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희춘(柳希春, 1513년~1577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전라도 해남군 출신이다. 자는 인중(仁仲), 호는 미암(眉巖)이다.

류희춘
柳希春
출생1513년
전라도 해남군
사망1577년
성별남성
국적조선
직업문신

생애

편집

김안국의 제자이다. 1537년(중종 32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다음해 무술년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였다. 한 때 시강원 설서로 동궁(東宮, 인종仁宗)의 사부였다. 수찬·정언 등을 지냈다. 명종윤원형에 의해 제주유배되었다가, 1567년 풀려나와 부제학·대사간 등을 지냈다. 선조 때 이조참판으로 있다가 물러나 고향인 전라도 해남군으로 내려갔다. 죽은 후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저서

편집
그가 지은 《미암일기》는 1568년에서 1577년까지의 정치 모습과 자기의 경력을 쓴 책으로 역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 속위변
  • 역대요록

가족 관계

편집
  • 증조부 : 류양수(柳陽秀)
    • 할아버지 : 류공준(柳公濬)
    • 할머니 : 설씨(薛氏)[1]
      • 아버지 : 류계린(柳桂鄰)
    • 외할아버지 : 최부(崔溥)[文]
      • 어머니 : 탐진 최씨(耽津崔氏)
        • 형 : 류성춘(柳成春)
        • 형수 : 광산 김씨, 김숭조(金崇祖)의 딸
        • 부인 : 홍주 송씨(洪州宋氏), 송준(宋駿)의 딸
          • 아들 : 유경렴(柳景濂)
          • 며느리 : 울산 김씨(蔚山金氏), 김인후(金麟厚)의 딸
            • 손자 : 유광선(柳光先)
            • 손자 : 유광연(柳光延)
          • 딸 : 윤관중(尹寬中)에게 출가

참고 자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

편집
  1. 미암집 제3권. 증 정부인 최씨의 묘갈 음기〔贈貞夫人崔氏碣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