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

대한민국 경상북도의 군

울진군(蔚珍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 북동부 최북단에 있는 이다. 1962년 12월 12일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군청 소재지는 울진읍이고, 2읍 8면을 관할한다.

울진군
Flag of Uljin.svg
울진군의 위치
울진군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989.0 km2
세대 25,535 가구(2021[1])
총인구 47,858 명(2021[2])
인구밀도 48 명/km2
2개
8개
군수 손병복(국민의힘)
국회의원 박형수(국민의힘)(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군청
소재지 울진읍 울진중앙로 121 (읍내리 464)
웹사이트 http://www.uljin.go.kr
상징
군목 소나무
군화 매화
군조 갈매기

역사편집

울진은 울진군과 평해군이 합군한 곳으로 본시 고구려의 우진야현(于珍也縣)이었으며 통일신라 때 울진으로 고쳐 군으로 하고, 고려 때 현으로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읍성이 있었으며 울진포영(浦營)을 설치하고 수군만호(水軍萬戶)를 두었다. 평해는 본래 고구려의 근을어(斤乙於)로서 고려 초에 평해로 고쳐 군으로 했다. 1895년 울진현을 군으로 하고 1914년 두 군을 합하여 울진군이 되었다. 1963년 1월 1일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현재 2읍(울진·평해), 8면(북·금강송·근남·매화·기성·온정·죽변·후포)을 관할한다.

(일제 강점기 이후의 행정 구역 개편은 울진군의 행정 구역#역사를 참조)

지리편집

경상북도의 북동단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있다. 군내는 거의 화강편마암 지형으로 되어 있으며 서쪽 군계를 태백산맥이 남으로 뻗어 있다. 그리하여 험준한 산악이 많고 동해를 향하여 급경사를 이루어, 해안에는 약간의 좁고 긴 해안평야가 있으며, 해안단구와 카르스트 지형이 곳곳에 발달하여 있다. 하천은 남쪽의 남대천과 북쪽의 왕피천이 각각 동해로 유입되나 물결이 빠르고 유로가 짧다. 1,000m가 넘는 높은 산으로 통고산(通高山:1,067m)·백암산(白巖山:1,004m) 등이 있다. 면적 989.05km2, 인구 51,139명(2017. 8)이다.



기후편집

동해에 면하고 바다의 영향을 크게 받아 겨울에도 온난하며 때때로 푄 현상(Föhn)으로 기온이 올라간다. 연평균 기온 12.6°C, 1월 평균기온은 1°C, 8월 평균기온은 23.8°C, 최고 기온 37.8°C(2013.8.8), 최저 기온 -14.1°C(1981.2.26), 연평균 강수량 1,119mm이다.

울진군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최고 기온 °C (°F) 6.2
(43.2)
7.5
(45.5)
10.9
(51.6)
16.8
(62.2)
20.7
(69.3)
22.9
(73.2)
26.3
(79.3)
27.2
(81.0)
23.9
(75.0)
20.0
(68.0)
14.3
(57.7)
9.1
(48.4)
17.2
(63.0)
일 평균 기온 °C (°F) 1.0
(33.8)
2.5
(36.5)
6.4
(43.5)
12.0
(53.6)
16.1
(61.0)
19.1
(66.4)
22.8
(73.0)
23.8
(74.8)
19.9
(67.8)
15.1
(59.2)
9.1
(48.4)
3.7
(38.7)
12.6
(54.7)
평균 최저 기온 °C (°F) −3.2
(26.2)
−1.8
(28.8)
1.8
(35.2)
7.0
(44.6)
11.6
(52.9)
15.6
(60.1)
19.9
(67.8)
20.9
(69.6)
16.1
(61.0)
10.3
(50.5)
4.2
(39.6)
−0.8
(30.6)
8.5
(47.3)
평균 강수량 mm (인치) 46.7
(1.84)
41.3
(1.63)
58.0
(2.28)
61.0
(2.40)
70.0
(2.76)
105.8
(4.17)
186.8
(7.35)
208.8
(8.22)
185.6
(7.31)
64.2
(2.53)
57.3
(2.26)
33.4
(1.31)
1,119
(44.06)
평균 강수일수 (≥ 0.1 mm) 5.4 6.3 8.3 7.3 8.0 9.6 13.8 13.2 11.1 6.5 6.2 4.2 99.9
평균 상대 습도 (%) 51.4 56.3 62.1 63.6 70.7 80.0 83.3 83.7 80.1 69.5 60.5 52.1 67.8
평균 월간 일조시간 203.1 186.7 205.8 228.8 235.9 194.4 163.1 184.7 175.0 203.6 188.3 203.9 2,373.2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9]

지질편집

울진군은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영남 육괴의 북동부 끝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이 가장 넓게 분포하며, 남부 평해읍온정면 지역에는 경상 분지경상 누층군 퇴적암층이 소규모로 분포한다.[10]

선캄브리아기편집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울진군 중부와 남부에 분포하는 원남층군을 기반으로 하여 그 위에 부정합으로 덮인 율리층군이 있고 이들을 관입한 화강 편마암류가 있다.[11]

  • 평해층군(Precambrian pyeonghae group, 平海層群)은 울진군 남부 평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지층군으로, 온정면 광품리, 선구리 동부, 후포리 일대에 소규모 분포한다. 변질이암(Metamorohosed argillaceous rock)과 변질 사질암(Metamorohosed arenaceous rock)의 호층(互層)으로 구성된다. 경상 누층군 울련산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며 온정면 금천리에서는 온정리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하고 있다.[12]
  • 원남층군(Precambrian wonnam group, 遠南層群)은 울진군 중부 지역에서 선캄브리아기 암석의 기저를 이루는 가장 오래된 지층군으로, 하부로부터 준(準)편마암류를 주로 하는 원남층, 흑연 편암층, 천매암 및 운모 편암을 주로 하는 동수곡층, 장군석회암층으로 구성된다. 울진군 내에서 금강송면울진읍 일부 지역, 매화면 남부, 기성면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11]
    • 원남층(PCEw; Precambrinan wonnam group wonnam formaiotn, 遠南層)은 원남층군 최하부 지층으로, 앞서 말한 원남층군이 분포하는 지역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편마상 또는 편리구조가 발달하며, 변질 이질암(argillaceous meta-sediment)과 변질사질암(arenaceous meta-sediment)의 호층(互層)과 이들이 미그마타이트화된 암석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구성 광물은 정장석, 사장석, 석영, 흑운모, 각섬석, 녹니석이다. 일반적 주향은 북동-남서 방향이고 경사는 50~80°로서 북서측으로 급경사하나 수직 또는 동남측으로 기울기도 하다.[11][12]
    • 흑연 편암층(PCEg; Precambrinan wonnam group graphite schist, 黑鉛 片巖層)은 원남층 상위의 지층으로, 근남면 수산리 서부에 소규모로 그리고 근남면 수곡리 서측 계곡과 금강송면 하원리에 걸쳐 서북서-동남동에서 서남서-동북동 방향으로 완만히 굴곡하면서 북측으로 경사하며 좁게 분포하는 암석층이다. 본 층의 구성 암석은 각섬석 편암, 흑연편암, 활석편암 등이 있다.[11]
    • 동수곡층(PCEdo; Precambrina wonnam group donsugok formation, 東水谷 片巖層)은 원남층 상위의 지층으로, 율리층군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며, 본 층과 원남층과의 관계는 정합적으로 보인다. 기성면 망양리와 매화면 덕신리, 기양리, 근남면 구산리 동부, 노음리 북서부, 통고산 동측 동수곡 계곡 등 울진군 곳곳에 국소적으로 분포한다. 본 암층의 하부는 주로 견운모(絹雲母) 편암, 상부는 주로 천매암으로 구성된다. 한천리 뒤쪽 산의 북사면에서의 주향은 북서 77°이고 경사는 북동 73°이며, 망양리 일대에서의 편암의 주향은 북서 70°내지 동-서 방향이다.[11]
    • 장군석회암층(PCEja; Precambrina wonnam group janggun limestone formation, 將軍石灰巖層)은 동수곡층을 평행 부정합으로 덮고 율리층군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인다. 매화면 덕신리, 기양리, 매화리/금매리-근남면 구산리 경계지역, 수곡리 동부, 성류굴 주변, 금강송면 왕피리 남부 지역에 국소적으로 분포한다. 구산리 부근에서는 두께 약 400 m 정도이고 담회색 내지 백색을 띠며, 주향은 북서 20°에 남측으로 50°경사한다. 성류굴 부근에서는 주향 북서 40°에 경사는 수직이 된다. 매화리 일대에서는 백색 석회암과 암녹색 내지 백색의 호상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향은 북동 20~40°에 남측으로 50~70°경사한다. 고회석(苦灰石)화작용 탄산철의 교대에 의한 갈철석과 적철석도 볼 수 있다.
  • 율리층군(Precambrian yuli group, 栗里層群)은 원남층군의 장구석회암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상부는 화강 편마암에 의해 관입당하며 금강송면에서 원남층 분포지역 사이에 끼어 분포한다. 외견상 하부인 남측으로부터 북측으로 향하여, 규암-점판암-천매암-운모편암류-흑색혈암(頁巖)-각섬석고회질석회암-석영사장석흑운모암의 순서로 단사(單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한은 화강 편마암으로 관입 접촉되어 있어 두께는 알 수 없다.[11]
  • 호산리층(Precambrian hosanri formation, 湖山里層)은 원래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서 그 이름이 유래된 지층으로, 울진군 북부 지역인 북면 나곡리, 죽변면 후정리 중부와 봉평리, 울진읍 명도리와 정림리, 북면 하당리와 사계리, 울진읍 정림리와의 경계 지역에 산재하여 소규모 분포한다. 울진군 북부 지역의 기저 암층으로서 화강편마암류에 의해 관입당했다. 본 층의 하부인 호산리층 하부 편암대(PCEhs; Precambrian hosanri formation lower schist)는 호산리층 분포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운모 편암으로 구성되고 대표적인 운모 편암의 주요 구성 광물은 흑운모, 석영, 장석류 등이다. 상부인 호산리층 상부 혼성대(PCEhm; Precambrian hosanri formation upper mixed band)는 북면 나곡리 북동쪽 끝의 해안 지역에만 조금 분포한다. 많은 양의 화성광물이 주입되면서 부분적으로 미그마타이트화되었고 광역적으로는 주입편마암, 호상편마암 및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등이 편암류와 교호(交互)되는 일종의 혼성대를 형성하고 있음이 특징이다.[13]
  • 분천 화강편마암(PCEgnb, PCEbgrgn; Precambrian bunchoen granite gneiss)은 금강송면 북부(국도 제36호선 이북)과 울진읍 북부와 북면 남서부(지방도 제917호선 남서부지역)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원남층군과 율리층군을 관입하고 홍제사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 주 구성 암석은 안구상(眼球狀) 편마암으로 이 암석의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흑운모 등이다.[14][13]
  • 흑운모 화강편마암(PCEgrgn; Precambrian granite gneiss)은 북면 덕천리를 중심으로 죽변면, 북면 일대에 넓게 분포한다. 본 암은 분천 화강편마암을 관입하였으며 홍제사 화강암에 의해 관입 당했다. 전체적으로 괴상(塊狀) 구조를 보이는 암상이며 흑운모의 함량이 많아 회색~암회색을 띤다.[13]
  • 평해 화강편마암(PCEgnp; Precambrian pyeonghae granite gneiss)은 울진공항 주변, 기성면 사동리와 방율리, 평해읍 직산리와 거일리 동부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흑운모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일리 동부에서는 조선 누층군에 대비되는 후포리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며 평해층군을 관입하고 있다.[12]
  • 하다우백질 화강편마암(PCEgnh; Precambrian hada granite gneiss, 下茶優白質 花崗片麻巖)은 울진군 남부 기성면 정명리, 다천리 북부, 평해읍 오곡리, 매화면 길곡리와 기성면 이평리, 온정면 외선미리의 경계 지역과 후포읍 후포리, 평해읍 학곡리의 경계 지역에 소규모 분포한다. 본 암은 우백질 화강편마암과 아프라이트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캄브리아기에 관입된 것이다.[12]
  • 홍제사 화강암(PCEhgr; Precambrian hongjesa granite)은 북면 사계리와 상당리, 덕구온천 부근에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 회색 내지 암회색을 띠는 장석과 석영을 함유한다.[13]
  • 기성(변질화산암)층(PCEk; Precambrian kiseong formation, 箕城層)은 영양군 수비면 본신리와 매화면 길곡리, 온정면 외선미리의 경계 지역에 분포하는 지층이다. 변질화산집괴암(Meta-volcanic agglomerate), 변질응회질암(Meta-tuffaceous rock), 변질분출암(Meta-eruptive) 등의 변질 화산암으로 구성된다. 평해층군을 부정합으로 덮고 원남층군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는 선캄브리아기의 화산암이다.[12]
  • 후포리층(PCEoh; Precambrian hupori formation)은 평해읍 거일리에서 후포면 후포리까지 거의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서측에서는 후포리 단층에 의해 원남층군 및 평해화강편마암과 접하며 동측에서는 평해화강편마암을 부정합으로 덮는다. 이 지층은 많은 단층과 습곡으로 교란되어 있어 일정한 주향과 경사를 갖고 있지 않다. 평해읍 학곡리 동부에서는 주향이 북서 20~45°에 경사는 북동 36~45°이나 후포리 지역에서는 주향이 북서 65~80°에 경사는 남서 25~40°이 된다. 습곡의 축은 북서 방향이며 소규모 단층들은 북동 방향의 것이 많다.[12]

고생대·시대 미상편집

고생대에 형성된 조선 누층군과 시대 미상의 암석은 조금만 분포한다.

  • 우백질 화강암(lgr)은 덕구리와 소곡리 북부, 죽변면 후정리, 죽변리 해안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시대 미상의 화강암이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흑운모이다.[13]
  • 캄브리아기 조선 누층군은 북면 북서부 끝 지역인 주인리 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한다.[10]
    • 묘봉 점판암층(CEm)은 대부분 암회색, 녹회색, 흑회색을 띤 점판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부의 풍촌 석회암층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얇은 석회암층이 협재한다. 중생대 백운모 화강암에 의해 관입 당했으며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울진광산에서는 동-서~북동 20°및 북서 70~90°이며 절골 부근에서는 북서 30~50°및 북동 40°이다. 울진광산 부근에서는 남-북 주향을 가지는 6개의 계단 단층으로 동쪽이 떨어져 동-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한다.[13]
    • 풍촌 석회암층(CEp)은 주인리에 묘봉 점판암층과 같이 분포하는, 거의 순수한 백색 내지 담회색 석회암으로서 상부가 유문암질암에 의해 관입 융식(融蝕)되거나 분출 피복되어 있다. 본 층의 주향과 경사는 북서 50~60°및 북동 60~70°이다.[13]

중생대 관입암편집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류는 소규모로만 분포한다.

중생대 퇴적암편집

  • 선미리층(Ks; seonmiri formation, 仙味里層)은 온정면 북부 내선미리를 중심으로 하여 반달 모양으로 그리고 온정리 부근에 소규모로 분포되어 있다. 선미리에서는 반달모양 분포지역 외곽에서 경상 누층군 낙동층군의 기저 역암층인 울련산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이며 또한 온정리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본 층은 상부가 침식되었고 하부도 온정리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으므로 그 실제 두께는 알 수 없다.[12]
  • 울련산층(Ku;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hayang group ulryeonsan formation, 蔚蓮山層)은 경상계 지층의 기저 역암층으로서 온정면 내선미리와 외선미리, 온정리, 광품리와 평해읍 학곡리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본 층은 수평 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두께가 0에서 500 m에 달한다. 금장산 남서부 일대에서는 현저한 발달을 보이나 온정리 부근에서 발달이 점차 미약해지며 조금리 부근에서 첨멸(尖滅; 지층의 두께나 폭이 점점 줄어서 딴 지층 사이에 소실되어 버리는 것)된다. 수비면 본신리 및 금장산 일대에서 선캄브리아기의 지층들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선미리를 중심으로 하여 반월형(半月形; 반달 모양)으로 분포하는 선미층(Ks)의 외곽에서 선미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것으로 여겨진다. 온정리 부근에서 중생대 백악기의 온정리 화강암(Kgr)을 부정합으로 덮는다. 본 층을 구성하는 암석은 도폭 서북지역 수비면에서 주로 기저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녹회색 및 암회색 알코스사암과 자색(赭色) 셰일을 협재한다. 역암을 구성하는 기질(基質)은 알코스질이며 역암은 북부에 넓게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 지층의 변성암류 및 화성암류들로서 구성되어 있다. 역(礫)의 크기는 2 m 30 cm 에 달하는 것도 있으나 20 cm 내외의 것들이 가장 많으며 그 크기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도폭 동부의 평해리 부근에 분포하는 본 층은 온정면 광품리에서 현저한 기저 역암층의 발견을 보여주나 평해리 남쪽에서는 역암층의 발달이 현저하지 못하다. 이 지역에서는 역암, 자색(赭色) 사암, 갈회색 사암, 자색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되어 있다.[12]
  • 가송동층(Kg;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 group gasongdong formation, 佳松洞層)은 울련산층 상위의 지층으로, 동화지층의 발달 없이 하부의 울련산층을 직접 비정합으로 덮으며 온정리 화강암을 부정합으로 덮는다. 구주령 고개 정상부 주변 그리고 온정면 남서부인 온정리, 조금리의 국지도 제69호선 이서 지역에 분포한다. 본 층은 주로 역암, 사암, 셰일, 처트셰일 및 얇은 층의 석회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2]

단층편집

울진군 지역에는 대규모의 단층은 지나지 않고 소규모의 단층들이 많이 분포하는데, 그중에는 제4기활동한 단층도 있고 한울원자력발전소 근처에 위치한 단층도 있다. 울진군 해역에는 후포 단층이 지난다.

울진군 북부지역
  • 마분동 단층한울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울진군 북면 덕천리에 위치한 북서 주향의 단층이다. 평균적으로 북서 40-50°의 주향과 남서 70-80°의 경사를 보이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우수향 및 좌수향 운동 감각이 우세하나 경사 이동을 지시하는 단층조선도 관찰된다. ESR 연대 측정 결과 F99 지점(N37°05'08.2", E129°22'30.4")에서 308±30ka에 최후기 단층 운동을 하였으며 F225 지점(N37°04'59.83", E129°23'15.50")에서는 407±69 ka, 648±147 ka 등 제4기에 최소 두 번 활동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5]
  • 검성동 단층은 울진군 북면 부구리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이다. 한울원자력발전소에서 서쪽으로 5 km 지점에 위치하며 ESR 수치 연대는 1,050±144 ka이므로 최후 운동 시기는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해당하는 약 105 만년 전으로 해석된다.[15]
  • 죽변항 바닷가 노두(N37°03'25.95" E129°25'47.31" 및 N37°03'42.02" E129°25' 38.96") : 죽변항에서 북쪽의 후정 해수욕장에 이르는 약 2 km 해안에는 화강편마암의 노두들이 잘 노출된다. 이곳에는 다수의 암맥들이 관찰되며 특히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후기 우수향 주향단층운동에 의해 변위된 암맥들도 흔히 나타난다.[16]
  • 두천 단층은 구수곡자연휴양림-시고개골-두천1리-안말래까지 발달하는 총길이 약 4.5km의 남-북 주향의 단층이다. 두천 단층에서는 단층대를 따라서 염기성암맥이 관입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암맥들은 심하게 파쇄되어 있다. 이 단층의 파쇄대 폭은 약 100m 이상 발달하고 있으며, 단층 운동 방향을 정하기가 매우 어려울 정도로 단층대 내에 아주 많은 소단층들이 발달하고 있다. 단층 파쇄대에 발달하고 있는 단층조선과 파쇄엽리는 주향이동 운동을 지시한다.[16]
  • 남대천의 지류를 따라 북서방향의 하당단층이 발달하고 있으며, 북면 하당1리의 중평교, 중석교, 상당리 부근에 단층과 산성암맥 노두가 노출되어 있다. 중평교에서도 약 10 m 폭의 단층 파쇄대를 갖는 단층이 발달하며, 이보다 북쪽 연장부인 중석교에서는 주향 북동 40°/경사 남동 70°을 보이고 약 5 m 폭의 단층파쇄대가 발달하고 있다. 상당리에서도 북서주향을 보이는 산성암맥과 단층이 노출되어 있다.[16]
  • 북면 하당리 나그네재 도로변 사면(N37°02'24.21", E129°19'37.73")에는 홍제사화강암 내에 염기성 암맥이 2매가 관찰되며 이들을 주향 북동 49°/경사 북서 43°자세의 단층이 절단하는 노두가 있다.[16]
울진군 중부지역 (울진도폭 지역)[11]
  • 매화 단층은 매화천을 따라 발달하는 남-북 방향의 단층이다. 읍남리, 행곡리, 노음리, 갈면리, 성류굴 지점에서 단층의 노두가 보고된 바 있다.
  • 구산 단층(N36°56'33.4", E129°21'33.6")은 근남면 구산리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북동 주향의 단층이며 단층이 운동한 시기가 제4기로 판단되는 단층이다. 이 단층은 기반암인 선캄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 제3기로 추정되는 염기성 암맥 그리고 이들을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미고결 상태의 제4기 하안단구 퇴적층을 절단하는 것으로 보고된 단층이다. 이 단층은 염기성 암맥 내부를 절단하거나 관입면을 따라 연장된다. 구산 단층대 내에 발달하는 단층비지에 대한 ESR 연대 측정 결과는 369±39 ka(약 37만 년 전)로 보고된 바 있다.[16] 제4기 하성층과 단층비지에 대해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구산 단층은 50만년 이내에 2번 이상 활동했던 단층으로 해석되었다. 제4기 단층 활동에 의한 구산 단층의 최대 변위는 약 94.63 cm 이며, 이를 한 번의 최후기 지진 활동에 의한 변위로 가정하고 지진변위-모멘트 지진규모의 경험식에 대입한 결과 지진 규모는 약 6.4~6.9로 추정되었다.[17]
  • 울진경찰서 맞은편 울진 읍남리 고분군 유적지 사면(N36°59'01.3", E129°23'37.1")에는 안구상 편마암과 화강편마암 그리고 이를 관입한 동서 방향의 염기성 암맥들이 노출되어 있다. 이 노두에는 염기성 암맥을 절단하며 약 1 m 역이동으로 분리시키는 단층이 관찰된다. 이 단층을 따라 수십 cm 폭의 손상대와 수 cm 폭의 단층비지가 발달한다. 제4기 지층을 절단하거나 단층비지에 대한 연대측정은 시행되지 않았으나 운동 감각으로 볼 때, 신기 지구조 사건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16]
매화 단층의 노두[15]
위치 좌표 지질 주향[18] 경사 성향 ESR 연대측정 비고
울진읍 읍남리 N36°59'1.14", E129°23'37.11 화강편마암 (PCEgnh) 북서 62° 남서 48° 정/역/주향이동성단층 - 최소 2회 이상의 단층운동이 인지됨
근남면 근남면 구산리
성류굴 남쪽 1km 지점으로
국도 제7호선 하행선에서 성류굴 방면 램프 사면
N36°56'53.76", E129°23'6.16" 원남층군 남-북 고각 우수향
근남면 행곡리 N36°58'4.25", E129°22'52.87" 화강편마암 (PCEgnh) 북서 8~10° 남동 46~48° 200만년 이상 (포화) 제4기에 활동 안 함
근남면 노음리 N36°57'45.9", E129°22'52.6" 우백질 편마암 북동 65° 북서 75° 약 22만 년 제4기재활동
울진군 갈면리 N36°51'58.4", E129°20'44.6" 화강암질 편마암 (PCEgnh) 북동 30° 남동 85° 200만년 이상 (포화) 제4기에 활동 안 함
  • 삼근 단층대금강송면 삼근리에서 하원리까지 이어지는 동-서 주향의 단층대이다. 하원리의 보부천 하구 부근에는 심한 압쇄대가 북북동 방향으로 지나간다.
  • 한치 단층금강송면 하원리에서 근남면 수곡리 서측 계곡까지 이어지는 서북서 주향의 단층이다. 원남층군 흑연편암층(PCEg)이 이 단층을 따라 발달하고 있다.
  • 노음리 단층근남면 노음리에서 구산리까지 국도 제7호선의 선형과 거의 일치하게 동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이다. 주향은 북동 30~40°이며 남측으로 70~80°경사하는 역단층이다.
울진군 남부지역 (평해도폭 지역)[12]
  • 오곡리 단층평해읍 오곡리 지역에서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연장 약 4 km의 단층이다. 인근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원남층과 평해층군이 분포한다.
  • 서화리 단층온정면 소태리에서 북북동으로 연장되어 선구리를 지나 기성면 방율리에 이르는 연장 약 15 km의 단층이다. 중생대의 선미리층, 경상 누층군 울련산층, 가송동층, 선캄브리아기의 기성(변질화산암)층, 평해화강편마암 등을 절단하고 있으며 따라서 최소한 중생대 백악기 이후에 형성된 단층이다.
  • 길곡 단층매화면 길곡리에서 선구리에 이르기까지 북북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연장 약 9 km의 단층이다. 선구리에서 서화리 단층에 의해 절단된다.
  • 후포리 단층(후포 단층이 아님)은 후포면 후포리에서 평해읍 학곡리 동부에 이르기까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연장 약 4 km의 단층이다. 이 단층을 경계로 선캄브리아기의 후포리층과 평해 화강편마암이 접하고 있다.
성류굴 - 동굴생성물을 이용한 고지진학 연구

광물과 지하자원편집

울진군 내에는 여러 광산들이 존재한다. 아래 광산들의 설명은 죽변, 평해 및 울진 지질도폭에 따른다.

  • 울진 아연광산(蔚珍亞鉛鑛山) : 북면 덕구리에 소재하며 전형적인 접촉교대광상으로 인근의 지질은 조선 누층군 묘봉점판암층과 풍촌석회암층이 백운모 화강암(Jmgr)의 관입을 받았다. 광물은 섬아연석, 방연석, 황동석, 자류철석(磁硫鐵石), 자철석, 황철석 등이 있다.[13]
  • 울진철광산(蔚珍鐵山) : 평해면 삼율리 서남서 약 2.2 km 지점 삼율광산 서남 약 800 m 지점에 위치한 철광상(鐵鑛床)이다. 주변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온정리 화강암이 분포하며 갈색과 회백색의 장석이 현저하다.[12]
  • 삼율 수연(몰리브데넘)광산(三栗水鉛鑛山) : 삼율리 서방 1 km 지점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온정리 화강암이 분포한다. 광산 부근에는 북서 25°, 남서 80°와 북동 30°, 남동 80°의 단층과 이에 평행하는 전단대가 발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암맥(diabasic dyke rock)이 관입하고 있다. 이 암맥 부근에 몰리브데넘을 함유한 석영맥이 발달하거나 화강암의 절리에 따라 함유된다.[12]
  • 삼정광산(三井鑛山) : 온정면 조금리에 위치한 구리 광산이다. 인근에는 경상 누층군 가송동층이 분포한다.[12]
  • 동진광산(東珍鑛山) : 온정면 조금리에 위치하며 조금리 부락 서방 600 m 지점에 위치한다. 과거 소량의 구리를 채굴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작업이 중단되었다. 인근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평해층군과 중생대의 온정리 화강암, 가송동층아 분포한다. 평해층군은 광산 부근의 조금리 계곡을 따라 약간 분포하며 편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70°및 북서 80°를 보인다.[12]
  • 구산리 활석광산(九山里滑石鑛山) : 평해읍 구산리부락 북방 1 km 지점에 있다. 평해 화강편마암 중에 포획된 변성 퇴적암중의 활석 편암을 가행 대상으로 한다. 이들 변성 퇴적암류는 대체로 견운모활석편암과 흑운모 편암 등이다. 광체(鑛體) 북단에서 거정 화강편마암에 의해 관입되고 있으며 심한 습곡으로 인해 주향과 경사는 일정하지 않으나 광체 남단에서는 주향이 북동 62°에 경사는 북서 50°이다.[12]
  • 금구광산(金邱鑛山) 또는 선구광산(仙邱鑛山) : 온정면 선구리 외선미부락 서남방 약 1.5 km 지점에 위치한 아연 광산으로 소량의 금, 은, 동을 함유하는 열하충전광상(裂罅[19]充塡鑛床)이다. 인근의 지질은 경상 누층군 울련산 역암층 및 가송동층과 이를 관입하는 분암(玢巖), 규장암 등이다. 역암층의 주향은 대체로 북서 10°이며 경사는 북서 20°이다. 본 광상은 이들 암석을 횡단하는 남-북 주향 및 경사 북서 70~80°의 열하에 따라 충전된 4조의 광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석은 주로 섬아연석, 방연석, 황동석, 자류철석(磁硫鐵石) 및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간의 금과 은을 함유한다. 국립지질조사소에 의해 평균품위 아연 12.3%, 납 23%, 구리 0.35%, 은 118g/t이 보고되었다.[12]
  • 평해도폭에 의하면 중생대경상 누층군 동화지층 속에 약간의 석탄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 지층은 자색(赭色) 셰일, 자색 사암, 담갈색 내지 녹회색 사암 또는 화강암질 사암 및 흑색 셰일층의 호층(互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탄층은 흑색 셰일층 중에 포함된다. 흑색 셰일층은 두께가 2~3 m에 불과하며 이에 협재되는 석탄층도 몇 cm의 얇은 층만이 있어 경제적으로 무익하다.[12]
  • 평해층군과 원남층에 속하는 변성암 중에는 석묵편암(石墨片巖; 흑연편암)이 부분적으로 발달하며 이와 같은 흑연편암 중의 파쇄대에는 흑색의 단층 점토가 다소의 흑연과 혼합되어 발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점에서는 흑연의 채광이 이루어진 곳이 많으며 온정면 광품리 북방 500 m 지점(평해층군 분포지역), 기성면 이평리 북방 1 km 지점(원남층 분포지역, 인근에 서화리 단층 통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이들 광상은 품위가 낮고 가행 가치가 별로 없다.[12]
  • 평해도폭에 의하면 기성면 황보리 서측 4 km 지점에 위치하는 기성(변질화산암)층(PCEk; 오곡리 단층 서측에 소규모 분포)은 주로 각력 구조를 나타내며 이들 가운데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등이 광염(鑛染)되어 있으며 지표가 산회되어 있다. 평해도폭에서는 이 광상이 각력중에 광염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앞으로 채광하여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라고 언급되어 있다.[12]
  •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대에서는 1945~1963년에 고품위 리튬 광석이 채굴되었으며, 저품위 광체는 Li2O 평균함량이 1.69%, 고품위 광체는 3% 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선캄브리아기의 장군석회암내에 배태된 보암 리튬광상은 각력상으로 산출되는 리튬광체와 페그마타이트-반화강암 맥을 따라 산출되는 맥상 리튬광체로 이루어져 있다. 각력상 리튬광체와 맥상 리튬광체 모두 그라이젠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석영과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lepidolite)를 주요 구성광물로 함유한다. 각력상 광석과 맥상 광석의 Li2O 함량은 각각 평균 4.70 wt.%와 1.88 wt.% 로 각력상 리튬광체가 더 많은 리튬을 함유하고 있다. 리튬 운모인 레피돌라이트에 대한 K-Ar 연령 측정 결과 각력상 리튬광석으로부터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9.3~160.1 Ma, 맥상 리튬광석에서 분리한 레피돌라이트는 160.8~154.6 Ma 로 리튬 광화 작용은 주로 쥬라기 중기에서 말기 동안에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20]


행정 구역편집

울진군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이다. 울진군의 면적은 989.10km2이다. 인구는 2012년말 기준으로 23,864세대, 52,681명이다. 인구의 26.6%가 울진읍, 6.6%가 평해읍에 거주한다. 1966년에는 117,602명을 기록했으나 1975년 105,095명, 1980년 90,782명, 1985년 87,813명, 1990년 69,839명, 1996년 70,764명, 2000년 60,011명, 2005년 51,279명, 2010년 47,108명, 2015년 53,013명, 2017년 53,103명으로 감소하다가 2015년부터 인구가 아주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다.[21] 국회의원 선거구는 주변 4개 군과 공유한다.

읍면동 한자 세대 인구 면적
울진읍 蔚珍邑 5,833 14,668 81.31
평해읍 平海邑 1,719 3,312 37.19
북면 北面 3,477 7,245 142.06
금강송면 金剛松面 825 1,487 298.29
근남면 近南面 1,507 2,924 57.83
매화면 梅花面 1,322 2,406 101.54
기성면 箕城面 1,635 2,856 98.56
온정면 溫井面 1,063 1,934 131.82
죽변면 竹邊面 3,702 7,709 18.34
후포면 厚浦面 3,870 8,562 22.16

군청편집

  • 현재 울진군청은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에 위치하고 있다.

인구편집

  • 울진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22]
연도 총인구  
1960년 104,077명     
1966년 117,426명  
1970년 109,475명     
1975년 105,096명      
1980년 90,723명       
1985년 87,767명      
1990년 69,990명     
1995년 64,444명    
2000년 60,011명   
2005년 51,279명    
2010년 47,108명   
2015년 53,013명     
2017년 51,139명     

겸한 농가가 많다. 꽁치와 미역은 손꼽히는 수산물이다. 축산·양봉·양잠도 성하며 특히 현지 가공을 위한 제사공장이 건설되었다.

농림·수산업편집

주요 농산물은 , 보리, , 조, 누에고치, 양봉 등이다. 임야 면적은 84,719ha이며 그 중 성림지 87%로서 입목 축적이 많고, 특히 서부의 태백 산지에는 적송(赤松)의 미림(美林)이 많아 용재의 산출이 많으며 약초, 버섯 등도 많이 산출된다. 한편, 수산업의 중심지는 후으로서 꽁치·오징어·명태·정어리의 어획이 많고, 게·새우·전복 등도 많이 잡힌다.

광공업편집

철광·금·은·납·텅스텐·몰리브덴·주석·구리·아연·흑연·석회암 등의 매장이 많으나 가행 광구는 200여 개의 광구 중 4개이다. 죽변과 후포에는 통조림 공업이 성하고, 누에고치 생산량은 적으나 울진군에 있어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현지 가공을 위해 제사 공장이 건설되었다.

관광편집

울진읍 남쪽은 왕피천 하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평야지대이다. 이 지대는 해안단구가 발달되어 10m 이상의 언덕에서도 바다 생물의 화석이 나오곤 한다. 북쪽 죽변은 외항으로 어업협동조합과 큰 통조림 공장이 있으며 부근은 좋은 어업 기지이다. 울진에는 유원지로 이름난 연호정이 있고, 평해는 구읍이며 역시 관동 팔경의 하나인 월송정이 있다. 평해 남쪽 후포는 어업으로 발달한 항구이다. 온정면에는 백암온천(白巖溫泉:수온 42 )이 있는데 유황질이다.또 근남면에는 관동 팔경의 하나인 망양정이 있다. 근남면 부근에는 석회암이 분포되어 지하 금강이라고 하는 성류굴(聖留窟:길이 470m)이 있는데 동룡굴 못지 않은 석회동이 발달하여 관광객이 많이 온다.

  • 울진 성류굴

성류굴은 근남면 구산리에 있는 동굴로 천연기념물 제155호. 탱천굴(撑天窟)·선유굴(仙遊窟)이라고도 한다. 주굴 길이 약 470m. 전체 길이 약 800m. 종유석·석순·석주 등이 다채로우며 왕피천이 흘러들어 지하호수를 형성해 경관이 특이하다.

  • 덕구온천

덕구온천은 대한민국의 유일한 용출천(지상으로 온천수가 솟구치는 온천)이다.[23] 덕구온천스파월드에서 사용되는 물이 100% 온천수일 수밖에 없다는 것은 자연용출천에 가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원탕에서는 41.8°C의 온천수가 하루 4,000t씩 자연용출 된다.[24]

  • 백암온천

백암온천은 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표적인 온천이다.[23] 아토피 피부에 특히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백암온천은 유황천으로, 50m 지하에서 끌어올리는 53°C의 온천수는 백암온천지구에 있는 여섯 개의 숙박시설로 공급된다. 그 중 1977년에 성류장으로 시작한 성류파크관광호텔이 가장 역사가 깊다.[24]

  • 불영계곡

문화재편집

  • 봉평 신라비

봉평리 신라비는 국보 제242호로 죽변면 봉평리에 위치해 있다.

  • 장양수 홍패

장양수 홍패(張良守 紅牌)는 국보 제181호로 울진읍 고성리(월계 서원내의 국보각 소장)에 위치한다. 고려 희종 원년(1205)에 진사시 병과에 급제한 장양수에게 내린 패지로써, 현존하는 한국 행정문서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교육 기관편집

  
  
  

교통편집

도로편집

울진군은 고속도로가 없고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 제7호선 동서로 관통하는 국도 제36호선평해읍영양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88호선이 있을 뿐이다. 그리하여 포항~울진간 국도 확장공사가 완공되기 전에는 교통이 불편하기 짝이없어 가장 가까운 광역시인 대구에서도 4시간이 넘게 걸리는 등 대한민국 최고의 교통 오지로 유명하였다. 현재 국도 제7호선은 20년간의 확장 공사 끝에 모든 구간의 4차선 확장공사 및 직선화가 완료되었으며 제한속도도 80km/h로 향상되었다.경기/강원 구간의 경우 서울특별시까지의 소요시간이 4시간 전후로 앞당겨졌으며 국도 36호선은 봉화 현동과 울진간 확장계획이 있으나 최근 교통량수요 재조사로 인해 착공이 불투명하다. 추후 동해고속도로 영덕 ~ 삼척 구간이 개통되면. 울진군을 경유할 예정이다.

철도편집

2021년 현재 울진군 관내에는 철도역이 존재하지 않으며,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봉화군과의 경계에 위치한 영동선양원역이다. 다만 승부역1983년 2월 15일 이전에 행정구역상 울진군에 속해 있었으며, 영동선의 일부 구간이 금강송면 전곡리를 통과한다. 2024년동해선영덕역 - 삼척역 구간이 개통되며 이때 울진역이 생길 예정이다. 장기계획으로 영동선동해선을 연결하는 울진-분천선이 계획되어 있다.

항공편집

울진공항은 건설되었지만, 저조한 사업성 때문에 개항되지 못하고 2010년에 울진비행교육훈련원으로 개장했다.

선박편집

그리고 후포와 울릉도간에는 정기 항로가 있다. 2010년 기준으로 동해대로의 확장으로 인해 포항시 - 강릉시등 주요 항구도시들로 쉽게 갈수 있게 되었다.

군사편집

대한민국 육군 예하의 해룡연대(50사단)가 울진군에 있다.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각주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4.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5.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시행 1962. 12. 12.] [1962. 11. 21., 제정]
  6.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시행 1983. 2. 15.] [1983. 1. 10., 제정]
  7. 1983.02.03 봉화군 조례 제765호
  8. “하늘도 꽃밭도 마당도 세평, 승부역”. 경북일보. 2009년 12월 31일. 2013년 5월 7일에 확인함. 
  9. “평년값자료(1981-2010) 울진(130)”. 대한민국 기상청. 2012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4일에 확인함. 
  10.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 “蔚珍 地質圖幅說明書 (울진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12. “平海 地質圖幅說明書 (평해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13. “竹邊-臨院津圖幅 地質報告書 (죽변-임원진항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3년. 
  14. “三斤里 地質圖幅說明書 (삼근리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15.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년. 
  16. “원전 부지 인근 신기지구조 및 해안단구 검증조사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년. 
  17. 진광민, 김영석, 강희철, 신현조 (2013년 4월). “경북 울진군에 발달하는 제4기 구산단층의 발달특성 연구”. 대한지질학회. 
  18. 진북을 기준으로 단층의 방향이 향하는 곳의 방위
  19. 열하(裂罅) : 지각이 갈라지거나 찢어지면서 생긴 틈
  20. 최윤호.박영록.노진환 (2014년 8월). “Genesis of Boam lithium deposits in Wangpiri, Uljin (울진 왕피리 보암 리튬광상의 성인)”. 대한지질학회. 
  21. 울진군 읍면별 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2.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3. 손민호 (2009년 12월 10일). “ [week&] 전통 온천, 워터파크, 스파 … 물이냐 놀이냐 둘 다냐”. 중앙일보사. 200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4. 손민호 (2006년 12월 26일). “(경북) 7번 국도 덕구·백암온천 ①”. 《마이프라이데이》 (중앙엔터테인먼트&스포츠). 2011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월 1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울진군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