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라소 축구 국가대표팀
퀴라소 축구 국가대표팀은 퀴라소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퀴라소 축구 연맹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카리브 지역에서 전력이 가장 강한 팀으로 불리고 있다. 1924년 4월 6일 아루바와의 국제 A매치 데뷔전을 4-0 승리로 장식했으며 현재 스타디온 에르길리오 하토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0년 10월 10일부로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되면서 출범한 퀴라소 자치령이 FIFA에 가입하면서 구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기록을 승계받았다.
퀴라소 | |||
---|---|---|---|
연맹 | 퀴라소 축구 연맹 | ||
대륙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쿠코 마르티나 | ||
최다 출전자 | 쿠코 마르티나 (46) | ||
최다 득점자 | 레안드로 바쿠나 (11) | ||
홈 구장 | 스타디온 에르길리오 하토 | ||
FIFA 코드 | CUW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80위 (2019년 2월) | ||
최저 순위 | 183위 (2013년 4월, 2014년 7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아루바; 1924년 4월 6일) ![]() ![]() (도미니카 공화국; 2011년 8월 18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콜롬비아; 1948년 12월 21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네덜란드; 1948년 4월 23일) | |||
CONCACAF 골드컵 | |||
출전 횟수 | 7회 (1963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3위 (1963년, 1969년) | ||
카리브컵 | |||
출전 횟수 | 4회 (1989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2017년) |
국제 대회 경력편집
CONCACAF 골드컵편집
골드컵 본선에는 전신인 CONCACAF 선수권 대회(4회 출전)를 포함해 7번 출전하여 이 중 2번의 대회(1963년, 1969년)에서 3위에 입상했고 2000년대 이후로는 2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골드컵으로 명칭이 바뀐 이후 사상 처음으로 8강에 올랐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편집
2019-20 리그 A편집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4위로 리그 A에 편입된 퀴라소는 강호 코스타리카, 2019년 골드컵 4강팀인 아이티와 함께 D조에 배정되었다. 이후 아이티와의 첫 2연전에서 1승 1무(1차전 1-0 승, 2차전 1-1 무)를 기록했고 코스타리카와의 2연전에서는 1무 1패(3차전 0-0 무, 최종전 0-1 패)를 기록하며 1승 2무 1패·조 2위로 통산 7번째 골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카리브컵편집
카리브컵 본선에는 4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마지막 대회인 2017년 대회에서 2전 전승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나머지 3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2019년 킹스컵에서 2018년 AFF 스즈키컵 챔피언 베트남을 상대로 승부차기까지 가는 대접전 끝에 5-4로 승리를 거두면서 2017년 카리브컵 이후 2년만에 다시 국제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리면서 북중미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킹스컵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그리고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경기 대회에서는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ABCS 국제 축구 대회에서는 2번의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63년 필립 시가컵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2004년 폴라컵에서도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준우승도 2번 차지했으며 2004년 파르보 비에르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불참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로 참가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
1998년 | |||||||||
2002년 | |||||||||
2006년 | |||||||||
2010년 | |||||||||
2014년 | 예선 탈락 | ||||||||
2018년 | |||||||||
2022년 | |||||||||
합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불참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
1954년 | |||||||
1958년 | 3 | 1 | 0 | 2 | 4 | 7 | 3 |
1962년 | 6 | 2 | 2 | 2 | 4 | 14 | 8 |
1966년 | 4 | 1 | 2 | 1 | 2 | 3 | 5 |
1970년 | 4 | 1 | 0 | 3 | 3 | 9 | 3 |
1974년 | 5 | 0 | 2 | 3 | 4 | 19 | 2 |
1978년 | 2 | 0 | 0 | 2 | 1 | 9 | 0 |
1982년 | 4 | 0 | 3 | 1 | 1 | 2 | 3 |
1986년 | 2 | 0 | 1 | 1 | 0 | 4 | 1 |
1990년 | 4 | 2 | 0 | 2 | 4 | 7 | 6 |
1994년 | 2 | 0 | 1 | 1 | 1 | 4 | 1 |
1998년 | 2 | 0 | 1 | 1 | 1 | 2 | 1 |
2002년 | 2 | 0 | 1 | 1 | 1 | 6 | 1 |
2006년 | 4 | 1 | 0 | 3 | 4 | 8 | 3 |
2010년 | 4 | 2 | 1 | 1 | 3 | 1 | 7 |
2014년 | 6 | 2 | 1 | 3 | 15 | 15 | 7 |
2018년 | 6 | 1 | 3 | 2 | 5 | 6 | 6 |
합계 | 60 | 13 | 18 | 29 | 53 | 116 | 57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15위 (북중미 14위) |
CONCACAF 골드컵 (본선)편집
북중미 골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3년 | 결승리그 | 3위 | 6 | 3 | 0 | 3 | 10 | 8 | 9 |
1965년 | 결선리그 | 5위 | 5 | 0 | 2 | 3 | 4 | 16 | 2 |
1967년 | 예선 탈락 | ||||||||
1969년 | 결선리그 | 3위 | 5 | 2 | 1 | 2 | 9 | 12 | 7 |
1971년 | 기권 | ||||||||
1973년[1] | 결선리그 | 6위 | 5 | 0 | 2 | 3 | 4 | 19 | 2 |
1977년[2] | 예선 탈락 | ||||||||
1981년[3] | |||||||||
1985년[4] | |||||||||
1989년[5] | |||||||||
1991년[6] | |||||||||
1993년 | 기권 | ||||||||
1996년[7] | 예선 탈락 | ||||||||
1998년 | |||||||||
2000년[8] | |||||||||
2002년 | 불참 | ||||||||
2003년 | 예선 탈락 | ||||||||
2005년 | 기권 | ||||||||
2007년[9] | 예선 탈락 | ||||||||
2009년[10] | |||||||||
2011년 | |||||||||
2013년 | |||||||||
2015년 | |||||||||
2017년 | 조별리그 | 11위 | 3 | 0 | 0 | 3 | 0 | 6 | 0 |
2019년 | 8강 | 8위 | 4 | 1 | 1 | 2 | 2 | 3 | 4 |
2021년 | ? | ?위 | ? | ? | ? | ? | ? | ? | ? |
합계 | 7회 진출(7/26) | 3위(2회) | 28 | 6 | 6 | 16 | 29 | 64 | 24 |
순위 | CONCACAF 북중미 골드컵 순위 : 14위 |
CONCACAF 골드컵 (예선)편집
북중미 골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63년 | 2 | 2 | 0 | 0 | 4 | 1 | 6 | ||
1965년 | 자동진출(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기권) | ||||||||
1967년 | 4 | 0 | 2 | 2 | 4 | 6 | 2 | ||
1969년 | 자동진출(엘살바도르 실격) | ||||||||
1971년 | 기권 | ||||||||
1973년 | 자동진출(자메이카 기권) | ||||||||
1977년 | 2 | 0 | 0 | 2 | 1 | 9 | 0 | ||
1981년 | 4 | 0 | 3 | 1 | 1 | 2 | 3 | ||
1985년 | 2 | 0 | 1 | 1 | 0 | 4 | 1 | ||
1989년 | 4 | 2 | 0 | 2 | 4 | 7 | 6 | ||
1991년[11] | 2 | 0 | 0 | 2 | 0 | 5 | 0 | ||
1993년 | 기권 | ||||||||
1996년 | 5 | 3 | 1 | 1 | 11 | 11 | 10 | ||
1998년 | 1 | 0 | 0 | 1 | 1 | 2 | 0 | ||
2000년 | 6 | 2 | 1 | 3 | 8 | 13 | 7 | ||
2002년 | 불참 | ||||||||
2003년 | 4 | 1 | 1 | 2 | 3 | 6 | 4 | ||
2005년 | 기권 | ||||||||
2007년 | 3 | 0 | 1 | 2 | 1 | 7 | 1 | ||
2009년 | 5 | 1 | 1 | 3 | 5 | 11 | 4 | ||
2011년 | 3 | 0 | 1 | 2 | 5 | 7 | 1 | ||
2013년 | 3 | 0 | 0 | 3 | 2 | 11 | 0 | ||
2015년 | 9 | 2 | 3 | 4 | 11 | 15 | 9 | ||
2017년 | 6 | 5 | 0 | 1 | 18 | 4 | 15 | ||
2019년 | 4 | 3 | 0 | 1 | 22 | 2 | 9 | ||
2021년 | 4 | 1 | 2 | 1 | 3 | 3 | 5 | ||
합계 | 73 | 20 | 17 | 34 | 104 | 126 | 83 |
카리브컵편집
카리브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89년 | 조별리그 | 4위 | 2 | 0 | 2 | 0 | 2 | 2 | 2 |
1990년 | 예선 탈락 | ||||||||
1991년 | |||||||||
1992년 | |||||||||
1993년 | 기권 | ||||||||
1994년 | 불참 | ||||||||
1995년 | 예선 탈락 | ||||||||
1996년 | |||||||||
1997년 | |||||||||
1998년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2 | 9 | 0 |
1999년 | 예선 탈락 | ||||||||
2001년 | 불참 | ||||||||
2005년 | 기권 | ||||||||
2007년 | 예선 탈락 | ||||||||
2008년 | |||||||||
2010년 | |||||||||
2012년 | |||||||||
2014년 | 조별리그 | 6위 | 3 | 0 | 0 | 3 | 5 | 10 | 0 |
2017년 | 우승 | 1위 | 2 | 2 | 0 | 0 | 4 | 2 | 6 |
합계 | 4회 진출(4/19) | 우승(1회) | 10 | 2 | 2 | 6 | 13 | 23 | 8 |
주요 선수편집
- 엘로이 롬
- 다릴 라치만
- 샤논 카르멜리아
- 레안드로 바쿠나
- 헤바로 네포무세노
- 엘손 호이
각주편집
- ↑ 1974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 ↑ 1978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 ↑ 1982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다.
- ↑ 1986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고,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 ↑ 1990년 FIFA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열렸고,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 ↑ 이 대회부터 정식 명칭이 골드컵으로 바뀌었으며, 현재까지 단 한 번도 빼놓지 않고 계속 미국이 개최하고 있다. 더불어 12개국으로 참가국이 확대되고 4강부터 토너먼트가 도입된 첫 대회였다. 그리고 1973~1989년까지 월드컵 지역예선과 같이 하던 것을 아예 독자대회로 분리시켰다.
- ↑ 이 대회부터 타대륙팀을 초청하기 시작했고 첫 타자는 브라질이 되었다.
- ↑ 이 대회부터 출전국이 12개국으로 늘어났으며, 초청국도 3개로 확대되었고 그 자리는 콜롬비아, 페루, 대한민국이 차지했다.
- ↑ 1996년부터 이어져 오던 초청제도가 이 대회에서 14년 만에 폐지되면서 12개국 모두 북중미 팀으로 대회가 치러졌다.
- ↑ 이 대회부터 완전히 3·4위전이 폐지되면서 3·4위전을 치르지 않았다.
- ↑ 이 대회부터 정식 명칭이 골드컵으로 바뀌었으며, 카리브 제도 회원국들의 지역예선을 카리브컵과 겸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