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적으로 둥근 태양계 천체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이 목록은 중력적으로 둥근 태양계 천체 목록이다. 자체 중력으로(정역학적 평형) 둥글어져 타원체가 된 천체들이다. 이러한 천체들은 크기 순으로 왜행성에서 위성, 행성, 태양이 있다. 이 목록은 태양계 소천체를 포함하지 않으나 모양이 정확히 결정되지 않은 행성급의 천체들은 포함한다. 태양의 궤도 요소는 은하중심에 대해 작성했으며, 다른 모든 천체는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순으로 나타내었다.

태양 편집

태양G형 주계열성이다. 태양계질량 중 거의 99.9 %를 차지한다.[1]

태양[2]
 
천문 기호[q]  
은하중심으로부터
평균 거리
km
광년
~2.5×10^17
~26,000
평균 반지름 km
:E[f]
696,342
109.3
겉넓이 km2
:E[f]
6.0877×10^12
11,990
부피 km3
:E[f]
1.4122×10^18
1,300,000
질량 kg
:E[f]
1.9855×10^30
332,978.9
표준 중력 변수 m3/s2 1.327×1020
밀도 g/cm3 1.409
적도의 중력 m/s2 274.0
탈출 속도 km/s 617.7
자전 주기 [g] 25.38
은하중심에 대한 공전 주기[3] 백만년 225–250
평균 공전 속도[3] km/s ~220
황도에 대한 자전축 기울기[i] 도(°) 7.25
은하면에 대한 자전축 기울기[i] 도(°) 67.23
평균 표면 온도 K 5,778
평균 코로나 온도[4] K 1–2×10^6
광구의 조성 HHeOCFeS

행성 편집

범례
*
지구형 행성
°
거대 가스 행성

거대 얼음 행성

행성은 2006년 국제천문연맹 (IAU)의 정의에 따라 태양 주위의 궤도를 도는 천체로서 정역학적 평형에 이를만큼 크고 자기 궤도 인근의 다른 천체를 일소해야 한다고 규정되었다.[5] "인근의 다른 천체를 일소"해야 한다는 것의 실용적인 의미는 행성이 부근에 있는 다른 물체를 중력적으로 조절할 만큼 충분히 크다는 것이다. IAU의 정의에 따라, 태양계에는 여덟개의 행성이 있다. 네 개의 지구형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네 개의 목성형 행성인데, 목성형 행성은 두 개의 거대 가스 행성 (목성과 토성)과 두 개의 거대 얼음 행성 (천왕성과 해왕성)으로 더 나눌 수 있다. 태양을 제외하면, 네개의 목성형 행성은 태양계 질량의 99 % 이상을 차지한다.

  *수성[6] *금성[7] *지구[8] *화성[9] °목성[10] °토성[11] 천왕성[12] 해왕성[13]
                 
천문 기호[q]                
평균 거리
(태양으로부터)
km
AU
57,909,175
0.38709893
108,208,930
0.72333199
149,597,890
1.00000011
227,936,640
1.52366231
778,412,010
5.20336301
1,426,725,400
9.53707032
2,870,972,200
19.19126393
4,498,252,900
30.06896348
적도 반지름 km
:E[f]
2,439.64
0.3825
6,051.59
0.9488
6,378.1
1
3,397.00
0.53260
71,492.68
11.209
60,267.14
9.449
25,557.25
4.007
24,766.36
3.883
겉넓이 km2
:E[f]
75,000,000
0.1471
460,000,000
0.9020
510,000,000
1
140,000,000
0.2745
64,000,000,000
125.5
44,000,000,000
86.27
8,100,000,000
15.88
7,700,000,000
15.10
부피 km3
:E[f]
6.083×10^10
0.056
9.28×10^11
0.857
1.083×10^12
1
1.6318×10^11
0.151
1.431×10^15
1,321.3
8.27×10^14
763.62
6.834×10^13
63.102
6.254×10^13
57.747
질량 kg
:E[f]
3.302×10^23
0.055
4.8690×10^24
0.815
5.972×10^24
1
6.4191×10^23
0.107
1.8987×10^27
318
5.6851×10^26
95
8.6849×10^25
14.5
1.0244×10^26
17
표준 중력 변수 m3/s2 2.203×1013 3.249×1014 3.986×1014 4.283×1013 1.267×1017 3.793×1016 5.794×1015 6.837×1015
밀도 g/cm3 5.43 5.24 5.52 3.940 1.33 0.70 1.30 1.76
적도의 중력 m/s2 3.70 8.87 9.81 3.71 23.12 10.44 8.69 11.00
탈출 속도 km/s 4.25 10.36 11.18 5.02 59.54 35.49 21.29 23.71
자전 주기[g] 58.646225 243.0187 0.99726968 1.02595675 0.41354 0.44401 0.71833 0.67125
공전 주기[g] 0.2408467 0.61519726 1.0000174 1.8808476 11.862615 29.447498 84.016846 164.79132
평균 공전 속도 km/s 47.8725 35.0214 29.7859 24.1309 13.0697 9.6724 6.8352 5.4778
이심률 0.20563069 0.00677323 0.01671022 0.09341233 0.04839266 0.05415060 0.04716771 0.00858587
궤도 경사[f] 도(°) 7.00 3.39 0[8] 1.85 1.31 2.48 0.76 1.77
자전축 기울기[i] 도(°) 0.0 177.3[h] 23.44 25.19 3.12 26.73 97.86[h] 28.32
평균 표면 온도 K 440–100 730 287 227 152 [j] 134 [j] 76 [j] 73 [j]
평균 대기 온도[k] K 288 165 135 76 73
대기의 조성 HeNa+
P+ 
CO2N2, SO2 N2O2, Ar, CO2 CO2, N2
Ar
H2, He H2, He H2, He
CH4
H2, He
CH4
알려진 위성의 개수[v] 0 0 1 2 79 62 27 14
고리?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
행성 판별식[l][o] 9.1×10^4 1.35×10^6 1.7×10^6 1.8×10^5 6.25×10^5 1.9×10^5 2.9×10^4 2.4×10^4

왜행성 편집

범례

소행성

명왕성형 천체

천체를 명명하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관인 IAU는 왜행성정역학적 평형을 이르기에 충분히 큰 천체이지만, 인근의 다른 천체를 일소 하지 못한 천체라고 정의한다. 2008년부터 IAU에서 인정한 왜행성은 5개가 존재한다. 세레스의 궤도는 화성 궤도와 목성 궤도 사이의 소행성대에 있고. 다른 천체의 궤도는 해왕성 너머에 있어서 명왕성형 천체로 분류된다.

세레스[14] 명왕성[15] 하우메아[16] 마케마케[17] 에리스[18]
         
천문 기호[q]          
소행성체 번호 1 134340 136108 136472 136199
태양으로부터
평균 거리
km
AU
413,700,000
2.766
5,906,380,000
39.482
6,484,000,000
43.335
6,850,000,000
45.792
10,210,000,000
67.668
평균 반지름 km
:E[f]
473
0.0742
1,190[19]
0.186
816 (1161×852×569)
0.13[20][21]
715±7
0.11[22]
1,163
0.18[23]
부피 km3
:E[f]
4.21×10^8
0.00039[b]
6.99×10^9
0.0065
1.5×10^9
0.001
1.5×10^9
0.001[b]
6.59×10^9
0.0061[b]
겉넓이 km2
:E[f]
2,770,000
0.0054[a]
17,700,000
0.035
6,800,000
0.0133[z]
6,400,000
0.013[a]
17,000,000
0.0333[a]
질량 kg
:E[f]
9.39×10^20
0.00016
1.305×10^22
0.0022
4.01 ± 0.04×10^21
0.0007[24]
< 4.4 ×10^21

< 0.0007

1.7×10^22
0.0028[25]
표준 중력 변수 m3/s2 6.263 × 1010 8.710 × 1011 2.674 × 1011 < 2.9366 × 1011 1.108 × 1012
밀도 g/cm3 2.16 1.87 2.6[20] < 2.933 2.25[c]
적도의 중력 m/s2 0.27[d] 0.62 0.63[d] < 0.57 ~0.8[d]
탈출 속도 km/s[e] 0.51 1.21 0.91 < 0.91 1.37
자전 주기[g] 0.3781 6.38723 0.167 0.3238 1.0792
공전 주기[g] 4.599 247.92065 285.4 309.9 557
평균 공전 속도 km/s 17.882 4.7490 4.484[o] 4.4[o] 3.436[n]
이심률 0.080 0.24880766 0.18874 0.159 0.44177
궤도 경사[f] 도(°) 10.587 17.14175 28.19 28.96 44.187
자전축 기울기[i] 도(°) 4 119.59[h] ? ? ?
평균 표면 온도[w] K 167[26] 40[27] <50[28] 30 30
대기의 조성 H2O N2, CH4, CO ? N2, CH4[29] N2, CH4[30]
알려진 위성의 개수[v] 0 5 2[31] 1[32] 1[33]
행성 판별식[l][o] 0.33 0.077 0.023 0.02 0.10

왜행성에 가까운 후보 천체 편집

해왕성 바깥 천체들은 이론적으로 왜행성이 될만큼 크며 수십개가 더 포함될 수 있다.[34] 콰오아오르쿠스는 위성이 있어서 행성계의 질량이 결정될 수 있었다. 둘은 2006년 국제천문연맹의 행성 정의 제안서 초안의 왜행성 기준인 5×10^20 kg 보다 무겁다.[35] 하지만, 살라시아 같은 어두운 저밀도 천체는 내부가 다공질이어서 정역학적 평형에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36] 그런 경우, 2007 OR10, 콰오아, 오르쿠스, 세드나 만이 그럴법한 왜행성 후보일 것이다.

오르쿠스[37] 익시온[38] 2002 MS4[39] 살라시아[40] 바루나[41] 2005 UQ513[42] 콰오아[43] 2007 OR10[44] 그쿤홈디마[45] 세드나[46]
               
소행성체 번호 90482 28978 307261 120347 20000 202421 50000 225088 229762 90377
긴반지름 km
AU
5,896,946,000
39.419
5,935,999,000
39.68
6,273,000,000
41.93
6,311,000,000
42.19
6,451,398,000
43.13
6,479,089,380
43.31
6,493,296,000
43.6
10,072,433,340
67.33
11,032,000,000
73.74
78,668,000,000
525.86
평균 반지름[s] km
:E[f]
473
0.0742
402
0.063
467[47]
0.073
427[48]
0.067
~350
0.055
460
0.072[aa]
422
0.066
~640
0.10
440
0.07[aa]
~500
0.08
겉넓이[a] km2
:E[f]
2,811,000
0.0055
2,031,000
0.00398
2,741,000
0.00537
2,291,000
0.00449
1,091,000
0.00214
2,659,000
0.0052
2,238,000
0.00439
6,160,000
0.012
2,430,000
0.005
3,000,000
0.006
부피[b] km3
:E[f]
443,000,000
0.0004
272,000,000
0.0003
427,000,000
0.0004
327,000,000
0.0003
549,000,000
0.0005
408,000,000
0.0004
315,000,000
0.0003
1,440,000,000
0.001
360,000,000
0.0003
500,000,000
0.0005
질량[t] kg
:E[f]
6.32×10^20[49]
0.0001
? ? 4.5×10^20[50]
0.000075
5.5×10^20
0.00009
? (1.3–1.9)×10^21[51]
0.0003
1.75×10^21

0.0003

? ?
밀도[t] g/cm3 1.5±0.3[49] ? ? 1.16[50] 0.9992[52] ? >2.8[51] 1.76 ? ?
적도의 중력[d] m/s2 0.27 ? ? 0.11 0.14 ? 0.24 0.285 ? ?
탈출 속도[e] km/s 0.50 ? ? 0.43 0.38 ? 0.45 0.604 ? ?
자전 주기[g] 0.5495 0.51667 ? 0.25 0.13216[52] 0.29292 0.7366 1.86708 0.46 0.42[53]
공전 주기[g] 247.492 249.95 271.53 274.03 283.20 285.12 287.97 552.52 633.28 12,059.06
평균 공전 속도 km/s 4.68 4.66 4.58 4.58 4.53 4.52 4.52 3.63 3.25 1.04
이심률 0.22552 0.242 0.148 0.10312 0.051 0.145 0.038 0.5 0.490 0.855
궤도 경사[f] 도(°) 22.5 19.6 17.693 23.9396 17.2 25.69 8 30.7 23.37 11.93
평균 표면 온도[w] K ~42 ~43 ~43 ? ~43 ~41 ~41 ~30 ~32 ~12
알려진 위성의 개수 1[54] 0 0 1 0 0 1[55] 1 1[56] 0
행성 판별식[l][o] 0.003 0.0027 <0.1 <0.1 0.0027 0.003 0.0015 <0.1 0.036[x] ?[x]
절대등급 (H) 2.30 3.20 3.7 4.2 3.70 3.40 2.71 1.7 3.40 1.58

위성 편집

범례
🜨
지구의 위성

목성의 위성

토성의 위성

천왕성의 위성

해왕성의 위성

명왕성의 위성

태양계에는 19개의 위성정역학적 평형을 이룰 만큼 크다고 알려져 있다. 알란 스턴(Alan Stern)은 이런 위성을 위성 행성(satellite planets)이라고 부르며, 대형 위성(major moon)이라는 용어가 더 유명하다.

몇몇 위성은 한때 정역학적 평형에 있었지만 더이상 아니다. 타이탄과 레아를 제외한 이 목록에 있는 토성의 위성이 이에 해당한다. 한때는 정역학적 평형에 있었지만 더이상 둥글지 않은 토성의 포에베 같은 것은 이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위성은 태양으로부터 거리 순으로, 그 다음 으로는 모행성으로부터의 거리 순으로 나타냈다.

🜨[57] 이오[58] 유로파[59] 가니메데[60] 칼리스토[61] 미마스[p] 엔셀라두스[p] 테티스[p] 디오네[p] 레아[p]
                   
천문 기호[q]  
모행성에 대한
평균 거리:
km 384,399 421,600 670,900 1,070,400 1,882,700 185,520 237,948 294,619 377,396 527,108
평균 반지름 km
:E[f]
1,737.1
0.272
1,815
0.285
1,569
0.246
2,634.1
0.413
2,410.3
0.378
198.30
0.031
252.1
0.04
533
0.084
561.7
0.088
764.3
0.12
겉넓이[a] km2
:E[f]
37,930,000
0.074
41,910,000
0.082
30,900,000
0.061
87,000,000
0.171
73,000,000
0.143
490,000
0.001
799,000
0.0016
3,570,000
0.007
3,965,000
0.0078
7,337,000
0.0144
부피[b] km3
:E[f]
2.2×10^10
0.02
2.53×10^10
0.02
1.59×10^10
0.015
7.6×10^10
0.07
5.9×10^10
0.05
3.3×10^7
0.00003
6.7×10^7
0.00006
6.3×10^8
0.0006
7.4×10^8
0.0007
1.9 ×10^9
0.0018
질량 kg
:E[f]
7.3477×10^22
0.0123
8.94×10^22
0.015
4.80×10^22
0.008
1.4819×10^23
0.025
1.0758×10^23
0.018
3.75×10^19
0.000006
1.08×10^20
0.000018
6.174×10^20
0.00010
1.095×10^21
0.00018
2.306×10^21
0.0004
밀도[c] g/cm3 3.3464 3.528 3.01 1.936 1.83 1.15 1.61 0.98 1.48 1.23
적도의 중력[d] m/s2 1.622 1.796 1.314 1.428 1.235 0.0636 0.111 0.145 0.231 0.264
탈출 속도[e] km/s 2.38 2.56 2.025 2.741 2.440 0.159 0.239 0.393 0.510 0.635
자전 주기 [g] 27.321582
(sync)[m]
1.7691378
(sync)
3.551181
(sync)
7.154553
(sync)
16.68902
(sync)
0.942422
(sync)
1.370218
(sync)
1.887802
(sync)
2.736915
(sync)
4.518212
(sync)
공전 주기 [g] 27.32158 1.769138 3.551181 7.154553 16.68902 0.942422 1.370218 1.887802 2.736915 4.518212
평균 공전 속도[o] km/s 1.022 17.34 13.740 10.880 8.204 14.32 12.63 11.35 10.03 8.48
이심률 0.0549 0.0041 0.009 0.0013 0.0074 0.0202 0.0047 0.02 0.002 0.001
모행성의 적도에 대한 궤도 경사 도(°) 18.29–28.58 0.04 0.47 1.85 0.2 1.51 0.02 1.51 0.019 0.345
자전축 기울기[i][u] 도(°) 6.68 0 0 0–0.33[62] 0 0 0 0 0 0
평균 표면 온도[w] K 220 130 102 110[63] 134 64 75 64 87 76
대기의 조성 ArHe
NaKH
SO2[64] O2[65] O2[66] O2CO2[67] H2O, N2
CO2, CH4[68]
고리?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타이탄[p] 이아페투스[p] 미란다[r] 아리엘[r] 움브리엘[r] 티타니아[r] 오베론[r] 트리톤[69] 카론[15]
                 
모행성에 대한
평균 거리:
km 1,221,870 3,560,820 129,390 190,900 266,000 436,300 583,519 354,759 17,536
평균 반지름 km
:E[f]
2,576
0.404
735.60
0.115
235.8
0.037
578.9
0.091
584.7
0.092
788.9
0.124
761.4
0.119
1353.4
0.212
603.5
0.095
겉넓이[a] km2
:E[f]
83,000,000
0.163
6,700,000
0.013
700,000
0.0014
4,211,300
0.008
4,296,000
0.008
7,820,000
0.015
7,285,000
0.014
23,018,000
0.045
4,580,000
0.009
부피[b] km3
:E[f]
7.16×10^10
0.066
1.67×10^9
0.0015
5.5×10^7
0.00005
8.1×10^8
0.0007
8.4×10^8
0.0008
2.06×10^9
0.0019
1.85×10^9
0.0017
1×10^10
0.00923
9.2×10^8
0.00085
질량 kg
:E[f]
1.3452×10^23
0.023
1.8053×10^21
0.0003
6.59×10^19
0.00001
1.35×10^21
0.00023
1.2×10^21
0.0002
3.5×10^21
0.0006
3.014×10^21
0.00051
2.14×10^22
0.00358
1.52×10^21
0.00025
밀도[c] g/cm3 1.88 1.08 1.20 1.67 1.40 1.72 1.63 2.061 1.65
적도의 중력[d] m/s2 1.35 0.22 0.08 0.27 0.23 0.39 0.35 0.78 0.28
탈출 속도[e] km/s 2.64 0.57 0.19 0.56 0.52 0.77 0.73 1.46 0.58
자전 주기 [g] 15.945
(sync)[m]
79.322
(sync)
1.414
(sync)
2.52
(sync)
4.144
(sync)
8.706
(sync)
13.46
(sync)
5.877
(sync)
6.387
(sync)
공전 주기 15.945 79.322 1.4135 2.520 4.144 8.706 13.46 5.877 6.387
평균 공전 속도[o] km/s 5.57 3.265 6.657 5.50898 4.66797 3.644 3.152 4.39 0.2
이심률 0.0288 0.0286 0.0013 0.0012 0.005 0.0011 0.0014 0.00002 0.0022
모행성의 적도에 대한 궤도 경사 도(°) 0.33 14.72 4.22 0.31 0.36 0.14 0.10 157[h] 0.001
자전축 기울기[i][u] 도(°) 0 0 0 0 0 0 0 0 ?
평균 표면 온도[w] K 93.7[70] 130 59 58 61 60 61 38[71] 53
대기의 조성 N2, CH4[72] N2, CH4[73]

참고주 편집

기타 다르게 언급되지 않은 한:[ac] 편집

  1. ^ 어떤 천체가 행성인지 판별하는 것은 스티븐 소터가 출판한 자료를 인용하였다.[74] Planetary discriminants for Ceres, Pluto and Eris taken from Soter, 2006. Planetary discriminants of all other bodies calculated from the Kuiper belt mass estimate given by Lorenzo Iorio.[75]
  2. ^ 토성의 위성 정보는 NASA의 토성 위성 팩트 시트집에서 인용하였다.[76]
  3. ^ Astronomical symbols for all listed objects except Ceres taken from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77] Symbol for Ceres was taken from material published by James L. Hilton.[78] The Moon is the only natural satellite with an astronomical symbol, and Pluto and Ceres the only dwarf planets.
  4. ^ Uranus satellite info taken from NASA Uranian Satellite Fact Sheet.[79]
  5. ^ Radii for plutoid candidates taken from material published by John A. Stansberry et al.[23]
  6. ^ Axial tilts for most satellites assumed to be zero in accordance with the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In the absence of other information, the axis of rotation is assumed to be normal to the mean orbital plane."[80]
  7. ^ Natural satellite numbers taken from material published by Scott S. Sheppard.[81]

계산 유도(기타 다르게 언급되지 않은 한) 편집

  1. ^ 겉넓이 A는 반지름으로부터   공식에 따라 구형이라고 가정하고 유도되었다.
  2. ^ 부피 V는 반지름으로부터   공식에 따라 구형이라고 가정하고 유도되었다.
  3. ^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누어 유도되었다.
  4. ^ 표면 중력은 질량 m과, 중력 상수 G와 반지름 r로부터 다음 공식에 따라 유도되었다.: G*m/r2 .
  5. ^ 탈출 속도는 질량 m과, 중력 상수 G와 반지름 r로부터 다음 공식에 따라 유도되었다.: sqrt((2*G*m)/r) .
  6. ^ 궤도 속도는 평균 궤도 반지름과 공전 주기로부터 원궤도라고 가정하고 계산되었다.
  7. ^ 밀도가 2.0이라고 가정
  8. ^   공식을 써서 계산되었다. 여기서 Teff =54.8 K at 52 AU,  는 기하반사도, q=0.8 is the 상적분,  은 태양으로부터 AU단위의 거리다. 이 공식은 section 2.2 of Stansberry et al., 2007[23]에 나온 공식을 단순화한 것이다. where emissivity and beaming parameter were assumed equal unity, and   was replaced with 4 accounting for the difference between circle and sphere. All parameters mentioned above were taken from the same paper.
  9. ^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 where H is the absolute magnitude, p is the geometric albedo and D is the diameter in km, and assuming an albedo of 0.15, as per Dan Bruton.[82]
  10. ^ Mass derived from the 밀도 multipied by the volume.

개별 계산 편집

  1. ^ 밀도로부터 유도
  2. ^ 표면적은 부등타원체(scalene ellipsoid)의 공식에 따라 계산되었다.:
      여기서  은 모듈러각(modular angle), 또는 각이심률(angular eccentricity)이다.   and  ,   은 각각 제1종과 제2종의 불완전 타원 적분이다. 각각 980 km, 759 km, and 498 km 가 a, b, c 로 사용되었다.

기타 참고주 편집

  1. ^ 지구의 것과 비교할 시
  2. ^ 공전 주기
  3. ^ 역행
  4. ^ 천체의 적도에 대한 궤도의 기울기.
  5. ^ 1bar(1기압)에서의 값
  6. ^ 해수면에서
  7. ^ 천체의 질량과 바로 이웃한 것들의 질량의 비. 행성과 왜행성을 구분하는데 쓰인다
  8. ^ 이 천체의 자전이 공전과 동주기 적이다는 것은, 모천체에 대해 한 면만을 보여준다는 것을 뜻한다.
  9. ^ 천체의 행성 판별식은 에리스의 값에 기반하여 계산되었다. 세드나 주변에 이웃한 천체들은 거의 알려지지 않아서 행성 판별식을 계산하기 어렵다.
  10. ^ 프로테우스의 평균 지름은: 210 km;[69] 미마스의 평균 지름은: 199 km[76]
  11. ^ "기타 다르게 언급되지 않은 한"이라는 의미는 포함된 정보가 다른 인용문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표 전체 줄 또는 그 열에 적용됨을 의미한다.

출처주 편집

  1. Woolfson, Michael Mark (2000).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Solar System”. 《Astronomy & Geophysics》 41 (1): 1.12–1.19. Bibcode:2000A&G....41a..12W. doi:10.1046/j.1468-4004.2000.00012.x. 
  2.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Sun factsheet Archived 2008년 1월 2일 - 웨이백 머신 and NASA Sun factsheet 보관됨 2010-07-15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3. Leong, Stacy (2002). Elert, Glenn, 편집. “Period of the 태양's Orbit around the Galaxy (Cosmic Year)”. 《The Physics Factbook (self-published)》. 2008년 6월 26일에 확인함. 
  4. Aschwanden, Markus J. (2007). 〈The 태양〉. McFadden, Lucy Ann; Weissman, Paul R.; Johnsson, Torrence V. 《Encyclopedia of the Solar System》. Academic Press. 80쪽. 
  5. “IAU 2006 General Assembly: Result of the IAU Resolution votes” (보도 자료).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News Release – IAU0603). 2006년 8월 24일. 200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orig link 보관됨 2007-01-03 - 웨이백 머신)
  6. NASA Mercury Fact Sheet 보관됨 2015-11-06 - 웨이백 머신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Factsheet Archived 2014년 4월 8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7. NASA Venus Factsheet Archived 2016년 3월 8일 - 웨이백 머신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Factsheet 보관됨 2006-09-29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8. NASA Earth factsheet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Factsheet 보관됨 2009-08-27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9. NASA Mars Factsheet 보관됨 2010-06-12 - 웨이백 머신 and NASA Mars Solar System Exploration Factsheet Archived 2003년 1월 27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10. NASA Jupiter factsheet Archived 2011년 4월 13일 - 웨이백 머신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Factsheet Archived 2013년 12월 25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11. NASA Saturn factsheet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Saturn Factsheet Archived 2015년 11월 7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12. NASA Uranus factsheet Archived 2013년 6월 21일 - 웨이백 머신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Uranus Factsheet Archived 2015년 11월 9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13. NASA Neptune factsheet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Neptune Factsheet Archived 2015년 11월 25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14. “NASA Asteroid Factsheet”. 《NASA》. 2010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15. NASA Pluto factsheet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Pluto Factsheet Archived 2014년 4월 24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16. (i) Lockwood, Alexandra C.; Brown, Michael (Mike) E.; Stansberry, John A. (2014). “The Size and Shape of the Oblong Dwarf Planet Haumea”. 《Earth, Moon, and Planets》 111: 127–137. arXiv:1402.4456. Bibcode:2014EM&P..111..127L. doi:10.1007/s11038-014-9430-1. 
    (ii) Rabinowitz, David L.; Barkume, Kristina M.; Brown, Michael (Mike) E.; 외. (2006). “Photometric Observations Constraining the Size, Shape, and Albedo of 2003 EL61, a Rapidly Rotating, Pluto-Sized Object in the Kuiper Belt”. 《The Astrophysical Journal》 639 (2): 1238–1251. arXiv:astro-ph/0509401. Bibcode:2006ApJ...639.1238R. doi:10.1086/499575. 
    (iii) “Jet Propulsion Laboratory Small-Body Database Browser: 136108 Haumea”. NASA's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8-05-10 last obs). 200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17. (i) Buie, Marc W. (2008년 4월 5일).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36472”.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년 7월 13일에 확인함. 
    (ii) “NASA Small Bodies Database Browser: 136472 Makemake (2005 FY9)”. NASA JPL. 2008년 10월 3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18. “NASA Small Body Database Browser: Eris”. NASA JPL. 200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19. https://www.youtube.com/watch?v=dWr29KIs2Ns NASA. 24 July 2015. Event occurs at 52:30. Retrieved 30 July 2015. We had an uncertainty that ranged over maybe 70 kilometers, we've collapsed that to plus and minus two, and it's centered around 1186
  20. Lockwood, Alexandra C.; Brown, Michael (Mike) E.; Stansberry, John A. (2014). “The Size and Shape of the Oblong Dwarf Planet Haumea”. 《Earth, Moon, and Planets》 111: 127–137. arXiv:1402.4456. Bibcode:2014EM&P..111..127L. doi:10.1007/s11038-014-9430-1. 
  21. Lellouch, Emmanuel; Kiss, Csaba; Santos-Sanz, Pablo; 외. (2010).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II. The thermal lightcurve of (136108) Haumea”. 《Astronomy and Astrophysics518: L147. arXiv:1006.0095. Bibcode:2010A&A...518L.147L. doi:10.1051/0004-6361/201014648. 
  22. Brown, Michael (Mike) E. (2013). “On the size, shape, and 밀도 of dwarf planet Makemake”. arXiv:1304.1041. 
  23. Stansberry, John A.; Grundy, Will M.; Brown, Michael (Mike) E.; 외. (2007). “Physical Properties of Kuiper Belt and Centaur Objects: Constraints from Spitzer Space Telescope”. 《The Solar System beyond Neptun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61. arXiv:astro-ph/0702538. Bibcode:2008ssbn.book..161S. 
  24. Brown, Michael (Mike) E.; Bouchez, Antonin H.; Rabinowitz, David L.; 외. (October 2005). “Keck Observatory laser guide star adaptive optics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a satellite to large Kuiper belt object 2003 EL61”.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632 (L45): L45. Bibcode:2005ApJ...632L..45B. doi:10.1086/497641. 
  25. Brown, Michael (Mike) E.; Schaller, Emily L. (2007년 6월 15일). “The Mass of Dwarf Planet Eris”. 《Science》 316 (5831): 1585. Bibcode:2007Sci...316.1585B. doi:10.1126/science.1139415. PMID 17569855. 
  26. Saint-Pé, Olivier; Combes, Michel; Rigaut, François J. (1993). “Ceres surface properties by high-resolution imaging from Earth”. 《Icarus》 105 (2): 271–281. Bibcode:1993Icar..105..271S. doi:10.1006/icar.1993.1125. 
  27. Than, Ker (2006). “Astronomers: Pluto colder than expected”. Space.com (via CNN.com).  Retrieved on 2006-03-05.
  28. Trujillo, Chadwick A.; Brown, Michael (Mike) E.; Barkume, Kristina M.; 외. (February 2007). “The Surface of 2003 EL61 in the Near Infrared”. 《The Astrophysical Journal》 655 (2): 1172–1178. arXiv:astro-ph/0601618. Bibcode:2007ApJ...655.1172T. doi:10.1086/509861. 
  29. Brown, Michael (Mike) E.; Barkume, Kristina M.; Blake, Geoffrey A.; 외. (2007). “Methane and Ethane on the Bright Kuiper Belt Object 2005 FY9”. 《The Astronomical Journal》 133 (1): 284–289. Bibcode:2007AJ....133..284B. doi:10.1086/509734. 
  30. Licandro, Javier; Grundy, Will M.; Pinilla-Alonso, Noemi; de Leon, Jerome P. (2006). “Visible spectroscopy of 2003 UB313: evidence for N2 ice on the surface of the largest TNO?” (PDF).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8 (1): L5–L8. arXiv:astro-ph/0608044. Bibcode:2006A&A...458L...5L. doi:10.1051/0004-6361:20066028. 
  31. Ragozzine, Darin; Brown, Michael (Mike) E.; Trujillo, Chadwick A.; Schaller, Emily L. “Orbits and Masses of the 2003 EL61 Satellite System”. 《AAS DPS conference 2008》. 2013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17일에 확인함. 
  32. Chang, Kenneth (2016년 4월 26일). “Makemake, the Moonless Dwarf Planet, Has a Moon, After All”. 《New York Times. 2016년 4월 26일에 확인함. 
  33. Brown, Michael (Mike) E.; van Dam, Marcos A.; Bouchez, Antonin H.; 외. (2006). “Satellites of the largest Kuiper belt objects”. 《The Astrophysical Journal》 639 (1): L43–L46. arXiv:astro-ph/0510029. Bibcode:2006ApJ...639L..43B. doi:10.1086/501524. 
  34. Brown, Michael (Mike) E. “The Dwarf Planets”. Caltech. 2008년 9월 25일에 확인함. 
  35. Gingerich, Owen (2006년 8월 16일). “The Path to Defining Planets” (PDF).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and IAU EC Planet Definition Committee chair》. 3. 4쪽. 2007년 3월 13일에 확인함. 
  36. W.M. Grundy, K.S. Noll, M.W. Buie, S.D. Benecchi, D. Ragozzine & H.G. Roe, 'The Mutual Orbit, Mass, and density of Transneptunian Binary Gǃkúnǁ’hòmdímà ((229762) 2007 UK126)', Icarus (forthcoming)
  37.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90482 Orcus (2004 DW)” (2008-02-10 last obs). NASA JPL. 2008년 7월 2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38.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8978 Ixion (2001 KX76)” (2007-07-12 last obs). NASA JPL. 2008년 10월 4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39.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307261 (2002 MS4)” (2009-09-19 last obs). 2013년 12월 23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0.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120347 Salacia” (2010-11-05 last obs). 2013년 12월 23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1.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000 Varuna (2000 WR106)” (2007-11-17 last obs). NASA JPL. 2008년 7월 2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2.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05 UQ513)” (2008-11-29 last obs). 2008년 7월 31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3. “NASA JPL Database Browser: 50000 Quaoar”. NASA JPL. 2008년 12월 19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4. “NASA Small Bodies Database Browser: 2007 OR10. NASA JPL. 2008년 12월 20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5.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29762 (2007 UK126)” (2009-12-20 last obs). 2010년 5월 2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6. Buie, Marc W. (2007년 8월 13일).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90377”. Deep Ecliptic Survey. 2006년 1월 17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47. Vilenius, Esa; Kiss, Csaba; Mommert, Michael; 외. (2012년 4월 4일).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VI. Herschel/PACS observations and thermal modeling of 19 classical Kuiper belt objects”. 《Astronomy & Astrophysics》 541: A94. arXiv:1204.0697. Bibcode:2012A&A...541A..94V. doi:10.1051/0004-6361/201118743. 
  48. Fornasier, Sonia; Lellouch, Emmanuel; Müller, Thomas G.; 외. (2013). “TNOs are Cool: A survey of the trans-Neptunian region. VIII. Combined Herschel PACS and SPIRE observations of 9 bright targets at 70–500 µm”. 《Astronomy & Astrophysics》 555: A15. arXiv:1305.0449v2. doi:10.1051/0004-6361/201321329. 
  49. Brown, Michael (Mike) E.; Ragozzine, Darin; Stansberry, John A.; Fraser, Wesley C. (2009). “The size, 밀도, and formation of the Orcus-Vanth system in the Kuiper belt”. 《Astronomical Journal》 139 (6): 2700. arXiv:0910.4784. Bibcode:2010AJ....139.2700B. doi:10.1088/0004-6256/139/6/2700. 
  50. Stansberry, John A. (2012). “Physical Properties of Trans-Neptunian Binaries (120347) Salacia–Actaea and (42355) Typhon–Echidna”. 《Icarus》 219 (2): 676–688. Bibcode:2012Icar..219..676S. doi:10.1016/j.icarus.2012.03.029. 2012년 4월 27일에 확인함. 
  51. Brown, Michael (Mike) E.; Fraser, Wesley C. (2009). 《Quaoar: A Rock in the Kuiper Belt》. DPS meeting #41.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Bibcode:2009DPS....41.6503F.  (Backup reference)
  52. Jewitt, David C. & Sheppard, Scott S. (2002). “Physical Properties of Trans-Neptunian Object (20000) Varuna”. 《The Astronomical Journal》 123 (4): 2110–2120. arXiv:astro-ph/0201082. Bibcode:2002AJ....123.2110J. doi:10.1086/339557.  Retrieved on 2008-12-19.
  53. “Case of Sedna's Missing Moon Solved”. Harvard 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5. 2011년 7월 5일에 확인함. 
  54. Distant EKO The Kuiper Belt Electronic newsletter, March 2007 Retrieved on 2008-11-17
  55. “IAUC 8812: Sats OF 2003 AZ_84, (50000), (55637), (90482); V1281 Sco; V1280 Sco”.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1년 7월 5일에 확인함. 
  56. (229762) 2007 UK126, Johnston's Archive. Last updated 20 September 2011
  57. NASA Moon factsheet and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Moon Factsheet Archived 2015년 6월 7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8-11-17 (unless otherwise cited)
  58. “NASA Io Factsheet”. NASA. 1999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59. “NASA Europa Factsheet”. NASA. 1997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60. “NASA Ganymede Factsheet”. NASA. 1997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unless otherwise cited)
  61. “NASA Callisto Factsheet”. NASA. 1997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6일에 확인함. 
  62. Bills, Bruce G. (2005). “Free and forced obliquities of the Galilean satellites of Jupiter”. 《Icarus》 175 (1): 233–247. Bibcode:2005Icar..175..233B. doi:10.1016/j.icarus.2004.10.028. 
  63. Orton, Glenn S.; Spencer, John R.; Travis, Larry D.; 외. (1996). “Galileo Photopolarimeter-radiometer observations of Jupiter and the Galilean Satellites”. 《Science》 274 (5286): 389–391. Bibcode:1996Sci...274..389O. doi:10.1126/science.274.5286.389. 
  64. Pearl, John C.; Hanel, Rudolf A.; Kunde, Virgil G.; 외. (1979). “Identification of gaseous SO2 and new upper limits for other gases on Io”. 《Nature》 288 (5725): 755. Bibcode:1979Natur.280..755P. doi:10.1038/280755a0. 
  65. Hall, Doyle T.; et al.; Detection of an oxygen atmosphere on Jupiter's moon Europa, Nature, Vol. 373, 1995, pp. 677–679 (accessed 2006-15-04)
  66. Hall, Doyle T.; Feldman, Paul D.; McGrath, Melissa A.; Strobel, Darrell F. (1998). “The Far-Ultraviolet Oxygen Airglow of Europa and Ganymede”. 《The Astrophysical Journal》 499 (1): 475–481. Bibcode:1998ApJ...499..475H. doi:10.1086/305604.  Retrieved on 2008-11-17.
  67. Liang, Mao-Chang; Lane, Benjamin F.; Pappalardo, Robert T.; 외. (2005). “Atmosphere of Callisto”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0 (E02003): E02003. Bibcode:2005JGRE..11002003L. doi:10.1029/2004JE002322. 2009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Retrieved on 2008-11-17.
  68. Waite, J. Hunter, Jr.; Combi, Michael R.; Ip, Wing-Huen; 외. (2006). “Cassini Ion and Neutral Mass Spectrometer: Enceladus Plume Composition and Structure”. 《Science》 311 (5766): 1419–1422. Bibcode:2006Sci...311.1419W. doi:10.1126/science.1121290. PMID 16527970.  Retrieved on 2008-11-17.
  69. Triton info taken from NASA Neptunian Satellite Fact Sheet Archived 2008년 2월 1일 - 웨이백 머신 NASA Retrieved on 2009-01-18 (unless otherwise cited)
  70. Hasenkopf, Christa A.; Beaver, Melinda R.; Tolbert, Margaret A.; 외. (2007). “Optical Properties of Titan Haze Laboratory Analogs Using Cavity Ring Down Spectroscopy” (PDF). 《Workshop on Planetary Atmospheres》 (1376): 51. Bibcode:2007plat.work...51H. 2014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6일에 확인함. 
  71. Tryka, Kimberly; Brown, Robert H.; Anicich, Vincent; 외. (August 1993).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Phas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Nitrogen Ice on Triton”. 《Science》 261 (5122): 751–754. Bibcode:1993Sci...261..751T. doi:10.1126/science.261.5122.751. PMID 17757214. 
  72. Niemann, Hasso B.; Atreya, Sushil K.; Bauer, Sven J.; 외. (2005). “The abundances of constituents of Titan's atmosphere from the GCMS instrument on the Huygens probe”. 《Nature438 (7069): 779–784. Bibcode:2005Natur.438..779N. doi:10.1038/nature04122. PMID 16319830. 
  73. Broadfoot, A. Lyle; Atreya, Sushil K.; Bertaux, Jean-Loup; 외. (1989년 12월 15일). “Ultraviolet Spectrometer Observations of Neptune and Triton”. 《Science》 246 (4936): 1459–1466. Bibcode:1989Sci...246.1459B. doi:10.1126/science.246.4936.1459. PMID 17756000. 
  74. Soter, Stephen (2006년 8월 16일). “What is a Planet?”. 《The Astronomical Journal》 132 (6): 2513–2519. arXiv:astro-ph/0608359. Bibcode:2006AJ....132.2513S. doi:10.1086/508861. 
  75. Iorio, Lorenzo (March 2007). “Dynamical determination of the mass of the Kuiper Belt from motions of the inner planets of the Solar system”.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375 (4): 1311–1314. arXiv:gr-qc/0609023. Bibcode:2007MNRAS.375.1311I. doi:10.1111/j.1365-2966.2006.11384.x. 
  76. NASA Saturnian Satellite Fact Sheet NASA Retrieved on 2008-11-17
  77.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Planet Symbols”. NASA. 2009년 1월 26일에 확인함. 
  78. Hilton, James L. “When did asteroids become minor planets?” (PDF). 《U.S. Naval Observatory》. 2008년 10월 25일에 확인함. 
  79. “NASA Uranian Satellite Fact Sheet”. NASA. 2010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80. Seidelmann, P. Kenneth, 편집. (1992).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384쪽. 
  81. Sheppard, Scott S. “The Jupiter Satellite Page”.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 Department of Terrestrial Magnetism》. 2013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일에 확인함. 
  82. Bruton, Dan. “Conversion of Absolute Magnitude to Diameter for Minor Planets”. Department of Physics & Astronomy (Stephen F. Austin State University). 2010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20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