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개회 선언자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이 문서는 역대 올림픽(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청소년 올림픽)에서 공식 개회 선언을 한 사람에 관한 목록이다. 《올림픽 헌장》 제55조 제3항에서는 개최국의 국가원수가 개회 선언을 하도록 명시되어 있다.[1][2]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은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개최국의 국가원수에게 개회 선언을 하도록 요청하고 국가원수는 IOC 위원장의 요청을 받아들여 올림픽 개회 선언을 한다. 올림픽 개최국의 국가원수가 개막식에 참석하지 못한 경우에는 국가원수의 대리인이 개회 선언을 하기도 한다. 올림픽 헌장에서는 대회 개막 선언을 하는 사람이 동하계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문구를 낭독하면서 선언을 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 올림피아드 대회(하계 올림픽)일 경우 - "나는 제(순번)회 근대 올림피아드를 축하하면서 (개최 도시 이름) 올림픽 대회의 개회를 선포합니다."
  • 동계 올림픽일 경우 - "나는 제(순번)회 (개최 도시 이름) 동계 올림픽 대회 개막을 선언합니다."

올림픽 개회 선언자 목록

편집

이탤릭체로 표기된 개회 선언자 이름과 직책은 올림픽 개회 당시에 개최국의 국가원수가 아니었던 사람을 의미한다.

연도 대회 개최 도시 개회 선언자 직책
1896년 제1회 하계 올림픽   그리스 아테네 요르요스 1세 그리스 왕국의 군주
1900년 제2회 하계 올림픽   프랑스 파리 개회 선언자 없음 개회 선언자 없음
1904년 제3회 하계 올림픽   미국 세인트루이스 데이비드 R. 프랜시스 세인트루이스 세계 박람회 조직위원장[주 1]
1908년 제4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에드워드 7세 영국의 군주
1912년 제5회 하계 올림픽   스웨덴 스톡홀름 구스타프 5세 스웨덴의 군주
1920년 제7회 하계 올림픽   벨기에 안트베르펜 알베르 1세 벨기에의 군주 (벨기에인의 왕)
1924년 제1회 동계 올림픽   프랑스 샤모니 가스통 비달 프랑스 체육부 차관[주 2]
1924년 제8회 하계 올림픽   프랑스 파리 가스통 두메르그 프랑스의 대통령
1928년 제2회 동계 올림픽   스위스 장크트모리츠 에드문트 슐테스 스위스의 대통령
1928년 제9회 하계 올림픽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하인리히 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네덜란드의 부군[주 3]
1932년 제3회 동계 올림픽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뉴욕주지사[주 4]
1932년 제10회 하계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찰스 커티스 미국의 부통령[주 4]
1936년 제4회 동계 올림픽   나치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아돌프 히틀러 독일의 총통
1936년 제11회 하계 올림픽   나치 독일 베를린 아돌프 히틀러 독일의 총통
1948년 제5회 동계 올림픽   스위스 장크트모리츠 엔리코 첼리오 스위스의 대통령
1948년 제14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조지 6세 영국의 군주
1952년 제6회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오슬로 랑힐 노르웨이의 왕녀[주 5]
1952년 제15회 하계 올림픽   핀란드 헬싱키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핀란드의 대통령
1956년 제7회 동계 올림픽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조반니 그론키 이탈리아의 대통령
1956년 제16회 하계 올림픽 (승마 한정)   스웨덴 스톡홀름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스웨덴의 군주
1956년 제16회 하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에든버러 공작 필립 오스트레일리아의 부군[주 6]
1960년 제8회 동계 올림픽   미국 스쿼밸리 리처드 닉슨 미국의 부통령[주 7]
1960년 제17회 하계 올림픽   이탈리아 로마 조반니 그론키 이탈리아의 대통령
1964년 제9회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아돌프 셰르프 오스트리아의 대통령
1964년 제18회 하계 올림픽   일본 도쿄 히로히토 일본의 천황
1968년 제10회 동계 올림픽   프랑스 그르노블 샤를 드 골 프랑스의 대통령
1968년 제19회 하계 올림픽   멕시코 멕시코시티 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 멕시코의 대통령
1972년 제11회 동계 올림픽   일본 삿포로 히로히토 일본의 천황
1972년 제20회 하계 올림픽   서독 뮌헨 구스타프 하이네만 서독의 대통령
1976년 제12회 동계 올림픽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루돌프 키르히슐레거 오스트리아의 대통령
1976년 제21회 하계 올림픽   캐나다 몬트리올 엘리자베스 2세 캐나다의 군주
1980년 제13회 동계 올림픽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월터 먼데일 미국의 부통령[주 8]
1980년 제22회 하계 올림픽   소련 모스크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의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주석
1984년 제14회 동계 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 미카 슈필랴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대통령평의회 의장
1984년 제23회 하계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널드 레이건 미국의 대통령
1988년 제15회 동계 올림픽   캐나다 캘거리 잔 마틸드 소베 캐나다의 총독[주 9]
1988년 제24회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서울 노태우 대한민국의 대통령
1992년 제16회 동계 올림픽   프랑스 알베르빌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의 대통령
1992년 제25회 하계 올림픽   스페인 바르셀로나 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의 군주
1994년 제17회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하랄 5세 노르웨이의 군주
1996년 제26회 하계 올림픽   미국 애틀랜타 빌 클린턴 미국의 대통령
1998년 제18회 동계 올림픽   일본 나가노 아키히토 일본의 천황
2000년 제27회 하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윌리엄 패트릭 딘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독[주 10]
2002년 제19회 동계 올림픽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조지 W. 부시 미국의 대통령
2004년 제28회 하계 올림픽   그리스 아테네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그리스의 대통령
2006년 제20회 동계 올림픽   이탈리아 토리노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이탈리아의 대통령
2008년 제29회 하계 올림픽   중국 베이징 후진타오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
2010년 제21회 동계 올림픽   캐나다 밴쿠버 미카엘 장 캐나다의 총독[주 11]
2012년 제30회 하계 올림픽   영국 런던 엘리자베스 2세 영국의 군주
2014년 제22회 동계 올림픽   러시아 소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의 대통령
2016년 제31회 하계 올림픽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미셰우 테메르 브라질의 부통령[주 12]
2018년 제23회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평창 문재인 대한민국의 대통령
2020년 제32회 하계 올림픽   일본 도쿄 나루히토 일본의 천황
2022년 제24회 동계 올림픽   중국 베이징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
2024년 제33회 하계 올림픽   프랑스 파리 에마뉘엘 마크롱 (예상) 프랑스의 대통령
2026년 제25회 동계 올림픽   이탈리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세르조 마타렐라 (예상) 이탈리아의 대통령
2028년 제34회 하계 올림픽   미국 로스앤젤레스 조 바이든 또는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선자 (예상) 미국의 대통령
2032년 제35회 하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데이비드 헐리 또는 후임자 (예상) 오스트레일리아의 총독[주 13]

청소년 올림픽 개최 선언자 목록

편집
연도 대회 개최 도시 개회 선언자 직책
2010년 제1회 하계 청소년 올림픽   싱가포르 S. R. 나산 싱가포르의 대통령
2012년 제1회 동계 청소년 올림픽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하인츠 피셔 오스트리아의 대통령
2014년 제2회 하계 청소년 올림픽   중국 난징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
2016년 제2회 동계 청소년 올림픽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하랄 5세 노르웨이의 군주
2018년 제3회 하계 청소년 올림픽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2020년 제3회 동계 청소년 올림픽   스위스 로잔 시모네타 소마루가 스위스의 대통령
2024년 제4회 동계 청소년 올림픽   대한민국 강원도 윤석열 대한민국의 대통령
2026년 제4회 하계 청소년 올림픽   세네갈 다카르 미정 세네갈의 대통령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올림픽 개회 당시에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2. 올림픽 개회 당시에 프랑스의 대통령이었던 알렉상드르 밀랑을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3. 자신의 아내이자 올림픽 개회 당시에 네덜란드의 군주였던 빌헬미나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4. 올림픽 개회 당시에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허버트 후버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5. 자신의 할아버지이자 올림픽 개회 당시에 노르웨이의 군주였던 호콘 7세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6. 자신의 아내이자 올림픽 개회 당시에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주였던 엘리자베스 2세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7. 올림픽 개회 당시에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8. 올림픽 개회 당시에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지미 카터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9. 올림픽 개회 당시에 캐나다의 군주였던 엘리자베스 2세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10. 올림픽 개회 당시에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주였던 엘리자베스 2세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11. 올림픽 개회 당시에 캐나다의 군주였던 엘리자베스 2세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12. 올림픽 개회 당시에 브라질의 대통령이었던 지우마 호세프는 브라질 의회의 탄핵 절차로 인해 직무가 정지된 상태였다. 이에 따라 브라질의 대통령 권한대행 겸 부통령이었던 미셰우 테메르가 지우마 호세프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했다.
  13. 올림픽 개회 당시에 오스트레일리아의 군주를 대신해서 개회 선언을 할 가능성이 있다.

참고주

편집
  1. “Olympic Charter” (PD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1. 2012년 8월 13일에 확인함. 
  2. “올림픽헌장 영한 대조본” (PDF). 대한체육회. 2019년 3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