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李顗, 생몰년 미상)는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자연(李子淵)의 넷째 아들이고 문종의 처남이다. 자신의 본관인 인천(仁川)의 시조인 이허겸의 증손자이고 자매가 인예왕후순종, 선종, 숙종의 외삼촌이고 이자겸의 백부였다.

생애

편집

이의는 이자연과 김인위의 딸, 계림국대부인(雞林國大夫人) 경주 김씨의 넷째 아들이다. 이의의 초기 생애는 군기주부(軍器注簿)에 문종이 1040-50년대에 제수(除授) 할때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다.[1]

춘주도감창사

편집

1068년(문종 22년)에 이의는 춘주도감창사(春州道監倉使)로 임명되어 북산면 청평리에 폐사(廢寺)된 청평사(淸平寺)를 중건하고 보현원(普賢院) 이라고 이름을 붙였다.[2] 나중에는 장남인 이자현이 여기에서 생을 마칠때까지 살았다.[3] 1080년(문종 34년)에는 병마부사(兵馬副使) 관직이 주어져서 춘천도를 떠났다.

여진의 침입

편집

1080년 말(문종 34년)에는 동번(東蕃)이 고려를 침입하여 병마부사(兵馬副使) 관직이 주어져서 문정(文正), 최석(崔奭), 염한(廉漢)과 함께 3만의 군사를 이끌고 정주에서 승을 거뒀다. 동번들의 난을 평정하여 큰 공을 세우니 문종이 50냥이 되는 은합을 하사하고[4] 태자빈객(太子賓客)으로 승급을 하였다.[5]

생애 후반

편집

생애 후반에는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에 임명되고[6] 그후에는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7] 이의는 1082년 말 이후 고려사 기록들에 나타나지 않으니 그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족 관계

편집
  • 조부 : 이한(李翰)
    • 아버지 : 이자연(李子淵), 문하시중
  • 외조부 : 김인위(金因謂), 내사시랑평장사
    • 어머니 : 계림국대부인(雞林國大夫人) 경주 김씨
    • 장인 : 민창수(閔昌壽), 형부상서
      • 처 : 여흥군대부인(驪興郡大夫人)
        • 장남 : 이자현(李資玄, 1061(문종 15) - 1125(인종 3)), 대악서승
        • 차남 : 이자덕(李資德, 1071(문종 25) - 1138(인종 16)), 중서시랑평장사
          • 손자 : 이지정(李之正, 생몰년 미상), 전중소감
          • 손자 : 이지화(李之和, 생몰년 미상), 상의봉어
        • 딸 : 1072(문종 26)년생. 중서시랑평장사 문공원(文公元, 1084(선종 1) - 1156(의종 10))에게 출가

각주

편집
  1. 《인천이씨대동보》 1판. 2004. 3쪽. 
  2. “역사”. 《청평사》. 
  3. “이자현”.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4. “문정”.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5. “김제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6. “12월 정기인사에 유홍 등을 임명하다”.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7. 《인천이씨대동보》 1판. 2004. 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