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공삼(朱孔三, 1875년 ~ ?)은 대한제국 조선 황조 시대 관료직을 지낸 일제강점기 시대의 개신교(장로회) 목사이며, 시인으로도 활약하였다.

주공삼 목사
원어이름朱孔三
당교회평안남도 평양 연화동교회 목사
기타아명(兒名)은 주진우(朱珍雨)
개인정보
출생1875년
사망?
교파개신교(장로회)
가족자녀는 4남 4녀(그 중 장남 주요한(시인 겸 정치가), 차남 주요섭(소설가 겸 대학 교수), 4남 주영섭(극작가 출신))
재직목회자시문학가 활동
전직대한제국 평안남도 대동군 군서기관
학력1910년 평안남도 평양신학교 전문학사

주요 이력

편집

본관신안(新安)이며 아명(兒名)주진우(朱珍雨)이며 호(號)도 신안(新安)이다.

일생

편집

출생과 생애 초기

편집

평안남도 평양 출생이다. 아명(兒名)은 주진우(朱珍雨)였는데 6세 시절이던 1880년주공삼(朱孔三)으로 개명(改名)하였다. 공삼(孔三)이라는 그의 이름은 공자(孔子)와 주자(朱子) 뒤에 주진우(朱珍雨) 그 자신이 있다는 의미로, 그의 부친이 개명하여 지어 준 것이다.

1893년 음서로써 천거되어 그 후 1899년까지 6년간 대한제국 조선 황조 하급 관료직을 지낸 그는 1899년 대한제국 관료직을 전격 퇴임 선언하였다.

목회자 활동

편집

시인 주요한(朱曜翰), 소설가 주요섭(朱耀燮), 극작가 주영섭(朱永涉) 형제의 아버지이기도 한 그는 어려서부터 한학을 수학하였고, 유교 성리학에서 개신교 장로회로 개종한 후에는 1910년 평안남도 평양장로회신학교를 나오면서 그 계기로 개신교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11년 12월에서부터 1914년 3월까지 일본에 3년 남짓 체류한 뒤 귀국, 1935년 이후에는 사회사업에도 관여하였다.

광복 이후의 말로

편집

1945년 8.15 광복 후에는 월남하려 하였으나,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가족 관계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