의록(宜祿) | 상도정(賞都亭) |
신처(新郪) | 신연(新延) |
귀덕(歸德) | 귀혜(歸惠) |
신양(新陽) | 신명(新明) |
안창(安昌) | 시성(始成) |
안양(安陽) | 균하(均夏) |
박양(博陽) | 낙가(樂家) |
성양(成陽) | 신리(新利) |
신나라 말기, 전한의 종실인 유망이 거병해 이 군을 점유하고 황제를 일컬었으나, 현한의 공격을 받아 패망했다.
후한, 조위
편집37성 404,448호 2,100,788명을 거느리는 큰 군이 되었다.[8] 후한말 213년경, 익양현과 기사현이 익양군으로, 송, 산상, 성부현이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222년(위 문제 황초 3년), 동부지역 10개현이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가 얼마못가 폐지되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여현 | 平輿縣 | 주마뎬시 핑위현 북 | |
신양후국 | 新陽候國 | 푸양시 제서우시 북 | |
서평현 | 西平縣 | 뤄허시 우양현 동남 | 203년(후한 헌제 건안 8년), 조조가 유표를 점령하기 위해 본현에 주둔했다. 원담, 원상이 기주를 두로 내전을 벌였다.[9] |
상채현 | 上蔡縣 | 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 | 채나라의 고지이다. 문소황후 견씨의 아버지 견일(甄逸)이 본현의 현령이었으나 견황후가 3살일 때 사망했다.[10] |
남돈현 | 南頓縣 | 저우커우시 샹청시 | 돈나라(頓國)의 고지이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여음현 | 女陰縣 | 푸양시 | 호나라(胡國)의 고지이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여양현 | 女陽縣 | 저우커우시 서남 | 원소, 원술형제의 원적지이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신식후국 | 新息候國 | 신양시 시현 | |
북의춘현 | 北宜春縣 | 주마뎬시 췌산현 서 | 후한대 의춘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은강후국 | 㶏強候國 | 뤄허시 린잉현 동 | |
구양현 | 灈陽縣 | 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 |
기사현 | 期思縣 | 신양시 화이빈현 기사진(期思鎭) | 현내의 장향(蒋鄕)은 장나라(蒋國)의 고지이다. |
양안현 | 陽安縣 | 주마뎬시 췌산현 북 | 과거 도정(道亭)에 나라가 있었다. |
항현 | 項縣 | 저우커우시 선추현 |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서화현 | 西華縣 | 저우커우시 시화현 남 | |
세양현 | 細陽縣 | 푸양시 타이허현 동 관집진 | |
안성후국 | 安成侯國 | 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 현내에 무성정(武城亭)이 있었다. |
오방현 | 吳房縣 | 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 현내에 당계정(棠谿亭)이 있었다. |
주양후국 | 鮦陽候國 | 푸양시 린취안현 서 | |
진양현 | 愼陽縣 | 주마뎬시 정양현 북 | |
신현 | 愼縣 | 푸양시 잉상현 북 |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신채현 | 新蔡縣 | 주마뎬시 신차이현 | 현내에 대려정(大吕亭)이 있었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안양후국 | 安陽侯國 | 신양시 시현 서 | 강정(江亭)은 과거 영성(嬴)을 쓰는 제후가 다스린 나라가 있었다. |
부파후국 | 富波候國 | 푸양시 푸난현 동남 | 후한초기 폐지되었지만 영원연간에 복구되었다. |
의록현 | 宜祿縣 | 저우커우시 단청현 의로진(宜路鎭)일대 | 후한초기 폐지되었지만 영원연간에 복구되었다. |
낭릉후국 | 朗陵候國 | 주마뎬시 췌산현 남 | |
익양후국 | 弋陽侯國 | 신양시 황촨현 융고향 익양고성 | 제후가 영씨성이었던 황나라(黃)나라가 본현 황정(黄亭)에 있었다. |
소릉현 | 召陵縣 | 뤄허시 동 | 현내에 경정(陘亭), 안릉향(安陵鄕)이 있었다. |
정강후국 | 征羌候國 | 저우커우시 상수이현 서 | 현내에 안릉정(安陵亭)이 있었다. |
사선후국 | 思善候國 | 보저우시 차오청구 고성진(古城鎭) | |
송공국 | 宋公國 | 푸양시 타이허현 예구진(倪邱鎭)일대 | 79년(후한 장제 건초 4년), 구현(丘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번양정(繁陽亭)이 있었다.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
포신후국 | 褒信候國 | 주마뎬시 신차이현 남 | 현내에 과거 나라가 있었던 뇌정(賴亭)이 있었다. |
원록후국 | 原鹿候國 | 푸양시 푸난현 남 |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정영후국 | 定潁候國 | 주마뎬시 시핑현 동북 | |
고시후국 | 固始候國 | 푸양시 린취안현 | 광무제시기 침현(𥧲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침구(𥧲丘)가 있었다. 222년 여음군으로 분리되었다. |
산상후국 | 山桑候國 | 보저우시 멍청현 북 | 본래 패군에 속했다. 현내에 하성부취(下城父聚), 수혜취(垂惠聚)가 있었다.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
성부현 | 城父縣 | 보저우시 차오청구 성부진(城父鎭) | 본래 패군에 속했다. 본래 이족이 차지했다. 현내에 장화태(章華台)가 있었다. 조조에 의해 초군으로 분리되었다. |
진
편집266년(진 무제 태시 2년), 여음, 신현, 원록, 고시, 주양, 신채, 송, 포신현이 여음군으로 재분리되고, 항현이 양군으로 이관되면서 군역이 크게 줄었다. 15현 21,500호를 거느렸다. 진 혜제시기인 302년(진 혜제 영녕 2년), 일부지역이 남돈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더욱 줄었다.[11] 왕기의 손자였던 왕미가 본군의 태수로 있었다가 혜제 말기 본군을 공략하고 그 지역의 태수와 현령을 살해했다. 영가의 난이후 후조의 석륵이 왕미를 격파하고 예주를 차지하면서 후조의 땅이 되었다. 이후 조적의 항쟁으로 잠시 동진이 수복했으나 북조에게 상실했다.[12] 동진 말기, 비수 대전으로 전진이 무너지고 후진, 후연등으로 인해 화북이 혼란스러워진 틈을 타 유유가 수복하면서 동진의 땅으로 재편입되었고, 406년(동진 안제 의희 2년), 대뢰 이북에 예주를 복구하면서 예주의 속군이 되었다.[1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신식현 | 新息縣 | 신양시 시현 | 군의 치소가 있었다. |
남안양현 | 南安陽縣 | 신양시 시현 서 | 안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안성현 | 安成縣 | 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 |
진양현 | 愼陽縣 | 주마뎬시 정양현 북 | |
북의춘현 | 北宜春縣 | 주마뎬시 췌산현 서 | |
낭릉현 | 朗陵縣 | 주마뎬시 췌산현 남 | |
양안현 | 陽安縣 | 주마뎬시 췌산현 북 | 과거 강나라(江國)가 있었고 현내에 강정(江亭)이 있었다. |
상채현 | 上蔡縣 | 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 | 317년 주마뎬시 루난현으로 교치되어 복구되었다. |
평여현 | 平輿縣 | 주마뎬시 핑위현 북 | 과거 침자국(沈子國)이 있었고 현내에 침정(沈亭)이 있었다. |
정영현 | 定潁縣 | 주마뎬시 시핑현 동북 | |
구양현 | 灈陽縣 | 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 |
남돈현 | 南頓縣 | 저우커우시 샹청시 | 혜제시기 남돈군이 분리되면서 남돈군의 치소가 되었다. |
여양현 | 女陽縣 | 저우커우시 서남 | |
오방현 | 吳房縣 | 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 과거 방자국(房子國)이 있었다. |
서평현 | 西平縣 | 뤄허시 우양현 동남 | 과거 백나라(柏國)가 있었고 현내에 용천(龍泉)이 있었다. |
유송
편집11현 11,291호 89,349명을 거느렸다.[1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직위 | 비고 |
---|---|---|---|---|
상채현 | 上蔡縣 | 주마뎬시 루난현 | 令 | |
평락현 | 平樂縣 | |||
북신식현 | 北新息縣 | |||
진양현 | 愼陽縣 | 주마뎬시 정양현 북 | ||
안성현 | 安成縣 | 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 ||
남신식현 | 南新息縣 | 신양시 시현 | ||
낭릉현 | 朗陵縣 | 주마뎬시 췌산현 남 | ||
양안현 | 陽安縣 | 주마뎬시 췌산현 북 | ||
서평현 | 西平縣 | 뤄허시 우양현 동남 | ||
구양현 | 灈陽縣 | 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 ||
안양현 | 安陽縣 | 신양시 시현 서 | 서진대의 남안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북위
편집북위는 여남군을 점령한 뒤 군의 치소를 상채현으로 옮겼다. 8현 15,889호 37,061명을 거느렸다.[14]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상채현 | 上蔡縣 | 주마뎬시 상차이현 서남 | |
임려현 | 臨汝縣 | ||
평여현 | 平輿縣 | 주마뎬시 핑위현 북 | |
안성현 | 安成縣 | 주마뎬시 핑위현 서남 | |
서평현 | 西平縣 | 뤄허시 우양현 동남 | |
구양현 | 瞿陽縣 | 주마뎬시 쑤이핑현 동북 | |
양안현 | 陽安縣 | 주마뎬시 췌산현 북 | |
보성현 | 保城縣 | 주마뎬시 루난현 남 삼교진(三橋鎭)일대 |
수
편집동위때 행태(行台)가 설치되었고 북주에서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여남군이 속한 예주는 일시적으로 서주(舒州)로 불렸다가 낙주를 예주로 고치면서 잠시 진주(溱州)로 개명되고 후에 채주(蔡州)로 개명되었다. 11현 152,785호를 거느렸다.[1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여양현 | 汝陽縣 | 주마뎬시 루난현 | 상채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고 보성현(保城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홍극피(鴻郤陂)가 있었다. |
성양현 | 城陽縣 | 주마뎬시 비양현 서남 | 양나라 때 설치된 현이다. 의흥현(義興縣)이 있었는데, 이 현은 초주에 소속되었다. 동위에서 서초주(西楚州)로 소속이 바뀌었고 북제 때 영주(永州)로 바뀌었다.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순주(純州)가 통폐합되었다. 598년(수 문제 18년), 의흥현이 순의현으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해당주현이 모두 통폐합되었다. 북제 때 오성군(伍城郡)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십장산(十丈山), 대목산(大木山)이 있었다. |
진양현 | 真陽縣 | 주마뎬시 루난현 양축진(梁祝鎭)일대 | 동위 때 영주(郢州)가 폐지되고 의양군이 설치되었고 북제 때 군이 보성현에 통폐합되었다. 591년(수 문제 개황 11년) 현이 폐지되었으나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진구현으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나라 때 백구현(白狗縣)이 있었는데, 이 현은 회주에 소속되었으나 북제 때 회주가 폐지되고 제흥군(齊興郡)이 설치되면서 제흥군의 속현이 되었다. 이 제흥군은 얼마못가 폐지되었고 개황초기 백구현이 회천현으로 개명되었으나 얼마못가 통폐합되었다. 또한 북위의 안양현(安陽縣)이 있었으나 폐지되었다. 현내에 문수(汶水)가 있었다. |
신식현 | 新息縣 | 신양시 시현 | 북위 때 동예주가 설치되었고 양나라 때 서예주로 바뀌었다. 이후 서예주는 회주로 바뀌었고 동위는 다시 동예주로 이름을 바꿨다가 북주에서 식주(息州)로 개명되었다. 대업초기 식주가 폐지되었다. 양나라 때 설치된 전주(滇州), 북광성군(北光城郡), 북신식현(北新息縣)이 모두 통폐합되었다. |
포신현 | 褒信縣 | 신양시 포신진(包信鎭) | 유송대 포신현(包信縣)으로 개명되었으나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제시기 장릉군(長陵郡)이 현으로 강등되 통폐합되었고, 개황초기 양나라 때 신설된 양안군(梁安郡)이 통폐합되었다. 대업초기 장릉현이 통폐합되었다. |
상채현 | 上蔡縣 | 주마뎬시 상차이현 황부진 남일대 | 북제 때 임려현이 폐지되었다. 개황중에 무진현(武津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고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평여현 | 平輿縣 | 주마뎬시 핑위현 마장촌(馬庄村)일대 | 현내에 갈피(葛陂)가 있었다. |
신채현 | 新蔡縣 | 주마뎬시 신차이현 | 북위 이전까지 신채군이었다가 동위 때 채주()가 설치되었다. 북제 때 채주가 폐지되고 광녕군이 설치되었다. 개황초기 광녕군이 폐지되었고 596년 서주와 서현, 광녕현이 설치되었다. 601년(수 문제 인수 원년), 광녕현이 여북현(汝北縣)으로 개명되었다. 개황초기 주가 폐지되면서 여북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또한 북제 때 영강현이 설치되었는데, 후에 장수현(澺水縣)으로 개명되었고 서현이 통폐합되었다. |
낭산현 | 朗山縣 | 주마뎬시 췌산현 | 개황초기 초안군(初安郡)이 폐지되었고 598년 안창현(安昌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나라 때 제주(除州)가 설치되었는데 북위에서 폐지되었고 북제 때 형주가 설치되었으나 얼마못가 폐지되었다. 북주시기 위주(威州)가 설치되었으나 후에 폐지되었다. |
오방현 | 吳房縣 | 주마뎬시 쑤이핑현 | 본래 수녕현(遂甯縣)으로 북제시기 수의현(綏義縣)이 통폐합되었다. 대업초기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
서평현 | 西平縣 | 주마뎬시 시핑현 주범촌(周范村)일대 | 북위 때의 양성군(襄城郡)이 북제 때 문성군(文城郡)으로 바뀌었으나 개황초기 폐지되었다. 598년 무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나 대업초기 폐지되었다. 현내에 옛 유주(洧州, 첨주(灊州)가 있었으나 북제 때 설치되었다가 개황초기 폐지되었다. |
군수·태수
편집전한
편집후한
편집- 양담(梁湛)
- 종구
조위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반고 찬, 안사고 주: 《한서》 권28 상 지리지제8 상
- ↑ 역도원: 《수경주》 권21 여수
- ↑ 周振學 (1987년 8월). 《西汉政区地理》 [서한정구지리]. 人民出版社.
- ↑ 반고: 《한서》 권53 경십삼왕전제23
- ↑ 허신: 《설문해자》 권7 읍부(邑部)
- ↑ 한서 지리지에는 없고, 한서지리지휘석에서는 악창후국이 있으나 누락되었다고 했다.
- ↑ 周振鹤 (2006년 6월). 《汉书地理志汇释》. 合肥市回龙桥路1号: 安徽教育出版社. 115 ~ 124쪽. ISBN 7-5336-4757-2.
- ↑ 《후한서》속한지 제 20 군국지 2 예주 여남군[1]
- ↑ 《삼국지》위지 1권 무제기 [2]
- ↑ 《삼국지》위지 5권 후비전 문소견황후 [3]
- ↑ 《진서》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예주 여남군 [4]
- ↑ 《진서》62권 열전 제 32 조적열전 [5]
- ↑ 가 나 《송서》36권 지 제26 주군지 2 예주 여남군 [6]
- ↑ 《위서》106권 지 제2 지형 中 예주 여남군 [7]
- ↑ 《수서》권30 지 제 25 지리 中 예주 여남군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