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연속 측도

(절대 연속 함수에서 넘어옴)

측도론에서 절대 연속 측도(絶對連續測度, 영어: absolutely continuous measure)는 어떤 주어진 측도에 일종의 ‘무게’를 주어 얻을 수 있는 측도이다. 이에 따라, 원래 측도의 값이 0이면, 이에 대한 절대 연속 측도의 값 역시 0이어야 한다. 이 경우, 이 ‘무게’는 라돈-니코딤 도함수(Radon-Nikodym導函數, 영어: Radon–Nikodym derivative)라고 하며, 미적분학에서의 도함수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라돈-니코딤 도함수의 존재를 라돈-니코딤 정리(Radon-Nikodym定理, 영어: Radon–Nikodym theorem)라고 한다. 이에 따라, 절대 연속성은 일종의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가 성립할 필요 조건이다.

정의 편집

시그마 대수   위의 두 측도  ,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절대 연속 측도라고 하며,  로 표기한다.[1]:122, §4.2[2]

 

즉,  -영집합이 항상  -영집합이어야 한다. (대략, 이는 라돈-니코딤 도함수  에서, “분자”가 0이 아니라면 “분모” 역시 0이 아니어야 함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부호 측도(영어: signed measure)  의 경우, 만약   -절대 연속 측도라면  역시  -절대 연속 측도라고 한다.[1]:125, §4.2

보통  는 (유클리드 공간의 경우) 르베그 측도[1]:122, §4.2 (위상군의 경우) 왼쪽 하르 측도를 사용한다.

성질 편집

라돈-니코딤 정리 편집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가측 공간  
  • 시그마 유한 측도  
  • 시그마 유한 측도  . 또한,  라고 하자.

라돈-니코딤 정리(영어: Radon–Nikodym theorem)[1]:123, Theorem 4.2.2[2]:115, Theorem 4.1.1(ii)에 따르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측 함수

 

가 존재한다.

 

(여기서  는 음이 아닌 실수의 보렐 시그마 대수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측 함수라돈-니코딤 도함수라고 한다. 또한, 라돈-니코딤 도함수는  -거의 어디서나 유일하다. 즉, 위 데이터에 대한 두 라돈-니코딤 도함수  ,  에 대하여,   -영집합이다.

위 조건에 의하여, 임의의  -적분 가능 가측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이 추가로 성립한다.

 

라돈-니코딤 도함수의 성질 편집

가측 공간   위의 세 시그마 유한 측도  가 주어졌으며,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가측 공간   위의 세 시그마 유한 측도  가 주어졌으며,

 

일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만약  인 경우 (즉,  ), 다음이 성립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유한 복소측도

 

시그마 유한 측도

 

에 대하여, 만약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실수선 위의 절대 연속 측도 편집

실수 닫힌구간 위에 정의된 증가 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  가 존재한다면,  절대 연속 함수(絶對連續函數, 영어: absolutely continuous function)라고 한다.[2]:128, Definition 4.4.1

임의의 실수열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

이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2]:131, Theorem 4.4.3

절대 연속 함수는 항상 연속 함수이며, 거의 어디서나 도함수를 갖는다. 이 도함수는  의 라돈-니코딤 도함수에 의하여 주어진다. 또한, 정의에 따라 이는 르베그 적분 가능 함수이며, 그 적분은  와 일치한다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정의에 따라, 모든 립시츠 연속 함수는 절대 연속 함수이다.

편집

칸토어 함수

 

연속 함수이지만 절대 연속 함수가 아니다. 즉, 그 르베그-스틸티어스 측도는 절대 연속 측도가 아니다.

비(非) 시그마-유한 측도에 대한 라돈-니코딤 정리의 실패 편집

라돈-니코딤 정리는 일반적으로 시그마 유한 측도가 아닌 절대 연속 측도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1]:125, Example 4.2.3[2]:117, Remark 4.1.1 보렐 시그마 대수를 부여한 닫힌구간   위의 셈측도

 

는 (르베그 측도에 대하여) 절대 연속 측도이다. 그러나 이는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갖지 않는다. 즉,

 

가 성립하는 가측 함수  가 존재하지 않는다.

역사 편집

라돈-니코딤 정리의 경우, 1913년에 요한 라돈유클리드 공간의 경우에 대하여 증명하였으며,[3] 이를 오톤 마르친 니코딤이 1930년에 일반적인 가측 공간에 대하여 일반화하였다.[4]

응용 편집

라돈-니코딤 정리는 확률론에서 단일한 공간에 대해 정의된 여러 개의 확률 측도를 연결할 때 매우 중요하게 쓰인다. 가령, 라돈-니코딤 정리는 조건부 기댓값의 존재성을 증명한다.

금융공학에서는 기르사노프 정리를 통해 실제 측도에서 위험중립측도를 도출해내는 데에 라돈-니코딤 정리가 쓰이기도 한다. 파생상품의 경우 대부분 위험중립측도가 존재해야만 적정 가격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중립측도가 파생 상품 가격 결정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상당하다.

참고 문헌 편집

  1. Cohn, Donald L. (2013). 《Measure theory》. Birkhäuser Advanced Texts Basler Lehrbücher (영어) 2판. Birkhäuser. doi:10.1007/978-1-4614-6956-8. ISSN 1019-6242. 
  2. Athreya, Krishna B.; Lahiri, Soumendra N. (2006). 《Measure theory and probability theory》. Springer Texts in Statistics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0-387-35434-7. ISBN 978-0-387-32903-1. 
  3. Radon, J. (1913년 7월). “Theorie und Anwendungen der absolut additiven Mengenfunktion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in Wien, Mathematisch-Naturwissenschaftliche Klasse, Sitzungsberichte, Abteilung IIa: Mathematik, Astronomie, Physik, Meteorologie und Technik》 (독일어) 122: 1295–1438. JFM 44.0464.03. 
  4. Nikodym, O. (1930). “Sur une généralisation des intégrales de M. J. Radon” (PDF). 《Fundamenta Mathematicae》 (프랑스어) 15: 131–179. JFM 56.0922.01. 2016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 
  • Bradley, Richard C. (1989년 5월). “An elementary treatment of the Radon-Nikodym derivative”.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96 (5): 437–440. doi:10.2307/2325153. ISSN 0002-9890. JSTOR 232515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