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설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4년 5월 26일) |
욕설 (辱說) 혹은 욕 (辱) (Profanity)은 무례함이나 부정성을 보여주거나 고통을 덜어주거나 강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문법적 강조나 비공식적, 혹은 대화적인 친밀감을 표현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적으로 비도덕적인 표현이다. 많은 공식적이거나 예의 바른 사회적 상황에서는 무례한 것으로 간주되고 (사회적 규범 위반), 일부 종교 단체에서는 죄로 간주된다.[1] 욕설에는 비방이 포함되나, 대부분의 욕설이 비방의 목적인 셈은 아니며, 비방을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욕설도 있다.


욕설은 모호하게 처리하거나 (예: "fuck"이 "f***" 또는 "the f-word"가 됨) "flip"과 같은 엉터리 맹세로 대체하면, 불쾌감을 주거나 무례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도 같은 목적으로 논의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어원 및 정의
욕설은 '공격적인 언어', '더러운 말' 또는 '금기어'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 될 수도 있다.[2] 욕설은 영어로 'Profanity' 라고 할 수 있는 한편, profane이라는 용어는 고전 라틴어 profanus에서 유래되었으며 문자 그대로 '성전 앞(바깥)'을 의미하며 pro는 '바깥'을 의미하고 fanum은 '성전, 성소'를 의미합니다.[3][4][더 나은 출처 필요] 이것은 중세 영어에서 사원을 더럽힌다는 의미로 더욱 발전했다.[5] 영어에서 욕설은 맹세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욕설 사용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언어 용어입니다.[6] 욕설과 맹세에 대해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는 다른 언어는 프랑스어 (jurer), 캐나다 프랑스어 (sacer), 스웨덴어 (svära)에 불과하다.[7]
특히, 영어에서는 특히, 미국의 욕설과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한다. cursing은 원래 누군가에게 저주를 걸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지칭했으며[8] 미국 영어에서는 여전히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기를 바라는 것과 일반적으로 연관된다.[9] cursing과 동일한 단어는 덴마크어 (bande), 이탈리아어 (imprecare), 노르웨이어 (banne)에서도 비슷하게 사용된다.[10] swearing과 cursing이라는 용어는 분노에 대한 욕설 사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1] 다양한 유형의 욕설을 분류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유형은 없으며 용어는 서로 바꾸어 사용된다.[12]
신성모독과 음란물은 욕설과 비슷하게 사용되지만 신성모독은 종교적 의미를 유지했다.[5] expletive는 욕설 사용을 나타내는 또 다른 영어 용어로, 원래 의미를 바꾸지 않고 문장의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 단어를 추가한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었다.[13] expletive는 때때로 감탄사로서의 욕설을 구체적으로 지칭합니다.[14][15] 별명은 특정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욕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16] 일부 언어에는 욕설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가 없고 대신 "나쁜 언어 사용"이라는 문구로 설명합니다. 여기에는 중국어(zang hua), 포르투갈어(palavrão), 스페인어(decir palabrotas), 터키어(küfur etmek)가 있다.[10]
욕설은 상대방을 모욕하거나 비난하기 위하여, 또는 혼자 열을 받았을 때 등에 주로 사용한다. 장난칠 때나 말버릇으로 쓰는 사람들도 있다.[17] 욕설은 대응하는 일반적인 표현이 없고, 단어나 구일 뿐만 아니라 절 형식인 것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속어나 비어와 다르다.[18] 어떤 표현이든 모욕이나 비난의 의도로 사용되었다면 그 맥락에서는 욕설이다.[19] 한편, 사전에 등재되는 욕설은 실제로 사용되는 욕설의 수보다 그리 많지 않다.[20]
욕설의 종류
개새끼
개새끼 혹은 개자식은 한국에서 쓰이는 욕설의 하나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어떤 사람을 좋지 않게 여겨 욕하여 이르는 말."로 정의하고 있다.[21] 본래는 그 욕의 뜻이 아닌, 친구나 자손에게 귀여움과 반가움을 나타내고 사랑을 전하는 뜻으로 쓰였다.[22]
영어로는 'Son of a bitch'와 같게 된다. 여기서 'bitch'는 '암캐' 및 '창녀'를 가리키기도 한다.[23]
새끼
'자식'이란 단어의 속된 표현으로 하는 욕설 중의 하나. 즉 인간의 '자식'이 아니라 짐승의 '새끼'라는 것으로 인간도 아니며 바람 난 짐승보다 더한 것의 자손이라는 것을 모욕하는 표현이다.
'개새끼'보단 조금 약한 강도이나 엄연히 강도가 매우 높은 편.
•올바른 표현 : 자식
아가리
'입'이란 단어의 속된 표현으로 하는 욕설 중의 하나. 즉 인간의 '입'이 아니라 짐승의 '아가리'라는 것으로 인간도 아니며 짐승보다 더한 입을 모욕하는 표현이다.
•올바른 표현 : 입
양아치
행실과 인성이 천박하고 못된 짓을 일삼는 사람을 속되 이르는 말.[24]
미친놈, 미친년
미치광이를 욕되게 이르는 말이다.[25] 꼭 미치광이에게만 쓰는 것은 아니다.
씨발
'성관계'를 말하는 우리말 '씹'에 할이 붙어 씹할놈이 어원이다. 영어로는 'Fuck'와 같은 뜻. '아무하고나 성관계할 정도'를 뜻한다. 온라인에선 간단하게 초성으로 'ㅆㅂ'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조금더 심한 욕으로는 '씹팔'이 있다. 이에 '년'을 추가하여 '씹팔년'이 있으니 이는 곧 몸을 파는 창녀를 말한다.
닥쳐
'닥쳐' 혹은 '닥쳐라'는 '다물어', '입 닫아' 혹은 '시끄러워' (영어로 'Shut up') 같은 의미를 속되게 한 표현이다. 입을 닫으라는, 혹은 말을 그치라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단어로 영어로는 'Shut the hell up'과 같은 뜻.[출처 필요] (영어권에서 강도를 더 높이자면 '(Shut the) Fuck up'도 있다. 이를 해석하자면 '아가리 닥쳐' 혹은 '아가리 닥쳐라'와 엇비슷할 수준이다.[출처 필요]) 그리고, '닥쳐'는 온라인에선 간단하게 초성으로 'ㄷㅊ'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꺼져
'꺼져' 혹은 '꺼져라'는 '사라져' 혹은 '없어져' (영어로 'Get out') 라는 의미의 속된 표현이다. 눈앞에서 안보이게 없어지라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단어로 영어로는 'Go to hell' 혹은 'Get the hell out'와 같은 뜻.[출처 필요] (영어권에서 강도를 더 높이자면 'Go to fucking hell', '(Get the) Fuck out' 혹은 'Fuck off'도 있다. 이를 해석하자면 '썅 꺼져' 혹은 '썅 꺼져라'와 엇비슷할 수준이다.[출처 필요]) 그리고, '꺼져'는 온라인에선 간단하게 초성으로 'ㄲㅈ'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특정 국어사전에 이 단어는 '목숨이 끊어지다', '생명이 꺼지다' (즉, '죽다')의 뜻도 담겨져 있긴 하다.
병신
'환자'라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것으로 지시되는 사람이 정상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을 때 쓰는 말. 영어로는 '백치'를 뜻하는 'Idiot'과 같은 뜻. (영어권에서는 강도를 더 높이자면 '항문'을 뜻하는 'Asshole'도 있다. 이를 해석하자면 '병신 새끼'와 엇비슷할 수준.) 그리고, '병신'이란 본래 정상적인 행동을 할 수 없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 온라인에선 간단하게 초성으로 'ㅂㅅ'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존나
'좆이 나올 정도', 즉, '성기가 튀어나올 정도'라는 의미로, 매우 놀라는 상황의 속된 표현에 쓰인다.
• 예: '존나 밉다'
영어로는 '성관계' 관련 단어, 'Fucking' 정도와 비슷한 뜻.
• 예: 'Fucking bad (존나 나쁘다)'
한편, 본래는 '좆나'가 맞는 표현이었으나, 발음과 관련하여 '존나'가 되었다. 온라인에선 간단하게 초성으로 'ㅈ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염병
상대방을 비하하는 표현 중 하나. '염병' 혹은 '옘병'이란 '장티푸스'의 속된 표현으로, 장티푸스 같이 매우 치명적인 질병에 걸려 생명이 위험해지기에 이르는 것을 뜻하여 욕설 중 강도가 매우 높다.
종간나
빨갱이
'공산주의자'를 속되게 한 표현.
눈 깔어
'눈깔'의 눈꺼풀을 내려 눈동자를 많이 덮게 하여 눈깔을 내리깔아 시선을 아래로 보내라는 것.
•올바른 표현 : 쳐다보지 마
젠장
'젠장' 혹은 '젠장할'은 뜻에 맞지 않고 불만스러울 때 하는 표현. '제기랄' 정도와 뜻이 엇비슷할 수준. 영어로는 'Hell', 'Damn' 정도와 같은 뜻. (영어권에서 강도를 더 높이자면 '성관계'를 뜻하는 'Fuck'도 있다. 이를 해석하자면 '씨발' 혹은 '썅'과 엇비슷할 수준이다.)
지랄
마구 법석을 떨며 분별없이 하는 행동 혹은 '발작'을 속되게 한 표현. 본 뜻은 '간질병', 즉 뇌전증을 뜻한다. 영어로는 '백치'를 뜻하는 'Idiot'과 같은 뜻. (영어권에서 강도를 더 높이자면 '항문'을 뜻하는 'Asshole'도 있다. 이를 해석하자면 '씹지랄', '개지랄' 혹은 '좆지랄'과 엇비슷할 수준이다.) 그리고, '지랄'은 온라인에선 간단하게 'ㅈㄹ'로 표현하기도 한다.
호구
'호랑이의 아가리 안에 있는 것처럼 다루기 만만하다'는 뜻의 표현으로, 다루기에 만만하거나 어수룩하거나 위태로운 처지라는 것을 속되게 한 표현.
애미, 애비
상대방의 부모를 욕하는 매우 심한 욕설이다. 즉, 인간의 '어머니', '아버지'가 아니라 짐승의 '애미 (어미)', '애비 (아비)' 라는 뜻.[출처 필요]
고아
보지, 자지
'보지', '잠지', '자지' 혹은 '고추'는 여성 혹은 남성의 성기를 욕하는 말이다. '성관계' 관련으로써 강도가 매우 높은 욕설.
한편, 검열을 피하기 위해서 등 '뷰지', '쥬지'라고 하기도 한다.
장애
'장애인'에서 '인'을 뺀 말이며 비하 발언이다. 주로 뒤에 '새끼'가 붙어서 '장애 새끼' 라고도 한다. 이는 매우 강도가 높다.
어원 풀이
예 :
"개새끼" -> '어머니가 바람 펴 낳은 자식'[23]
"씹자식" -> '창녀의 자식"
"이 새끼들아" -> '너흰 인간도 아닌 짐승보다 더 해먹은 것의 자손이야'
"병신 자식" -> '몸 어디가 모자란 자식'
"앰창 (혹은 엄창)" -> '~의 애미 (혹은 어미)가 창녀'
"아가리 닫아라" -> '그 짐승보다 더 해먹은 입 닫아'
"애미 (혹은 애비)" -> '인간도 아니며 짐승보다 더 해먹은 어머니 (혹은 아버지)'
"염병 (혹은 옘병)" -> '(창자가) 장티푸스에 걸려 죽어버릴 듯한'
"호구" -> '호랑이 입안에 있는 것처럼 다루기 만만하다'
"짜져라 (혹은 째져라)" -> '구석에서 짠 소금의 절임 배추 못지 않게 물 빠져 찌그러져 버려'
"닥쳐라" -> '그 입을 다물어서 쳐 (접두사 '쳐-') 물어'
"꺼져라" -> '나가 죽어 없어져버려'
"존나 (혹은 Fucking)" -> '성기가 튀어나올 정도로'
"좆 같다" 혹은 "엿 같다" -> '성기가 튀어나올 정도로 역겨웁다'
"엿 먹어라" (Fuck you와 같은 뜻) -> '나의 성기를 먹어'
방송
라디오나 텔레비전에서 욕설을 표현하는 것이 불법인 국가에서는 프로그램을 미리 녹취하거나 송출 지연 장치를 사용하여 방영 전에 욕설을 삭제 한다.
다른 예시와 사용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이선영 (2015). “비속어와 욕설의 개념에 대하여”. 《어문론집》 (중앙어문학회) 64: 59-80. doi:10.15565/jll.2015.12.64.59. ISSN 1229-6406. 2020년 11월 22일에 확인함. (구독 필요).
- 조항범 (2019). 《우리말 ‘卑語’, ‘俗語’, ‘辱說’의 어원 연구》. 충북: 충북대학교 출판부. ISBN 9788972954880.
각주
- ↑ “The Teaching of the Twelve Apostles to the Nations, known as The Didache” (PDF) (영어). Legacy Icons. 2016. 6쪽. 2022년 2월 16일에 확인함.
But the way of death is this. First of all, it is evil and full of curses: murder, adultery, lust, promiscuity, theft, idolatry, magical arts, witchcraft, robbery, false testimony, hypocrisy, duplicity, treachery, pride, malice, stubbornness, greed, foul language, jealousy, arrogance, pride, and boasting.
- ↑ Johnson & Lewis 2010, 106쪽.
- ↑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profane", retrieved 14 February 2012
- ↑ 하퍼, 더글러스. “profane”. 《온라인 어원 사전》.
- ↑ 가 나 Hughes 2015, 362쪽.
- ↑ Ljung 2011, 1쪽.
- ↑ Ljung 2011, 1–2쪽.
- ↑ Hughes 2015, 114–115쪽.
- ↑ Ljung 2011, 31쪽.
- ↑ 가 나 Ljung 2011, 2쪽.
- ↑ Matusz 2017, 36쪽.
- ↑ Ljung 2011, 24–25쪽.
- ↑ Hughes 2015, 154쪽.
- ↑ Stapleton 등. 2022, 7쪽.
- ↑ Ljung 2011, 30쪽.
- ↑ Ljung 2011, 33쪽.
- ↑ 조항범 2019, 371쪽.
- ↑ 이선영 2015, 73쪽.
- ↑ 이선영 2015, 74쪽.
- ↑ 조항범 2019, 4쪽.
- ↑ “개새끼::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말과 글 어원을 찾아서 - 문둥이새끼”. Nohoo. 2011년 7월 1일. 2013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야 이 개XX야' 오명 벗은 강아지?…욕의 어원 논란2015년 11월 6일 sbs 뉴스
- ↑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C%96%91%EC%95%84%EC%B9%98. 2024년 12월 12일에 확인함.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B%AF%B8%EC%B9%9C%EB%86%88. 2024년 12월 12일에 확인함.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종간나”. 《네이버 지식백과》. 2024년 10월 20일. 2024년 10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