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 항공사

(저가 항공사에서 넘어옴)

저비용 항공사(低費用航空社, 영어: low-cost carrier; LCC)는 기내 서비스를 줄이거나 보유 항공기의 기종을 통일하여 유지 관리비를 줄이는 등의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통해 낮은 운임으로 운행하는 항공사이다.

이 개념은 미국퍼시픽 사우스웨스트 항공에 의해 처음 고안되어 1990년대 초에 유럽으로 확산되었고, 현재는 저비용 항공사의 여객기들이 비행시간 3~4시간 이내의 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세계 전역에서 운항하고 있다.

국가별 운영편집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에는 21세기 초반에 저비용 항공사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최초의 저비용 항공사는 한성항공(티웨이항공)이다.

대한민국의 저비용 항공사는 지방 공항과 지역을 기반으로 한 경우가 많다. 한성항공의 경우 충청도와 청주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후 등장한 제주항공은 제주와 제주국제공항을, 에어부산은 부산과 김해국제공항을 허브로 하고 있다.

이는 폐지된 항공사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영남에어는 영남지역과 김해국제공항을, 코스타항공은 울산과 울산공항을 중심으로 운항하였다. 인천시의 경우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하는 타이거 항공과 힘을 모아 인천타이거항공을 설립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이에 인천은 진에어와 협정을 맺는 것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다.[1]

현재 운항중인 저비용 항공사편집

모두 737-800 단일 기종이다.

일본과 중국편집

일본에는 피치 항공, 제트스타 재팬, 일본춘추항공 등이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에는 춘추항공, 준야오 항공 등이 있다.

기타 국가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김국헌 (2008년 12월 30일). “진에어, 인천시 기반 저가 항공사로 탈바꿈”. 이데일리. 2011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