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 에서 오일러 치환 (-置換, 영어 : Euler substitution )은
x
{\displaystyle x}
와
a
x
2
+
b
x
+
c
{\displaystyle {\sqrt {ax^{2}+bx+c}}}
에 대한 유리 함수 의 적분 을 구할 때 사용되는 치환 적분 이다.
오일러 치환 은 다음과 같은 적분을 구할 때 사용된다.
∫
R
(
x
,
a
x
2
+
b
x
+
c
)
d
x
{\displaystyle \int R(x,{\sqrt {ax^{2}+bx+c}})\mathrm {d} x}
여기서
R
(
u
,
v
)
{\displaystyle R(u,v)}
는 2변수 유리 함수 이며,
a
≠
0
{\displaystyle a\neq 0}
이다. 오일러 치환은 이 적분을 유리 함수의 적분으로 만들며,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우로 나뉜다. 같은 함수가 여러 가지 경우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하자.
만약
a
>
0
{\displaystyle a>0}
일 경우, 다음과 같이 치환한다.
a
x
2
+
b
x
+
c
=
±
x
a
+
t
{\displaystyle {\sqrt {ax^{2}+bx+c}}=\pm x{\sqrt {a}}+t}
이를 제1 오일러 치환 (第一-置換, 영어 : first Euler substitution )이라고 한다. 이 경우 원래의 적분은 다음과 같이 새 변수
t
{\displaystyle t}
에 대한 유리 함수의 적분으로 귀결된다.
x
=
t
2
−
c
±
2
t
a
+
b
{\displaystyle x={\frac {t^{2}-c}{\pm 2t{\sqrt {a}}+b}}}
a
x
2
+
b
x
+
c
=
±
t
2
−
c
±
2
t
a
+
b
a
+
t
{\displaystyle {\sqrt {ax^{2}+bx+c}}=\pm {\frac {t^{2}-c}{\pm 2t{\sqrt {a}}+b}}{\sqrt {a}}+t}
만약
c
>
0
{\displaystyle c>0}
일 경우, 다음과 같이 치환한다.
a
x
2
+
b
x
+
c
=
x
t
±
c
{\displaystyle {\sqrt {ax^{2}+bx+c}}=xt\pm {\sqrt {c}}}
이를 제2 오일러 치환 (第二-置換, 영어 : second Euler substitution )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원래의 적분은
t
{\displaystyle t}
에 대한 유리 함수의 적분으로 귀결된다.
x
=
±
2
t
c
−
b
a
−
t
2
{\displaystyle x={\frac {\pm 2t{\sqrt {c}}-b}{a-t^{2}}}}
a
x
2
+
b
x
+
c
=
±
2
t
c
−
b
a
−
t
2
t
±
c
{\displaystyle {\sqrt {ax^{2}+bx+c}}={\frac {\pm 2t{\sqrt {c}}-b}{a-t^{2}}}t\pm {\sqrt {c}}}
사실, 제1 및 제2 오일러 치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꼴의 적분은 다음과 같은 변환을 통해 각각 제2 및 제1 오일러 치환을 적용할 수 있다.[ 1] :341
a
x
2
+
b
x
+
c
=
1
|
u
|
a
+
b
u
+
c
u
2
(
x
=
1
u
)
{\displaystyle {\sqrt {ax^{2}+bx+c}}={\frac {1}{|u|}}{\sqrt {a+bu+cu^{2}}}\qquad \left(x={\frac {1}{u}}\right)}
만약
a
x
2
+
b
x
+
c
{\displaystyle ax^{2}+bx+c}
의 두 근
α
,
β
{\displaystyle \alpha ,\beta }
가 실수일 경우, 다음과 같이 치환한다.
a
x
2
+
b
x
+
c
=
a
(
x
−
α
)
(
x
−
β
)
=
±
(
x
−
α
)
t
{\displaystyle {\sqrt {ax^{2}+bx+c}}={\sqrt {a(x-\alpha )(x-\beta )}}=\pm (x-\alpha )t}
이를 제3 오일러 치환 (第三-置換, 영어 : third Euler substitution )이라고 한다. 이 경우 역시
t
{\displaystyle t}
의 유리 함수의 적분이 된다.
x
=
a
β
−
α
t
2
a
−
t
2
{\displaystyle x={\frac {a\beta -\alpha t^{2}}{a-t^{2}}}}
a
x
2
+
b
x
+
c
=
±
(
a
β
−
α
t
2
a
−
t
2
−
α
)
t
{\displaystyle {\sqrt {ax^{2}+bx+c}}=\pm \left({\frac {a\beta -\alpha t^{2}}{a-t^{2}}}-\alpha \right)t}
사실, 제1 및 제3 오일러 치환은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이는 만약
a
<
0
{\displaystyle a<0}
이며
b
2
−
4
a
c
<
0
{\displaystyle b^{2}-4ac<0}
일 경우
a
x
2
+
b
x
+
c
{\displaystyle {\sqrt {ax^{2}+bx+c}}}
가 모든 곳에서 실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1] :341
오일러 치환이 처리하는 꼴의 적분을 구하는 데에는 계산량을 줄여주는 요령과 보다 더 간편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공식은 특수한 꼴의 함수의 적분의 계산을 단순화한다.
∫
p
(
x
)
a
x
2
+
b
x
+
c
d
x
=
q
(
x
)
a
x
2
+
b
x
+
c
+
λ
∫
d
x
a
x
2
+
b
x
+
c
{\displaystyle \int {\frac {p(x)}{\sqrt {ax^{2}+bx+c}}}\mathrm {d} x=q(x){\sqrt {ax^{2}+bx+c}}+\lambda \int {\frac {\mathrm {d} x}{\sqrt {ax^{2}+bx+c}}}}
여기서
p
,
q
∈
R
[
x
]
{\displaystyle p,q\in \mathbb {R} [x]}
는 각각
n
{\displaystyle n}
차 다항식 및
(
n
−
1
)
{\displaystyle (n-1)}
차 이하 다항식이며
λ
∈
R
{\displaystyle \lambda \in \mathbb {R} }
는 상수이다. 각
p
{\displaystyle p}
에 대하여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q
{\displaystyle q}
및
λ
{\displaystyle \lambda }
는 위 식 양변에 도함수를 취한 뒤 다시 양변에
a
x
2
+
b
x
+
c
{\displaystyle {\sqrt {ax^{2}+bx+c}}}
을 곱하여 양변의 다항식의 계수를 비교하면 구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꼴의 적분은
x
−
α
=
1
/
t
{\displaystyle x-\alpha =1/t}
와 같이 치환하면 위와 같은 꼴의 적분으로 귀결된다.
∫
d
x
(
x
−
α
)
n
a
x
2
+
b
x
+
c
=
∫
t
n
−
1
(
a
α
2
+
b
α
+
c
)
t
2
+
(
2
a
α
+
b
)
t
+
a
d
t
{\displaystyle \int {\frac {\mathrm {d} x}{(x-\alpha )^{n}{\sqrt {ax^{2}+bx+c}}}}=\int {\frac {t^{n-1}}{\sqrt {(a\alpha ^{2}+b\alpha +c)t^{2}+(2a\alpha +b)t+a}}}\mathrm {d} t}
다음과 같은 꼴의 적분은 치환
x
2
+
p
x
+
q
=
s
{\displaystyle x^{2}+px+q=s}
및
(
x
2
+
p
x
+
q
)
′
=
t
{\displaystyle \textstyle ({\sqrt {x^{2}+px+q}})'=t}
을 통해 구할 수 있다.
∫
(
e
x
+
f
)
(
x
2
+
p
x
+
q
)
(
2
n
+
1
)
/
2
d
x
=
λ
∫
2
x
+
p
(
x
2
+
p
x
+
q
)
(
2
n
+
1
)
/
2
d
x
+
μ
∫
d
x
(
x
2
+
p
x
+
q
)
(
2
n
+
1
)
/
2
=
λ
∫
d
s
s
(
2
n
+
1
)
/
2
+
μ
∫
d
x
(
x
2
+
p
x
+
q
)
(
2
n
+
1
)
/
2
{\displaystyle \int {\frac {(ex+f)}{(x^{2}+px+q)^{(2n+1)/2}}}\mathrm {d} x=\lambda \int {\frac {2x+p}{(x^{2}+px+q)^{(2n+1)/2}}}\mathrm {d} x+\mu \int {\frac {\mathrm {d} x}{(x^{2}+px+q)^{(2n+1)/2}}}=\lambda \int {\frac {\mathrm {d} s}{s^{(2n+1)/2}}}+\mu \int {\frac {\mathrm {d} x}{(x^{2}+px+q)^{(2n+1)/2}}}}
다음과 같은 꼴의 적분에서
p
≠
b
/
a
{\displaystyle p\neq b/a}
일 경우, 적절한 치환
x
=
(
g
s
+
h
)
/
(
s
+
1
)
{\displaystyle x=(gs+h)/(s+1)}
를 통해 1차항을 없앤 뒤, 부분 분수 분해 의 각 항에 치환
a
′
s
2
=
b
′
=
t
{\displaystyle a's^{2}=b'=t}
및
(
a
′
s
2
+
b
′
)
′
=
u
{\displaystyle \textstyle ({\sqrt {a's^{2}+b'}})'=u}
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
(
e
x
+
f
)
(
x
2
+
p
x
+
q
)
n
a
x
2
+
b
x
+
c
d
x
=
∫
p
(
s
)
(
s
2
+
c
′
)
n
a
′
s
2
+
b
′
d
s
=
∑
k
λ
k
∫
s
(
s
2
+
c
′
)
n
k
′
a
′
s
2
+
b
′
d
s
+
∑
k
μ
k
∫
d
s
(
s
2
+
c
′
)
n
k
″
a
′
s
2
+
b
′
{\displaystyle \int {\frac {(ex+f)}{(x^{2}+px+q)^{n}{\sqrt {ax^{2}+bx+c}}}}\mathrm {d} x=\int {\frac {p(s)}{(s^{2}+c')^{n}{\sqrt {a's^{2}+b'}}}}\mathrm {d} s=\sum _{k}\lambda _{k}\int {\frac {s}{(s^{2}+c')^{n'_{k}}{\sqrt {a's^{2}+b'}}}}\mathrm {d} s+\sum _{k}\mu _{k}\int {\frac {\mathrm {d} s}{(s^{2}+c')^{n''_{k}}{\sqrt {a's^{2}+b'}}}}}
오일러 치환이 처리하는 꼴의 적분은 완전 제곱꼴을 만든 뒤 삼각 치환 또는 쌍곡 치환 을 통해 구할 수도 있다. 정리된 루트 부분이
a
2
−
x
2
{\displaystyle {\sqrt {a^{2}-x^{2}}}}
일 경우
x
=
a
sin
t
{\displaystyle x=a\sin t}
또는
x
=
a
cos
t
{\displaystyle x=a\cos t}
와 같이 치환하며,
x
2
−
a
2
{\displaystyle {\sqrt {x^{2}-a^{2}}}}
일 경우
x
=
a
cosh
t
{\displaystyle x=a\cosh t}
또는
x
=
a
sec
t
{\displaystyle x=a\sec t}
와 같이 치환하며,
x
2
+
a
2
{\displaystyle {\sqrt {x^{2}+a^{2}}}}
일 경우
x
=
sinh
t
{\displaystyle x=\sinh t}
또는
x
=
a
tan
t
{\displaystyle x=a\tan t}
와 같이 치환한다.[ 1] :342 그러면 적분하려는 함수는 삼각 함수 또는 쌍곡선 함수 에 대한 유리 함수 로 변하며, 이는 바이어슈트라스 치환 등을 통해 구할 수 있다.[ 2] :229
다음과 같은 적분들을 생각하자.[ 1] :345, 예6.3.3, (1), (3), (4); 348, 예6.3.5, (1)
∫
x
2
+
2
x
+
3
x
d
x
,
∫
1
−
1
+
x
+
x
2
x
1
+
x
+
x
2
d
x
,
∫
d
x
x
2
+
3
x
−
4
,
∫
d
x
(
x
−
α
)
(
x
−
α
)
(
x
−
β
)
{\displaystyle \int {\frac {\sqrt {x^{2}+2x+3}}{x}}\mathrm {d} x,\;\int {\frac {1-{\sqrt {1+x+x^{2}}}}{x{\sqrt {1+x+x^{2}}}}}\mathrm {d} x,\;\int {\frac {\mathrm {d} x}{\sqrt {x^{2}+3x-4}}},\;\int {\frac {\mathrm {d} x}{(x-\alpha ){\sqrt {(x-\alpha )(x-\beta )}}}}}
첫 번째 적분에 다음과 같은 제1 오일러 치환을 사용하자.
x
2
+
2
x
+
3
=
t
−
x
{\displaystyle {\sqrt {x^{2}+2x+3}}=t-x}
x
=
t
2
−
3
2
(
1
+
t
)
,
d
x
=
t
2
+
2
t
+
3
2
(
t
+
1
)
2
d
t
,
x
2
+
2
x
+
3
=
t
2
+
2
t
+
3
2
(
t
+
1
)
{\displaystyle x={\frac {t^{2}-3}{2(1+t)}},\;\mathrm {d} x={\frac {t^{2}+2t+3}{2(t+1)^{2}}}\mathrm {d} t,\;{\sqrt {x^{2}+2x+3}}={\frac {t^{2}+2t+3}{2(t+1)}}}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x
2
+
2
x
+
3
x
d
x
=
∫
(
t
2
+
2
t
+
3
)
2
2
(
t
2
−
3
)
(
t
+
1
)
2
d
t
=
∫
(
1
2
+
1
t
+
1
−
1
(
t
+
1
)
2
+
6
t
2
−
3
)
d
t
=
t
2
+
ln
|
t
+
1
|
+
1
t
+
1
+
3
ln
|
t
−
3
t
+
3
|
+
C
=
x
2
+
2
x
+
3
+
x
2
+
1
x
2
+
2
x
+
3
+
x
+
1
+
ln
(
x
2
+
2
x
+
3
+
x
+
1
)
+
3
ln
|
x
2
+
2
x
+
3
+
x
−
3
x
2
+
2
x
+
3
+
x
+
3
|
+
C
{\displaystyle {\begin{aligned}\int {\frac {\sqrt {x^{2}+2x+3}}{x}}\mathrm {d} x&=\int {\frac {(t^{2}+2t+3)^{2}}{2(t^{2}-3)(t+1)^{2}}}\mathrm {d} t=\int \left({\frac {1}{2}}+{\frac {1}{t+1}}-{\frac {1}{(t+1)^{2}}}+{\frac {6}{t^{2}-3}}\right)\mathrm {d} t\\&={\frac {t}{2}}+\ln |t+1|+{\frac {1}{t+1}}+{\sqrt {3}}\ln \left|{\frac {t-{\sqrt {3}}}{t+{\sqrt {3}}}}\right|+C\\&={\frac {{\sqrt {x^{2}+2x+3}}+x}{2}}+{\frac {1}{{\sqrt {x^{2}+2x+3}}+x+1}}+\ln({\sqrt {x^{2}+2x+3}}+x+1)+{\sqrt {3}}\ln \left|{\frac {{\sqrt {x^{2}+2x+3}}+x-{\sqrt {3}}}{{\sqrt {x^{2}+2x+3}}+x+{\sqrt {3}}}}\right|+C\end{aligned}}}
두 번째 적분에 다음과 같은 제2 오일러 치환을 사용하자.
1
+
x
+
x
2
=
t
x
+
1
{\displaystyle {\sqrt {1+x+x^{2}}}=tx+1}
x
=
2
t
−
1
1
−
t
2
,
d
x
=
2
(
1
−
t
+
t
2
)
(
1
−
t
2
)
2
d
t
,
1
+
x
+
x
2
=
1
−
t
+
t
2
1
−
t
2
{\displaystyle x={\frac {2t-1}{1-t^{2}}},\;\mathrm {d} x={\frac {2(1-t+t^{2})}{(1-t^{2})^{2}}}\mathrm {d} t,\;{\sqrt {1+x+x^{2}}}={\frac {1-t+t^{2}}{1-t^{2}}}}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1
−
1
+
x
+
x
2
x
1
+
x
+
x
2
d
x
=
∫
−
2
t
1
−
t
2
d
t
=
ln
|
1
−
t
2
|
+
C
=
ln
|
1
−
(
1
+
x
+
x
2
−
1
x
)
2
|
+
C
{\displaystyle \int {\frac {1-{\sqrt {1+x+x^{2}}}}{x{\sqrt {1+x+x^{2}}}}}\mathrm {d} x=\int {\frac {-2t}{1-t^{2}}}\mathrm {d} t=\ln |1-t^{2}|+C=\ln \left|1-\left({\frac {{\sqrt {1+x+x^{2}}}-1}{x}}\right)^{2}\right|+C}
세 번째 적분에 다음과 같은 제3 오일러 치환을 사용하자.
x
2
+
3
x
−
4
=
(
x
+
4
)
t
{\displaystyle {\sqrt {x^{2}+3x-4}}=(x+4)t}
x
=
1
+
4
t
2
1
−
t
2
,
d
x
=
10
t
(
1
−
t
2
)
2
d
t
,
x
2
+
3
x
−
4
=
5
t
1
−
t
2
{\displaystyle x={\frac {1+4t^{2}}{1-t^{2}}},\;\mathrm {d} x={\frac {10t}{(1-t^{2})^{2}}}\mathrm {d} t,\;{\sqrt {x^{2}+3x-4}}={\frac {5t}{1-t^{2}}}}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d
x
x
2
+
3
x
−
4
=
∫
2
1
−
t
2
d
t
=
ln
|
1
+
t
1
−
t
|
+
C
=
ln
|
x
+
4
+
x
−
1
x
+
4
−
x
−
1
|
+
C
{\displaystyle \int {\frac {\mathrm {d} x}{\sqrt {x^{2}+3x-4}}}=\int {\frac {2}{1-t^{2}}}\mathrm {d} t=\ln \left|{\frac {1+t}{1-t}}\right|+C=\ln \left|{\frac {{\sqrt {x+4}}+{\sqrt {x-1}}}{{\sqrt {x+4}}-{\sqrt {x-1}}}}\right|+C}
네 번째 적분에서는
x
−
α
=
1
/
t
{\displaystyle x-\alpha =1/t}
와 같은 치환이 더 편리하다.
∫
d
x
(
x
−
α
)
(
x
−
α
)
(
x
−
β
)
=
−
∫
d
t
1
+
(
α
−
β
)
t
=
2
β
−
α
1
+
(
α
−
β
)
t
+
C
=
2
β
−
α
x
−
β
x
−
α
+
C
{\displaystyle \int {\frac {\mathrm {d} x}{(x-\alpha ){\sqrt {(x-\alpha )(x-\beta )}}}}=-\int {\frac {\mathrm {d} t}{\sqrt {1+(\alpha -\beta )t}}}={\frac {2}{\beta -\alpha }}{\sqrt {1+(\alpha -\beta )t}}+C={\frac {2}{\beta -\alpha }}{\sqrt {\frac {x-\beta }{x-\alpha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