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은 산술학과 논리학의 공식 및 구문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기법이다. "2 + 2"에서의 더하기 기호와 같이, 피연산자 사이의 연산자의 그 위치(접요사 연산자)로 특징지어진다.
사용법편집
중위 표기법은 전위 표기법(예: + 2 2) 혹은 후위 표기법 (예: 2 2 +)보다 컴퓨터로 구문 분석하기 어렵다. 하지만,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친숙함을 이유로 중위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 표기법은 산술식(예: 2+2, 5×6)에서 더 많이 사용된다.[1]
연산 순서편집
중위 표기법에서, 전위 표기법 혹은 후위 표기법 과는 다르게,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그룹을 둘러싸는 괄호는 연산이 수행되는 의도된 순서를 가리키는데 필수적이다. 괄호가 없는 상태에서는, 특정 우선 순위 규칙이 연산 순서를 결정한다.
더 많은 표기법편집
중위 표기법은 함수 표기법과 구별되기도 하는데, 여기서 함수의 이름은 특정 연산을 암시하며, 그것의 인자가 바로 피연산자가 된다. 그러한 함수 표기법의 예는 S(1,3)가 될 수 있는데, 함수 S는 더하기를 나타낸다: S(1, 3) = 1+3 = 4
함께 참고할 내용편집
이 문단에는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2021년 3월 21일) |
- Tree traversal: Infix (In-order) is also a tree traversal order. It is described in a more detailed manner on this page.
- Calculator input methods: comparison of notations as used by pocket calculators
- Postfix notation, also called Reverse Polish notation
- Prefix notation, also called Polish notation
- Shunting yard algorithm, used to convert infix notation to postfix notation or to a tree
- Operator (computer programming)
각주편집
- ↑ "The Implementation and Power of Programming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