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호
괄호(括弧), 묶음표(--標), 브래킷(영어: Bracket)은 숫자, 문자나 문장, 수식의 앞뒤를 막아서 다른 문자열과 구별하는 문장 부호의 하나이자 기호를 말한다.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이 용어는 가끔은 직사각형이나 사각형 형태로 적용된다.[1]
문장 부호 | ||||||||||||||||||||||||||||||||||||||||||||||||||||||||||||||||||||||||||||||||||||||||||||||||||||||||||||||||||||||||||||||||||||||||||||||||||||||||||||||||||||||||||||||||||||||||||||||||||||||||||||||||||||||||||||||||||||||||||||||||||||||||||||||||||||||||||||||||||||||||||||||||||||||||||||||||||||||
---|---|---|---|---|---|---|---|---|---|---|---|---|---|---|---|---|---|---|---|---|---|---|---|---|---|---|---|---|---|---|---|---|---|---|---|---|---|---|---|---|---|---|---|---|---|---|---|---|---|---|---|---|---|---|---|---|---|---|---|---|---|---|---|---|---|---|---|---|---|---|---|---|---|---|---|---|---|---|---|---|---|---|---|---|---|---|---|---|---|---|---|---|---|---|---|---|---|---|---|---|---|---|---|---|---|---|---|---|---|---|---|---|---|---|---|---|---|---|---|---|---|---|---|---|---|---|---|---|---|---|---|---|---|---|---|---|---|---|---|---|---|---|---|---|---|---|---|---|---|---|---|---|---|---|---|---|---|---|---|---|---|---|---|---|---|---|---|---|---|---|---|---|---|---|---|---|---|---|---|---|---|---|---|---|---|---|---|---|---|---|---|---|---|---|---|---|---|---|---|---|---|---|---|---|---|---|---|---|---|---|---|---|---|---|---|---|---|---|---|---|---|---|---|---|---|---|---|---|---|---|---|---|---|---|---|---|---|---|---|---|---|---|---|---|---|---|---|---|---|---|---|---|---|---|---|---|---|---|---|---|---|---|---|---|---|---|---|---|---|---|---|---|---|---|---|---|---|---|---|---|---|---|---|---|---|---|---|---|---|---|---|---|---|---|---|---|---|---|---|---|---|---|---|---|---|---|---|---|---|---|
| ||||||||||||||||||||||||||||||||||||||||||||||||||||||||||||||||||||||||||||||||||||||||||||||||||||||||||||||||||||||||||||||||||||||||||||||||||||||||||||||||||||||||||||||||||||||||||||||||||||||||||||||||||||||||||||||||||||||||||||||||||||||||||||||||||||||||||||||||||||||||||||||||||||||||||||||||||||||
모든 종류의 괄호는 출판에 따라, 또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타이포그래피 변환에 의거하여 쓰인다. 아래의 설명 가운데 한자 키와의 조합으로 만든 문자열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쓰이는 문자열이 아닌 도형으로 쓰이는 문자열 취급된다.
종류편집
아래의 괄호가 문서에서 주로 쓰인다.
쿼티 자판이나 두벌식 자판에서는 화살괄호를 제외한 모든 괄호를 바로 입력이 가능하나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는 대괄호, 중괄호를 바로 입력할 수 없다.
소괄호편집
- ( )
영어로는 parentheses 혹은 brackets 라고 한다.
- 어구나 문장 다음에 설명문이나 추가 사항을 덧붙일 때 쓰인다. 또, 순서를 나열할 때도 쓰인다. 이를테면 1), 2), 3) 또는 가), 나), 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다.
- 수식에서는 연산 우선 순위를 지정하거나 바꿀 때 이용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에서도 이와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는 언어가 있다.
- 수학이나 프로그래밍 언어, 함수의 인수를 지정할 때 쓰인다.
- 기하학에서 좌표를 나타낼 때 1좌표의 정의를 나타낸다.
- 행렬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 컴퓨터 환경(쿼티 및 기타 로마자 자판, 두벌식 자판 등)에서는 직접 ⇧ Shift+위쪽 숫자 9, ⇧ Shift+위쪽 숫자 0를 누름으로써 바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세벌식 최종 자판에서는 (, )를 Shift 없이 바로 입력할 수 있다. (는 쿼티 자판의 [ 자리에, )는 쿼티 자판의 - 자리에 있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중괄호편집
- { }
영어로는 braces 라고 한다.
- 수식에서 소괄호 ( ) 밖에 또 괄호를 묶을 때 중괄호를 사용한다.
- 집합을 표시할 때에도 중괄호가 사용된다.
- C 언어를 비롯하여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스크립트 언어에서 if 문, for 문 등의 구문과 변수의 로컬 영역을 표현한다.
- 미디어위키를 비롯한 여러 위키위키 소프트웨어의 문법에 틀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컴퓨터 환경편집
-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 Shift+[, ⇧ Shift+]를 누름으로써 바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대괄호편집
- [ ]
영어로는 square brackets 라고 한다.
- 수식에서 소괄호 ( ) 와, 중괄호 { } 를 사용하는 동안 그 밖에도 괄호를 묶고 싶을 때 대괄호를 사용한다.
- 과학에서 단위를 기재할 때 사용한다. 이를테면 43.11 [cm]라고 표기할 수 있다.
- 언어학에서 음성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사전 등에서도 참조할 수 있다.
- C언어를 비롯하여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스크립트 언어에서 배열 요소를 지정하는 데 쓰인다.
- 미디어위키를 비롯한 여러 위키위키 소프트웨어의 문법에 내부 링크나 외부 링크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컴퓨터 환경편집
-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 ]를 누름으로써 바로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홑화살괄호편집
- 〈 〉
홑화살괄호, 곧 앵글 브래킷은 인용 부호로 활용하며, 문장에서 인용을 알리는 인용부호나 주의를 환기할 때, 또 단행본이 아닌 문건이나 논문 제목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한국어의 가로쓰기에서 세로쓰기 괄호인 홑낫표가 사용되던 자리에 동일하게 사용된다. 작은 따옴표 표기 자리에 기입할 수 있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Shift+,, ⇧ Shift+.로 입력하는 것은 괄호가 아니라 부등호이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겹화살괄호편집
- 《 》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인 가로쓰기에서 단행본인 책이나 논문집 제목이나 주요 문건, 인용문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세로쓰기의 겹낫표를 사용하던 용례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한국어 표기에서 큰 따옴표 자리에 활용할 수 있으며, 프랑스어나 독일어 표기에서 한글 표기와 반대 순서인 '》《' 형태로 큰따옴표처럼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홑낫표편집
- 「 」
낫표는 본래 세로쓰기를 위해 사용하던 기호이다. 홑화살괄호와 용례가 같으며 가로쓰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홑낫표는 인용부호나 주의를 환기할 때, 또 논문 제목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현재는 보수적인 글쓰기를 하는 정부법률 문건이나 학술논문 등에서 일부 사용하며, 학술 논문에서는 점차 사용례가 줄어들고 있다. 일반적인 독서를 위한 한국어 서적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다만, 일부 보수적인 글쓰기를 하는 출판사에서 따옴표 대신 사용한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겹낫표편집
- 『 』 홀낫표에서 바깥 테두리만 표현한 괄호이다. 역시 세로쓰기를 위한 기호이다. 겹화살괄호와 용례가 같으며, 현재 가로쓰기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단 보수적인 글쓰기를 하는 정부법률 문건이나 학술 논문 등에서 책 제목이나 강조할 때 이 괄호를 사용하거나 큰 따옴표 대신 쓰기도 한다. 학술 논문에서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다. 일반적 독서를 위한 한국어 서적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컴퓨터 환경편집
-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직접 입력할 수 없다.
-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ㄴ+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그 밖의 괄호편집
참고 문헌편집
같이 보기편집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