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청년선

백두산청년선(白頭山靑年線)은 함경북도 길주군량강도 청사 소재지인 혜산시를 연결하는 철도노선이다. 본래 명칭은 혜산선(惠山線)이었으나 광복 이후 백두산청년선으로 개명되었다.

백두산청년선(혜산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영업 중
개통일1937년 11월 1일
소유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운영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노선 제원
전철화전철
백두산청년선(혜산선)
(길주청년역―혜산청년역)
STR+l
평라선(김책역 방면)
BHF
0.0 길주청년
ABZgr
평라선(명천역 방면)
eHST
봉암(폐쇄)
HST
10.3 남석
HST
18.4 성후
HST
풍계
BHF
26.2 재덕
HST
35.2 성덕
STR+GRZq
함경북도 길주군/량강도 백암군
HST
43.0 사도
HST
47.4 양곡
BHF
57.2 합수
HST
63.0 남계
BHF
70.0 백암청년
ABZgr
백무선(산양대역 방면)
STR+GRZq
백암군/운흥군
HST
81.0 령하
HST
령남
HST
90.5 남중
HST
95.6 생장
BHF
99.7 운흥
HST
108.7 보안
HST
116.1 심포리
HST
124.6 대오천
STR+GRZq
운흥군/혜산시
HST
132.6 검산리
ABZg+r
삼지연선(삼지연못가역 방면)
HST
137.1 위연
BHF
141.7 혜산청년
STR
북부내륙선(삼수청년역 방면)
  • 역명과 거리는 일본어판 위키백과를 참고로 함

노선 정보 편집

  • 구간과 거리 : 길주청년역-혜산청년역 141.7km
  • 역 수 : 22개 (양 끝역 포함)
  • 궤도 간격 : 1435mm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직류 3000V)
  • 복선 구간 : 없음
  • 폐역 정보
    • 봉암역(鳳巖驛) : 길주청년역 기점 3.9km 지점에 존재하였음.

연혁 편집

역 목록 편집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길주청년 Kilju Ch'ŏngnyŏn 吉州靑年 평라선
남석 Namsŏk 南夕
성후 Sŏnghu 城後
풍계 P'unggye 豊溪
재덕 Chaedŏk 載德
성덕 Sŏngdŏk 城德
사도 Sado 蛇島
양곡 Yanggok 暘谷
합수 Hapsu 合水
남계 Namgye 南溪
백암청년 Paegam Ch'ŏngnyŏn 白岩靑年 백무선
령하 Ryŏngha 嶺下
령남 Ryŏngnam 嶺南
남중 Namjung 南中
생장 Saengjang 生長
운흥 Unhŭng 雲興
보안 Poan 甫安
심포리 Simp'o-ri 深浦里
대오천 Taeoch'ŏn 大五川 오시천선
검산리 Kŏmsal-li 劒山里
위연청년 Wiyŏn Ch'ŏngnyŏn 渭淵靑年 삼지연선
혜산청년 Hyesan Ch'ŏngnyŏn 惠山靑年 북부내륙선

운행 계통 편집

1980년대의 자료[6]에 의하면 평양~혜산을 오가는 열차와 해주청년~혜산을 오가는 열차가 운행되었다고 한다. 한편 1988년 북부내륙선이 개통된 것과 북부철길과 백두산청년선이 곧바로 연결되어 있는 점으로 추측할 때 백두산청년선과 북부철길 사이를 직결 운행하는 운행 계통도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주 편집

  1.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038호, 1933년 10월 24일자
  2.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260호, 1934년 7월 23일자
  3.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233호, 1937년 10월 23일자
  4. 이재준 (2006년 10월 12일). “北핵실험장 부근 백암서 철도터널 붕괴”. 뉴시스. 2018년 5월 28일에 확인함. 
  5. 강철환 (2007년 4월). “[최신 북한정보] 核실험 후 4개월간 길주-혜산 봉쇄”. 월간조선. 2018년 5월 28일에 확인함. 
  6. 네이버 지식백과 북한지리정보: 운수지리 백두산청년선

참고 문헌 편집

  • 이동훈 (2008년 12월 22일). “북한 철도 유라시아 철도의 ‘끊어진 고리’ 北, 12개 주요 노선 어떤 상태인가”. 조선일보. 
  •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
  •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