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릴 문자/기타 문자
교회 슬라브어에서 쓰던 문자 편집
Ҁ ҁ: 이름은 코파(копа).
Ꙡ ꙡ: 뒤집힌 Ц. 우횡서 때문에 생긴 글자다. 자매품으로 뒤집힌 Ѕ인 Ꙅ가 있다.
Ꙓ ꙓ: 구개음화된 ѣ를 나타내는 기호인데 정서법상 ѣ가 구개음화될 일이 없어서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문자.
Ꙩ ꙩ: 단수형 눈을 가리키는 문자. ꙩко라고 쓰면 무조건 1개의 눈만 가리키게 된다.
Ꙭ ꙭ: 쌍수형 눈을 나타내는 문자. ꙭчи라고 쓰면 무조건 2개의 눈만 가리키게 된다. 겉의 동그라미를 하나 없앤 Ꙫ ꙫ도 있다.
ꙮ(multiocular О): 아마도 가장 특이한 키릴 문자로, 'о' 의 다른 형태로 7개를 붙여 눈알 여러 개를 표현하기 위해 상형문자로 만들었다. 교회 슬라브어 문서 중 "серафими многоꙮчитїи"(눈이 여러개 달린 세라핌)이라는 한 문장에서만 쓰인다.
Ꚙ ꚙ: двꚙе(둘의), ꚙбо(양쪽의) 등 쌍수성을 나타내는 단어에 쓰인다.
Ꙏ ꙏ: Ь가 쓰여야 할지 Ъ가 쓰여야 할지 애매할 때 쓰였다고 한다. 일부 글꼴에서 Ъ와 똑같이 보이는 버그가 있다.
비슬라브어권에서 쓰는 문자 편집
Ҩ ҩ
Ꚉ ꚉ: 유성 치경 파찰음(/d͡z/)을 나타내는 오세트어·압하스어의 알파벳이었다. 현대 정서법에서는 쓰이지 않으며 오세트어에서는 Дз дз, 압하스어에서는 Ӡ ӡ로 쓰인다.
Ꚃ ꚃ: 압하스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로 원순음화된 치경구개 파찰음(/d͡ʑʷ/) 발음을 표기할때 사용한다. 라틴 문자 에시(ʃ)와 비슷하게 생겼다. 현대 정서법에서는 쓰이지 않으며 Ӡә ӡә로 쓴다.
Ҽ ҽ
Ԝ ԝ: 쿠르드어 키릴 문자 표기법에 사용되는 문자. 발음은 /w/. 같은 언어에 쓰이는 Ԛ ԛ도 있으며, 이쪽은 /q/ 발음이다.
Ӏ ӏ: 일명 팔로치카(Палочка).
이외에도 'В̌'처럼 유니코드에 정식으로 등록되지 않아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문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