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오래전부터 재상급 관료제가 시작되었고 청나라 말엽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당나라 말엽까지는 삼공(三公) 제도로서 삼공이 같이 국가의 대소사를 의논하여 처리하였다.

황조 재상의 벼슬명 비고
(周) 태사(太師)→총재(冢宰)
태부(太傅)
태보(太保)
제사장으로 태제(太宰)로도 불림.

(秦), 전한(前漢) 승상(丞相)
태위(太尉)
어사대부(御史大夫)
대사도(大司徒)—황제를 보좌하며 백관을 통솔함.
대사마(大司馬)—국방, 군사를 총괄함.
대사공(大司空)—어사를 통솔함.
삼공
후한(後漢) 사도(司徒)→승상(丞相), 상국(相國)
태위(太尉), 대사마(大司馬)
사공(司空)
승상은 사도로, 어사대부는 사공으로 명칭이 바뀜.
실권은 상서에게 이동하여서 명예직에 불과하나
후한 말엽 삼공의 권한이 대폭 강화됨.
삼공
상서(尙書) 황제의 개인 비서
(魏), (晉), (隋) 승상(丞相) 삼공
녹상서사(錄尙書事) 상서의 최고직이며 수장.
상서령(尙書令)
시중(侍中)
중서령(中書令)
상서성의 수장.
황제의 최측근.
황제의 비서실장, 사관의 수장.
(唐) 승상(丞相)
태위(太尉)
어사대부(御史大夫)
밑으로 사도(司徒), 대사마(大司馬), 사공(司空)을 둠. 삼공
상서령(尙書令)
시중(侍中)
중서령(中書令)
상서성 장관.
문하성 장관
중서성 장관
3성 장관
상서복야(尙書僕射)
시중(侍中)
중서령(中書令)
상서령 겸임, 후에 상서령 직을 폐지하고 상서복야를 장관으로 삼음.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 숙종 이후, 중서령과 시중, 상서복야의 권한을 모두 가진 재상.
북송(北宋) 동평장사(同平章事)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 문하시랑(門下侍郞)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 중서시랑(中書侍郞)
남송(南宋) 좌승상(左丞相)
우승상(右丞相)
좌·우복야를 좌·우승상으로 바꿈.
(元) 우승상(右丞相)
좌승상(左丞相)
중서성, 상서성만 남기고 문하성 폐지. 몽골의 풍속으로 우승상이 좌승상보다 상관임.
(明) 승상(丞相) 일인 승상제. 호람의 옥 후 폐지.
내각대학사(内閣大學士) 황제의 비서겸 경연관.
(淸) 내각대학사(内閣大學士) 최고 행정기관인 내각의 수장.
군기대신(軍機大臣) 군기처(軍機處)의 수장.
내각총리대신(内閣總理大臣) 일본의 제도를 모방함.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