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약 (유자)
유약(有若 BC518년-458년)은 자(字)는 자유(子有)로 노(魯)나라 사람으로 알려져있다. 공자의 제자이다.
당(唐) 현종(玄宗)은 '변백(汴伯)'으로 존칭한바있고,송(宋) 진종(真宗)은 '(평음후)平阴侯'로 봉한바 있으며, 명(明) 가정제(嘉靖九年)는 선현(先賢) '유자(有子)'로 개칭하여 존칭하였다.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 上)에 전하는 바에 따르면, 유약(有若)이 공자와 (여러모로 행실을 따라) 닮았기에 공자의 사후 자하(子夏), 자장(子張), 자유(子游)등이 공자 대신 유약(有若)을 모시려고했지만, 자여(子舆)가 이를 비판했다고한다.[1][2] 한편, 사기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는데 다른 제자가 생전의 공자 언행에 대해 유약(有若)에 질문했지만 유약이 대답할 수 없는바가 있기에 공자를 대신할 수 없는바를 거론했다고 한다.[3]
논어와 유약
편집哀公問于有若曰:“年饑,用不足,如之何?”
有若對曰:“盍徹乎?”
(哀公)曰:“二,吾猶不足,如之何其徹也?”
(有若)對曰:“百姓足,君孰與不足?百姓不足,君孰與足?”
- (노나라)애공이 유약에게 물었다 : 올해에는 기근이 들었습니다. 나라살림이 어렵습니다. 어떻게할까요?
- 유약이 대답하였다: 모든세금을 (줄여서 하나로) 합치시지요?
- 애공 말했다: (지금의 세금이) 두배라도 오히려 나는 부족하오, 그처럼 세금을 어떻게 합니까?
- 유약이 대답하였다: 백성이 족한데 임금이 어찌 더불어 부족하겠습니까? 백성이 부족한데 어찌 임금이 더불어 족하겠습니까?
논어 학이제일(論語 學而第一)[5]
有子曰禮之用和爲貴先王之道斯爲美小大由之有所不行知和而和不以禮節之亦不可行也 (논어, 學而第一 , 1-12)
- 유자가 말했다. “예의 쓰임은 화합을 귀중히 하는 것이다. 옛 임금의 도는 이것을 아름답다 여긴 것이다. 크고 작은 일들이 여기에서 비롯된다. (화합을) 가지고도 행하지 않는 바가 있는데, 화합을 알고 화합하되 예로써 이를 절제하지 아니하면 또한 행할 수가 없다.”
有子曰信近於義言可復也恭近於禮遠恥辱也因不失其親亦可宗也 (논어, 學而第一 ,1-13)
- 유자가 말했다. “신의(信義)가 도의(道義)에 가깝다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禮)에 가깝다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 의지(依支)하여도 그 친함을 잃지 않으면 또한 존숭(尊崇)받는 자가 될 수 있다.”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 (논어, 學而第一 ,1-2)
- 유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위인(爲人)이 효도하고 공경하면서도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 것이니, 윗사람을 침범하기를 좋아하지 아니하면서도 난리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는 있지 아니하다. 군자는 근본에 힘을 쓰는 것이니,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기는 것이다.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이에 어짊(仁)의 근본이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孟子·滕文公上)「吾聞用夏變夷者,未聞變於夷者也。陳良,楚產也;悅周公、仲尼之道,北學於中國,北方之學者,未能或之先也。彼所謂豪傑之士也。子之兄弟事之數十年,師死而遂倍之。昔者孔子沒,三年之外,門人治任將歸,入揖於子貢,相向而哭,皆失聲,然後歸。子貢反,筑室於場,獨居三年,然後歸。他日子夏、子張、子游以有若似聖人,欲以所事孔子事之,強曾子。曾子曰:『不可,江漢以濯之,秋陽以暴之,皜皜乎不可尚已。』今也南蠻鴃舌之人,非先王之道,子倍子之師而學之,亦異於曾子矣。吾聞出於幽谷、遷于喬木者,未聞下喬木而入於幽谷者。魯頌曰:『戎狄是膺,荊舒是懲。』周公方且膺之,子是之學,亦為不善變矣。」「從許子之道,則市賈不貳,國中無偽;雖使五尺之童適市,莫之或欺。布帛長短同,則賈相若;麻縷絲絮輕重同,則賈相若;五穀多寡同,則賈相若;屨大小同,則賈相若。」曰:「夫物之不齊,物之情也。或相倍蓰,或相什百,或相千萬;子比而同之,是亂天下也。巨屨小屨同賈,人豈為之哉?從許子之道,相率而為偽者也,惡能治國家?」
- ↑ 맹자(孟子)에 언급하기를 공자(孔子)사후에 자하(子夏), 자장(子張), 자유(子游)가 '성인(聖人)이 살아있다면 자유(子有)같을것이다 그로써 대신하자하니 증자가 불가하다고 했다'라고 평하였다.(위키백과)孟子謂孔子歿後,子夏、子張、子游以為有若似聖人,欲以所事孔子事之,曾子以為不可。(詳見《孟子·滕文公上》)有若過世之後,魯悼公曾前往弔唁,足見其為同門及魯人之所重。
- ↑ (사기 열전 仲尼弟子列傳 有若)https://ko.wikisource.org/wiki/%EC%82%AC%EA%B8%B0/%EA%B6%8C067
- ↑ 논어,안연제십이(顔淵第十二) https://ko.wikisource.org/wiki/%EB%85%BC%EC%96%B4/%EC%95%88%EC%97%B0%EC%A0%9C%EC%8B%AD%EC%9D%B4
- ↑ (논어 학이제일)https://ko.wikisource.org/wiki/%EB%B2%88%EC%97%AD:%EB%85%BC%EC%96%B4/%ED%95%99%EC%9D%B4%EC%A0%9C%EC%9D%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