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록소 b

엽록소의 종류

엽록소 b(葉綠素 b, 영어: chlorophyll b)는 엽록소의 한 형태이다. 엽록소 b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돕는다. 엽록소 b카보닐기 때문에 극성 용매에서 엽록소 a보다 더 잘 녹는다. 색상은 녹색이며, 주로 청색광을 흡수한다.[2]

엽록소 b
Structure of β-Chlorophyll
이름
IUPAC 이름
chlorophyll b
체계명
magnesium [methyl (3S,4S,21R)-14-ethyl-13-formyl-4,8,18-trimethyl-20-oxo-3-(3-oxo-3-[(2E,7R,11R)-3,7,11,15-tetramethyl-2-hexadecen-1-yl]oxy}propyl)-9-vinyl-21-phorbinecarboxylatato(2-)-κ2N,N′]
별칭
β-chlorophyll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07.522
EC 번호
  • 208-272-4
E 번호 E140 (착색제)
UNII
  • InChI=1S/C55H71N4O6.Mg/c1-12-38-35(8)42-27-43-36(9)40(23-24-48(61)65-26-25-34(7)22-16-21-33(6)20-15-19-32(5)18-14-17-31(3)4)52(58-43)50-51(55(63)64-11)54(62)49-37(10)44(59-53(49)50)28-46-39(13-2)41(30-60)47(57-46)29-45(38)56-42;/h12,25,27-33,36,40,51H,1,13-24,26H2,2-11H3,(H-,56,57,58,59,60,62);/q-1;+2/p-1/b34-25+;/t32-,33-,36+,40+,51-;/m1./s1 예
    Key: NSMUHPMZFPKNMZ-VBYMZDBQSA-M 예
  • InChI=1S/C55H72N4O6.Mg/c1-12-38-35(8)42-27-43-36(9)40(23-24-48(61)65-26-25-34(7)22-16-21-33(6)20-15-19-32(5)18-14-17-31(3)4)52(58-43)50-51(55(63)64-11)54(62)49-37(10)44(59-53(49)50)28-46-39(13-2)41(30-60)47(57-46)29-45(38)56-42;/h12,25,27-33,36,40,51H,1,13-24,26H2,2-11H3,(H2,56,57,58,59,60,62);/q;+2/p-2/b34-25+;/t32-,33-,36+,40+,51-;/m1./s1
    Key: MSLKMRUEVOYOOZ-VBYMZDBQSA-L
  • CCC1=C(C2=NC1=CC3=C(C4=C([C@@H](C(=C4[N-]3)C5=NC(=CC6=NC(=C2)C(=C6C)C=C)[C@H]([C@@H]5CCC(=O)OC/C=C(\C)/CCC[C@H](C)CCC[C@H](C)CCCC(C)C)C)C(=O)OC)[O-])C)C=O.[Mg+2]
성질
C55H70MgN4O6
몰 질량 907.492 g·mol−1
겉보기 녹색
냄새 무취
녹는점 ~ 125 °C (257 °F; 398 K)[1]
불용성[1]
용해도 에탄올, 에터, 피리딘에 잘 용해됨,
메탄올에 용해됨[1]
흡광도 See text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육상 식물에서는 광계 II 주변의 광수집 복합체엽록소 b의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광계 I에 대한 광계 II의 비율이 증가된 음지에 적응한 엽록체에서는 엽록소 a에 대한 엽록소 b의 비율이 높다.[3] 엽록소 b가 증가하면 음지에 적응한 엽록체가 흡수하는 빛의 파장의 범위가 더 증가하기 때문에 이는 적응적인 현상이다.

엽록소 a와 엽록소 b흡수 스펙트럼.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면 에너지 생성을 위한 빛의 흡수 크기가 향상된다.

생합성 편집

엽록소 b생합성 경로는 다양한 효소들을 활용한다.[4] 대부분의 식물에서 엽록소는 글루탐산으로부터 유도되며 시로헴과 공유하는 분지 경로를 따라 합성된다.[5][6][7] 초기 단계에서 글루탐산을 5-아미노레불린산(ALA)과 통합한다. 2분자의 5-아미노레불린산은 포르포빌리노젠(PBG)로 환원되고, 4분자의 포르포빌리노젠은 결합하여 프로토포르피린 IX를 생성한다.

엽록소 생성효소(EC 2.5.1.62)[8]는 다음과 같은 반응을 촉매하여 엽록소 b의 생합성을 완료하는 효소이다.[9][10]

클로로필라이드 b + 피틸 이인산 ⇄ 엽록소 b + 이인산

이는 20탄소 화합물인 다이테르펜 알코올 피톨과 함께 클로로필라이드 b의 카복실기의 에스터를 형성한다.

구조 편집

 
 
긴 탄화수소 꼬리를 보여주는 엽록소 b의 분자 구조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ide, David R., 편집. (2009).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0판. Boca Raton, Florida: CRC Press. ISBN 978-1-4200-9084-0. 
  2. “Photosynthesis pigments”. 2012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3일에 확인함. 
  3. Kitajima, Kaoru; Hogan, Kevin P (2003). “Increases of chlorophyll a/b ratios during acclimation of tropical woody seedlings to nitrogen limitation and high light”. 《Plant, Cell & Environment》 26 (6): 857–865. doi:10.1046/j.1365-3040.2003.01017.x. PMID 12803613. 
  4. Suzuki JY, Bollivar DW, Bauer CE (1997). “Genetic analysis of chlorophyll biosynthesis”. 《Annual Review of Genetics》 31 (1): 61–89. doi:10.1146/annurev.genet.31.1.61. PMID 9442890. 
  5. Battersby, A. R. (2000). “Tetrapyrroles: the Pigments of Life. A Millennium review”. 《Nat. Prod. Rep.》 17 (6): 507–526. doi:10.1039/B002635M. PMID 11152419. 
  6. Akhtar, M. (2007). 〈The Modification of Acetate and Propionate Side Chains During the Biosynthesis of Haem and Chlorophylls: Mechanistic and Stereochemical Studies〉. 《Ciba Foundation Symposium 180 - the Biosynthesis of the Tetrapyrrole Pigments》. Novartis Foundation Symposia 180. 131–155쪽. doi:10.1002/9780470514535.ch8. ISBN 9780470514535. PMID 7842850. 
  7. Willows, Robert D. (2003). “Biosynthesis of chlorophylls from protoporphyrin IX”. 《Natural Product Reports》 20 (6): 327–341. doi:10.1039/B110549N. PMID 12828371. 
  8. Schmid, H. C.; Rassadina, V.; Oster, U.; Schoch, S.; Rüdiger, W. (2002). “Pre-Loading of Chlorophyll Synthase with Tetraprenyl Diphosphate is an Obligatory Step in Chlorophyll Biosynthesis” (PDF). 《Biological Chemistry》 383 (11): 1769–78. doi:10.1515/BC.2002.198. PMID 12530542. S2CID 3099209. 
  9. Eckhardt, Ulrich; Grimm, Bernhard; Hortensteiner, Stefan (2004). “Recent advances in chlorophyll biosynthesis and breakdown in higher plants”. 《Plant Molecular Biology》 56 (1): 1–14. doi:10.1007/s11103-004-2331-3. PMID 15604725. S2CID 21174896. 
  10. Bollivar, David W. (2007). “Recent advances in chlorophyll biosynthesis”. 《Photosynthesis Research》 90 (2): 173–194. doi:10.1007/s11120-006-9076-6. PMID 17370354. S2CID 23808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