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선(鎭海線)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정동의 창원역진해구 통해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으로, 경전선의 지선이다.

진해선
진해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지선 철도
상태영업중(여객영업 중단)
기점창원역
(경상남도 창원시)
종점통해역
(경상남도 창원시)
역 수7
노선 번호30701
개통일1926년 11월 11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21.2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1(창원 - 통해)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신창원역 구내 유치선)
신호 방식ATS
진해선 세한건널목, 창원시 진해구 경화동 진해구 병암북로 4

개요 편집

진해선의 건설은 일제강점기 당시, 진해의 지리적 조건에 착안하여 설치된 일본제국해군의 해군 기지를 유지하고, 민간용 진해항의 인입철도로서 계획되어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 만철위탁경영기에 진해선의 착공이 이루어졌으나, 이후 위탁이 해제되어 조선총독부 직영체제가 된 1926년에 완공되었다. 건설에 관한 상세한 내막은 확인되고 있지 않다.[1]

해방이후 창원시 지역의 기계공단 건설을 위해서 1981년에 노선의 이설이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상남역을 폐지하고 남창원역을 신설하였으며, 성주사역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이 이후에 역 건물의 개축 및 철거가 이루어졌으나, 시설물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2015년 2월 정기 여객 열차의 운행을 중지한 이후 현재에 이른다.

2021년 1월 26일, 창원시가 새로 추진할 창원 도시철도 노선 중 창원 도시철도 2호선을 진해선을 활용하여 건설하는 것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2]

연혁 편집

노선 특성 편집

이 노선의 열차 운행은 정기 운행하는 통근열차와, 관광 목적 등의 임시열차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2006년 11월 1일을 기하여 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 그대신 대구역진해역을 왕복하는 새마을호가 1일 왕복 2회 운행했다. KTX 환승수요로 인해 2007년 6월부터는 1일 왕복 8회 운행되었다.

그러나 2010년 12월 15일 마산역까지 KTX운행이 시작되자, 여객수요가 감소하여 2012년 11월 1일부터 새마을호를 폐지하고 마산~진해무궁화호가 하행 6회, 상행 7회 운행하였다. 2013년 7월 15일부터 1일 왕복 2회로 단축되었으며, 민영화를 검토했으나 철도노조의 반발로 무산되었다.[13] 결국 2015년 1월 31일을 끝으로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진해군항제 기간에만 여객열차를 하루에 약 4번씩 여객열차를 운행했으나, 2016년 진해군항제 임시 셔틀열차마저 운행중단되었다. 현재 전 역이 여객 영업을 하지 않는다.

진해선의 연선에는 현대로템의 철도차량 공장 등 각종 산업 및 특수 시설이 있다. 진해선은 이들 시설에 대한 화물 수송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진해선 지선 행암선(구 사비선) 화물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진해선 창원~신창원 간에는 전차선이 가설되어 있었으나, 이것은 현대로템 사에서 제작한 전기철도차량의 시험 및 회송 등의 용도로만 이루어져서 한국철도공사측의 본선 열차들은 이용하지 않았다. 경전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창원역 부근의 선로가 이전되면서 이들 전차선은 모두 철거된 상태이다.

과거 통근열차 운행이 이루어지던 당시 진해선 통해역은 영업거리표 상에 등재되어 있고, 여객 취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해군기지사령부 내에 위치하고 있어 군인이나 군무원 이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역이며 군항제 기간에는 일반인 출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근열차가 운행하였으나 일반 이용이 통제된 역으로 괴동선제철역이 있었으나, 제철역은 통해역과 달리 영업거리표에 등재되어 있지 않다. 2006년도에 이르러 현재 이런 특이한 영업태는 전부 폐지되었다.

진해선의 교통량 편집

201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진해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선구 선로용량 일반여객 컨테이너 일반화물 운행총계
창원~진해 34 2 4 8 14

차량 편집

이 외에 임시열차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등이 존재한다.

과거에 운행하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역 목록 편집

현재의 진해선 역 목록 및 영업거리(1981년 10월 5일 이후)는 다음과 같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창원 Changwon 昌原 0.0 0.0 경전선 경상남도 창원시
신창원 Sinchangwon 新昌原 4.8 4.8 구 용원역
남창원 Namchangwon 南昌原 4.4 9.2 구 상남역
성주사 Seongjusa 聖住寺 3.6 12.8
경화 Gyeonghwa 慶和 4.1 16.9
진해 Jinhae 鎭海 2.6 19.5
통해 Tonghae 統海 1.7 21.2 일반인 이용 불가

1978년 10월 5일 이전의 역 목록 및 영업 거리는 다음과 같다. 로마자 역명은 당시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른 것이며, 한자 역명은 해당 지역명의 한자 표기를 참조하여 기재한 것이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용원 Yongweon 龍院 4.7 4.7
상남 Sangnam 上南 4.4 9.1
성주사 Seongjusa 聖住寺 4.4 13.5
경화 Gyeonghwa 慶和 4.4 17.9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강찬구 기자 (2023년 2월 6일). “100년 전 창원 진해선 건설 일본군 투입 사진 첫 확인”. 《경남도민일보》. 
  2. 박새얀 기자 (2021년 1월 26일). “창원시, 미세먼지 없는 수소트램 도입 … 부산·진해도 연결”. 《아시아경제》. 
  3.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317호, 1926년 10월 18일
  4.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620호, 1960년 12월 31일
  5.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595호, 1960년 5월 9일
  6. 대한민국관보 건설부 고시 제50호, 1978년 3월 18일
  7.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73호, 1980년 12월 27일
  8.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44-45호, 1981년 10월 6일
  9.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7호, 1986년 4월 11일
  10. 박오주 기자 (2006년 11월 1일). “진해시, KTX 환승 새마을호 운행 환영식”. 《뉴시스》. 
  11. 이정훈 기자 (2015년 1월 31일). “오늘 마지막 운행…마산역~진해역 여객열차 역사 속으로”. 《연합뉴스》. 
  1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13. 최문종 기자 (2013년 6월 26일). “[앵커&리포트] ‘철도 지선’ 민영화…경쟁체제 도입”. 《KBS 9시뉴스》.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진해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