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군

대한민국 강원도의 군

평창군(平昌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남부에 위치한 이다. 태백산맥의 중앙에 위치하여, 평균고도 600m 이상에 달한다. 군청 소재지는 평창읍이고, 행정 구역은 미탄면, 방림면, 대화면, 봉평면, 용평면, 진부면, 대관령면 등 1읍 7면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2018년 동계 패럴림픽을 개최했던 도시이다.

평창군
평창의 알펜시아 리조트와 풍력 터빈
평창군의 위치
평창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1개 , 7개
청사 소재지평창읍 군청길 77
단체장심재국(국민의힘)
국회의원유상범(국민의힘,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지리
면적1,463.7km2
인문
인구41,162명 (2022년 2월년)
세대21,143세대 (2021[1]년)
상징
나무전나무
철쭉
원앙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pc.go.kr/portal

역사 편집

평창 지역을 지칭하는 최초의 사료는 《삼국사기》이며, 고구려 내생군의 속현인 욱오현(郁烏縣)으로 기록되어 있다.[2] 신라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정복한 지역을 포함하여 행정 구역을 9주로 정비하면서, 평창 지역은 명주의 내성군(오늘날의 영월군)에 속하게 되었고, 757년(경덕왕 16년) 백오현(白烏縣)으로 개명되었다.[3]

고려가 건국된 이후 현재의 지명인 평창현(平昌縣)으로 개명되었으며, 원주의 속현으로 내속(來屬)되었다.[4] 995년(성종 14년) 10도가 신설되어 평창의 북부 지역은 삭방도에 포함되었고, 남부 지역은 원주가 속한 중원도에 포함되었다.[5] 현종 때 행정 구역이 5도 양계로 구획됨에 따라 평창의 동부 지역은 동계에, 서부 지역은 양광도에 편입되었다. 1299년(충렬왕 25년)에 평창에 현령이 파견되어 비로소 원주의 속현에서 벗어나게 되었다.[6]

조선이 건국된 후 1392년(태조 원년) 으로 승격되었다.[7] 1413년(태종 13년)에 8도제가 정비되었고, 평창은 강원도에 속하게 되었다.[8] 1895년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실시되어 충주부 평창군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의 실시로 강원도 평창군이 되었다.[7]

2011년 7월 6일 (결정지 시각 기준),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제123차 IOC 총회에서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9]

지리 편집

강원특별자치도의 남부 중앙 태백산맥에 위치하고 있는 까닭에 토지는 일반적으로 높아 평균고도 600m 이상에 달하고, 특히 동·북·서 삼면이 높고 험준하며, 남쪽으로 경사져 있다. 즉 북쪽에는 오대산·계방산·황병산·대관령, 또 서쪽에는 오대산에서 분기한 차령산맥이 있다. 한강의 지류 평창강은 중앙부를 감입사곡하면서 역내 대부분의 물을 모아 남류하여 연안에 소선상지범람원을 형성하고 있다. 지질은 주로 중생대 대보 화강암선캄브리아기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다.[10][11]

기후 편집

실제 평창군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Dwb와 Dfb가 혼재되어 있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띄고 있다. 그래서 여름에는 비교적 덥지 않고 따뜻한 기후를 가지고 있게 된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창의 연평균 기온은 섭씨 7.0도로 강원도의 연평균 기온인 섭씨 8.9도보다 낮았다. 평창군에서 연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지역은 평창읍으로 섭씨 8.5도였고, 가장 낮은 지역은 대관령면으로 섭씨 6.3도였다.[12] 대관령은 여름철에는 7월 평균기온이 19.1°C로 낮아 서늘한 편이다. 겨울철에는 북동 기류로 인하여 기온 변화가 심하고, 종종 심한 대설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3]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창군의 연강수량은 1,555.0mm로 강원특별자치도의 평균인 1,491.5mm보다 많았으며, 평창군에서는 봉평면이 연강수량 1,626.4mm로 가장 많고, 미탄면은 1,466.7mm로 가장 적었다.[12] 기상관측이래 전국의 시군구 중 유일하게 평창군 만이 관내 전지역에 걸쳐 단 한차례의 열대야도 기록된 적이 없다.

평창군(대관령)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최고 기온 기록 °C (°F) 9.3
(48.7)
16.5
(61.7)
20.5
(68.9)
30.1
(86.2)
31.0
(87.8)
32.3
(90.1)
32.9
(91.2)
32.7
(90.9)
29.0
(84.2)
26.1
(79.0)
21.5
(70.7)
13.5
(56.3)
32.9
(91.2)
평균 일 최고 기온 °C (°F) −1.8
(28.8)
0.6
(33.1)
5.5
(41.9)
12.9
(55.2)
18.4
(65.1)
21.3
(70.3)
23.4
(74.1)
23.6
(74.5)
19.4
(66.9)
14.6
(58.3)
7.5
(45.5)
0.5
(32.9)
12.2
(54.0)
일 평균 기온 °C (°F) −6.9
(19.6)
−4.6
(23.7)
0.4
(32.7)
7.0
(44.6)
12.5
(54.5)
16.2
(61.2)
19.6
(67.3)
19.7
(67.5)
14.6
(58.3)
8.8
(47.8)
2.3
(36.1)
−4.5
(23.9)
7.1
(44.8)
평균 일 최저 기온 °C (°F) −12.2
(10.0)
−10.1
(13.8)
−4.7
(23.5)
1.2
(34.2)
6.8
(44.2)
11.6
(52.9)
16.6
(61.9)
16.5
(61.7)
10.4
(50.7)
3.5
(38.3)
−2.6
(27.3)
−9.4
(15.1)
2.3
(36.1)
최저 기온 기록 °C (°F) −28.9
(−20.0)
−27.6
(−17.7)
−23.0
(−9.4)
−14.6
(5.7)
−4.7
(23.5)
−1.7
(28.9)
4.4
(39.9)
3.3
(37.9)
−2.3
(27.9)
−9.9
(14.2)
−18.7
(−1.7)
−24.7
(−12.5)
−28.9
(−20.0)
평균 강수량 mm (인치) 53.1
(2.09)
49.2
(1.94)
72.6
(2.86)
93.5
(3.68)
108.2
(4.26)
162.5
(6.40)
336.3
(13.24)
368.4
(14.50)
249.6
(9.83)
97.6
(3.84)
69.4
(2.73)
34.7
(1.37)
1,695.1
(66.74)
평균 강수일수 (≥ 0.1 mm) 9.4 8.9 11.2 10.4 10.8 12.9 17.8 18.1 13.1 8.9 10.2 8.5 140.2
평균 상대 습도 (%) 66.3 65.7 65.8 61.9 67.5 79.4 86.2 87.2 85.5 76.8 70.3 66.6 73.3
평균 월간 일조시간 199.3 193.5 210.9 223.1 237.2 192.4 143.0 138.2 149.6 196.2 177.2 193.3 2,253.9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현재)[14][15]

지질 편집

 
정선군 및 평창군의 지질

행정 구역 편집

평창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이다. 1966년에는 인구가 10만3519명이었으나, 2012년말 인구는 4만3627명이다. 인구의 22.9%가 평창읍에, 22.4%가 진부면에 거주하며 2개 읍면에 인구의 45.3%가 거주하고 있다.[16] 평창군의 총 면적은 1,464.16km2로 강원특별자치도 총면적 16,874.60km2의 8.7%에 해당하며, 전국 군 중 세 번째로 면적이 넓다.[17]

이름 한자 영문[18] 면적(km2) 인구(명) 지도
평창읍 平昌邑 Pyeongchang-eup 116.31 9,940  
미탄면 美灘面 Mitan-myeon 109.43 1,881
방림면 芳林面 Bangnim-myeon 120.85 2,596
대화면 大和面 Daehwa-myeon 166.6 6,564
봉평면 蓬坪面 Bongpyeong-myeon 217.41 5,545
용평면 龍坪面 Yongpyeong-myeon 135.43 3,129
진부면 珍富面 Jinbu-myeon 331.06 9,722
대관령면 大關嶺面 Daegwallyeong-myeon 221.63 6,231

역대 군수 편집

산업 편집

산간 지방이므로 경작지가 좁고 화전이 많다. 고랭지이기 때문에 감자옥수수가 특히 많이 나서 유명하다. 경제 작물로서 ·아마·약초 재배와 양잠이 성하다. 초지가 많아 축우가 성하며, 최근에는 대규모의 기업적인 목축도 행해지고 있다.

광업 편집

지하자원이 풍부하여 광산물의 산출도 많았으나, 값싼 수입 광물의 영향으로 점차 쇠퇴하고 있다.

농업 편집

경지 면적은 산지이므로 총 면적의 약 10%인 146 km2, 논과 밭의 비율은 17:83으로 밭이 많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감자·쌀·홉·아마·누에고치·꿀·잎담배·고랭지 채소 등이다. 대관령면은 대표적 씨감자 생산지역으로 감자 원종장과 고랭지 시험장 등이 있다. 대관령·대화·진부령 등지에는 낙농목장이 분포해 있다.

특산물 편집

감자술·고랭지김치·느타리버섯·대관령감자·대관령황태·두메산골토종잡곡·맥향·루티나·메주 및 전통장류·부침가루·국수·산더덕·산머루·오대산화훼·옥수수엿·찰옥수수·찰토마토·고랭지양파·태양초고추·한우·허브·흑염소·송이버섯·된장·고추장·산나물·장아찌·사과 등이 유명하다.

문화관광 편집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상원사 동종

문화재 편집

평창에는 국가가 지정한 국보 5개, 보물 5개, 사적 1개, 천연기념물 3개, 국가민속문화재 1개, 등록문화재 1개가 있다. 강원특별자치도가 지정한 문화재는 유형문화재 29개. 무형문화재 2개, 기념물 4개, 문화재자료 10개가 있다.

사찰

상원사는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절로, 705년 진여원(眞如院)으로 창건됐다고 전해진다. 조선 시대의 숭유억불 정책에도 불구하고 1401년에 태종에 의해 사자암이 중건되었고, 1465년에는 세조에 의해 중건되었다. 예종은 1469년 상원사를 세조의 원찰로 삼았다. 한국 전쟁 당시에도 오대산의 다른 사찰과 달리 전소되지 않고 일부가 보존되었다.[19]


월정사는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절로, 643년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창건 이후 지속적으로 중건되다가 1·4후퇴 때 10채의 건물이 전소되었다. 1964년 승려 탄허가 법당 적광전(寂光殿)을 중창하고 승려 만화가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20] 국보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와 보물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등을 소장하고 있다.


사적


천연기념물
지방 유형문화재

축제 편집

1993년에 대관령눈꽃축제가 1992년 대관령 스키동우회가 개최한 "대관령겨울눈꽃축제"가 발전되어 처음 시작되었다. 1회에는 주민스키대회, 눈사람만들기대회, 눈썰매대회, 썰매대회가 열렸으며, 이후 전통놀이, 스노우카레이싱 등의 프로그램이 추가되었다.[21] 2018년 제26회 대관령눈꽃축제는 2월 7일부터 2월 22일까지 대관령면 횡계리에서 2018년 동계 올림픽 사전 행사로 치러지며, 눈조각전시(세계명작동화 테마 등), 눈썰매, 얼음미끄럼틀, 국제알몸마라톤, 전통민속공연, 황병산사냥놀이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22]

소설가 이효석이 평창군 출신으로서[23] 효석문화마을이 이효석이 자란 곳에 조성되어 있으며, "메밀꽃 필 무렵 효석 문화제"가 열리고 있다.[24]

박물관 편집

1969년 12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장 공비에게 살해된 이승복을 추모하고자 이승복기념관이 1982년 10월 26일 용평면 노동리에 설립되었으며, 경내에 이승복의 대형 동상이 조성되었다. 1994년 이승복 추모 작품 전시실이 개장되었으며, 2000년 이승복의 생가가 복원되었다.[25]

1990년에 이효석의 출생지인 봉평면 남안동이 문화부에 의해 문화마을 1호로 지정되어, 물레방앗간을 지어졌다. 1991년 이효석의 작품인 《메밀꽃 필 무렵》의 충주집의 표석이 설치되었으며, 1993년 봉평면 봉석회에서 군비를 일부분 지원받아 가산공원을 조성하였다. 평창군에서 1997년 2002년까지 가산공원과 물레방앗간을 정비하고, 문학동산, 민속촌, 이효석문화관, 메일향토자료관을 신설하였다.[26]

2009년에 평창동강민물고기생태관이 2000년 동강댐의 건설 계획이 중단된 이후, 관광객을 유치하고 동강의 자연을 홍보하기 위하여 개관하였다.[27]

관광 편집

 
휘닉스 평창

스키 등의 동계 스포츠를 즐기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스키 슬로프, 호텔, 콘도미니엄 등을 갖춘 용평리조트휘닉스 평창이 운영되고 있다.[28]

2010년대 후반부터는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관광 뿐만 아니라, 대관령목장, 삼양목장 등 이국적인 풍경을 보여주는 목장도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교통 편집

영동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이전에는 접근성이 떨어졌으나 고속도로의 개통과 확장 이후에는 접근성이 향상되었으며,[29]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이 건설되면서 평창역진부역이 설치되었다.[30][31] 이 중 진부역은 2018년 동계 올림픽 거점역으로 사용된다. 주요 시외버스터미널로 평창시외버스터미널장평시외버스터미널이 있다.

철도 편집

서울역강릉역을 오가는 경강선 열차 중 일부가 평창역진부역에 선택 정차한다. 2018년 동계 올림픽 기간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강릉역을 운행하는 편성이 있고, 평창역은 선택 정차, 진부역은 필수 정차역이다.[32]

  경강선 둔내역평창역진부역강릉역

버스 편집

시외버스

평창시외버스터미널, 장평시외버스터미널, 진부공용버스정류장, 대화버스터미널, 횡계시외버스터미널 등이 있다.[33]

농어촌버스

평창시외버스터미널, 장평시외버스터미널, 진부공용버스정류장을 거점으로 농어촌버스가 운행된다.

도로 편집

영동고속도로가 군의 북부를 동서로 지난다. 국도 6, 42호선이 동서로, 31, 59호선이 군을 남북으로 지난다.

50
 
영동고속도로
동둔내 나들목면온 나들목평창 나들목속사 나들목진부 나들목대관령 나들목강릉 분기점

스포츠 편집

 
1954년에 열린 대관령 스키 대회 참관자들의 모습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편집

1989년 제8차 OCA 총회에서 제3회 동계 아시안 게임을 199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삼지연군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되었으나 1992년 반납 의사를 표명하였다. 강원도는 1992년 제3회 대회의 유치를 신청하였으나, 1993년 쿠웨이트에서 열린 OCA 총회에서 제3회 대회는 하얼빈에서 개최하고, 1999년 제4회 대회를 강원도 평창군, 춘천시, 강릉시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34]

779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주최국인 대한민국은 101명의 선수와 29명의 임원이 참가하였다. 평창(용평)에서는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바이애슬론, 쇼트트랙, 피겨 스케이팅 등 5개 종목이 개최되었다.[35][36]

2013년 동계 스페셜 올림픽 편집

2013년 동계 스페셜 올림픽은 평창군 대관령면강릉시 일대에서 2013년 1월 29일부터 2월 5일까지 개최되었다.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동계 스페셜 올림픽이다.

폐막식 때, 당시 국제스페셜올림픽위원회 팀 슈라이버 회장은 폐회선언에서 "2013년 동계 스페셜 올림픽은 역대 최고의 대회였다. 2013스페셜올림픽 만세, 브라보"라고 소감을 밝혔다.[37][38][39][40]

2018년 동계 올림픽·패럴림픽 편집

  2018년 동계 올림픽
IOC · KOC · POCOG
  2018년 동계 패럴림픽
IPC · KPC · POCOG

평창군 대관령면강릉시, 정선군 일대에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을 개최했다.

평창2010년 동계 올림픽 유치권을 두고 캐나다 밴쿠버,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와 경쟁하게 되었다. 1차 투표에서 51표를 얻어 2위 밴쿠버와 11표 차이로 1위를 했으나, 2차 투표에서 53표를 얻어 56표를 얻은 밴쿠버가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 실패한 평창은 2014년 동계 올림픽 유치도 희망했다. 2006년 6월 22일, 후보지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2010년 동계 올림픽 유치 경쟁에서 탈락하여 2번째로 동계 올림픽 유치에 도전함.), 러시아 소치 그리고 평창으로 좁혀졌다. 2007년 7월 4일, 잘츠부르크가 경쟁에서 먼저 밀려나고, 소치가 단 4표차로 평창을 누르고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두 번 연속으로 개최지 선정에서 탈락한 평창은 2009년 10월 15일, 프랑스 안시, 독일 뮌헨과 함께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 후보 도시로 선정되었다. 2011년 7월 7일 한국시각으로 자정에 올림픽 개최지가 63표로 평창군으로 확정되었으며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열리는 동계 올림픽이 되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의 개막식, 폐막식이 평창에서 개최되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스키점프, 노르딕 복합,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봅슬레이, 스켈레톤, 루지,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에서는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가 개최되었다.

연고지 팀 편집

교육 편집

고등학교 편집

중학교 편집

초등학교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지역 도시
  서울특별시   관악구[41]
  송파구
  경기도   화성시
  의왕시

출신 인물 편집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48-49면
  3.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61면
  4. 《고려사 지 권제10》. 1455년. 
  5.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72면
  6.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75면
  7. http://www.happy700.or.kr/index.happy?menuCd=DOM_000000105001002000
  8. http://www.provin.gangwon.kr/gw/portal/sub03_03
  9. “Pyeongchang named as host city for 2018 Winter Olympics”. 《Daily Telegraph》. 2011년 7월 6일. 2011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7일에 확인함. 
  10.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평창의 자연〉
  11. https://data.kigam.re.kr/mgeo/map/main.do?process=geology_50k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5만 지질도
  12. http://www.climate.go.kr/home/cc_data/scenario_web_report/Gangwon_Pyeongchang.pdf
  13. 대관령지방 기후특성, 기상청
  14.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대관령(100)”.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5. “순위값 - 구역별조회 대관령(100)”.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6. 평창 기본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7. 평창 기본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4월 20일 확인
  18. “영문표기 사전”. 2008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7일에 확인함. 
  19.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상원사&ridx=5&tot=32
  20.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월정사&ridx=0&tot=26
  21.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22. “대관령눈꽃축제 소개”. 《대관령축제 위원회》.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이효석&ridx=0&tot=13
  24.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842
  25.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380면.
  26.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384면.
  27. “보관된 사본”. 2016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28.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589-590면.
  29.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268면.
  3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 , 2017년 6월 29일.
  31. “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32. 국토교통부 철도운영과 (2017년 11월 21일). “서울~강릉 KTX 올해말 개통, 114분 소요” (보도 자료). 국토교통부.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33. 평창군청 문화관광과 관광마케팅. “시외버스안내”.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34.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777면
  35. 평창군지 상, 평창군, 2003년, 778면
  36. 제4회강원동계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 《제4회강원동계아시아경기대회공식보고서》. 5쪽. 
  37. 김희선 기자 (2013년 2월 5일). “평창 스페셜올림픽, "지금까지와 차원이 다른 혁신적 대회". OSEN.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38. “스페셜올림픽 5일 폐막, "혁신한 최고의 대회” 찬사”. MK스포츠. 2013년 2월 5일.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39. 김윤일 기자 (2013년 2월 5일). “평창스페셜 폐막 ‘차원이 다른 혁신적 성과’”. 데일리안.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40. 정윤석 기자 (2013년 2월 5일). “스페셜올림픽 폐막…혁신적 대회 평가”. 에이블뉴스.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41. 평창소개 > 군청소개 > 국내외 교류현황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