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Reprezentacja Polski w piłce nożnej)은 폴란드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폴란드 축구 협회에 속해 있다. 동유럽의 축구 강호로 손꼽히는 팀이며 1921년 11월 18일 헝가리를 상대로 첫 국제 경기를 치렀고 이 경기에서 0-1로 패했으며 현재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 |||
---|---|---|---|
별칭 | Biało-czerwoni (The White and Red) | ||
연맹 | 폴란드 축구 협회 (PZPN)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체스와프 미흐니에비치 | ||
주장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 ||
최다 출전자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118) | ||
최다 득점자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66) | ||
홈 구장 |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 | ||
FIFA 코드 | POL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16위 (2007년 9월) | ||
최저 순위 | 78위 (2013년 11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1년 12월 18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폴란드 키엘체; 2009년 4월 1일, 201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덴마크 코펜하겐; 1948년 6월 26일)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7회 (1938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3위 (1974년, 1982년)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4회 (2008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16년) |
메달 기록 | |||
---|---|---|---|
남자 축구 | |||
금 | 1972 뮌헨 | 축구 | |
은 | 1976 몬트리올 | 축구 | |
은 | 1992 바르셀로나 | 축구 |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38년 FIFA 월드컵을 시작으로 총 8번의 월드컵 본선에 올라 1974년과 1982년 대회에서 3위에 입상했고 1978년과 1986년 대회에서는 각각 8강과 16강에 이름을 올리면서 동유럽의 강호다운 면모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3번의 대회(2002년, 2006년, 2018년)에서는 모두 1승 2패의 초라한 성적을 거두며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1960년 첫 대회가 시작된 이래 폴란드는 2004년 대회까지 계속 유로 대회 예선에서 탈락의 쓴 맛을 보다가 UEFA 유로 2008에서 사상 첫 유로 대회 본선 진출에 성공했음에도 2008년과 2012년 대회 본선에서 3무 3패에 그치며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지만 통산 3번째 본선에 오른 2016년 대회에서 사상 첫 유로 대회 8강에 오르면서 1986년 월드컵 이후 30년만에 메이저 대회 토너먼트 진출을 이뤄냈고 UEFA 유로 2020 예선 G조에서도 8승 1무 1패·조 1위로 통산 4번째 본선 티켓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편집
성인대표팀과 U-23 대표팀을 통틀어 7번 출전하여 이 중 1972년 대회에서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고 1976년과 1992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토너먼트 방식으로만 진행되던 1936년 대회에서는 4강에 이름을 올렸다.
UEFA 네이션스리그편집
2018-19 리그 A편집
유럽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A에 편입된 폴란드는 UEFA 유로 2016 우승팀인 포르투갈, 월드컵 통산 4회 우승팀인 이탈리아와 함께 3조에 편성되었으나 4경기에서 2무 2패·조 최하위에 그쳤다. 그러나 차기 시즌 리그 방식 변경으로 인해 리그 B 강등은 이뤄지지 않았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 (본선)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불참 | ||||||||
1934년 | 기권 | ||||||||
1938년 | 1라운드 | 11위 | 1 | 0 | 0 | 1 | 5 | 6 | 0 |
1950년 | 불참 | ||||||||
1954년 | 기권 | ||||||||
1958년 | 예선 탈락 | ||||||||
1962년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4강 | 3위 | 7 | 6 | 0 | 1 | 16 | 5 | 18 |
1978년 | 8강 | 5위 | 6 | 3 | 1 | 2 | 6 | 6 | 10 |
1982년 | 4강 | 3위 | 7 | 3 | 3 | 1 | 11 | 5 | 12 |
1986년 | 16강 | 14위 | 4 | 1 | 1 | 2 | 1 | 7 | 4 |
1990년 | 예선 탈락 | ||||||||
1994년 | |||||||||
1998년 | |||||||||
2002년 | 조별리그 | 25위 | 3 | 1 | 0 | 2 | 3 | 7 | 3 |
2006년 | 조별리그 | 21위 | 3 | 1 | 0 | 2 | 2 | 4 | 3 |
2010년 | 예선 탈락 | ||||||||
2014년 | |||||||||
2018년 | 조별리그 | 25위 | 3 | 1 | 0 | 2 | 2 | 5 | 3 |
2022년 | 본선진출 | ||||||||
합계 | 8회 진출(8/21) | 4강(3위 2회) | 34 | 16 | 5 | 13 | 46 | 45 | 53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15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불참 | ||||||||
1934년[1] | 1 | 0 | 0 | 1 | 1 | 2 | 0 | ||
1938년[2] | 2 | 1 | 0 | 1 | 4 | 1 | 3 | ||
1950년 | 불참 | ||||||||
1954년 | 기권 | ||||||||
1958년[3] | 5 | 3 | 0 | 2 | 9 | 7 | 9 | ||
1962년[4] | 2 | 0 | 1 | 1 | 2 | 3 | 1 | ||
1966년[5] | 6 | 2 | 2 | 2 | 11 | 10 | 8 | ||
1970년[6] | 6 | 4 | 0 | 2 | 19 | 8 | 12 | ||
1974년[7] | 4 | 2 | 1 | 1 | 6 | 3 | 7 | ||
1978년[8] | 6 | 5 | 1 | 0 | 17 | 4 | 16 | ||
1982년[9] | 4 | 4 | 0 | 0 | 12 | 2 | 12 | ||
1986년[10] | 6 | 3 | 2 | 1 | 10 | 6 | 11 | ||
1990년[11] | 6 | 2 | 1 | 3 | 4 | 8 | 7 | ||
1994년[12] | 10 | 3 | 2 | 5 | 10 | 15 | 11 | ||
1998년[13] | 8 | 3 | 1 | 4 | 10 | 12 | 10 | ||
2002년[14] | 10 | 6 | 3 | 1 | 21 | 11 | 21 | ||
2006년[15] | 10 | 8 | 0 | 2 | 27 | 9 | 24 | ||
2010년[16] | 10 | 3 | 2 | 5 | 19 | 14 | 11 | ||
2014년[17] | 10 | 3 | 4 | 3 | 18 | 12 | 13 | ||
2018년 | 10 | 8 | 1 | 1 | 28 | 14 | 25 | ||
2022년 | 11 | 7 | 2 | 2 | 32 | 11 | 23 | ||
합계 | 127 | 67 | 23 | 37 | 260 | 152 | 224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38위 (유럽 20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0년 | 예선 탈락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 | |||||||||
1996년 | |||||||||
2000년 | |||||||||
2004년 | |||||||||
2008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1 | 2 | 1 | 4 | 1 |
2012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2 | 1 | 2 | 3 | 2 |
2016년 | 8강 | 7위 | 5 | 2 | 3 | 0 | 4 | 2 | 9 |
2020년 | 조별예선 | 21위 | 3 | 0 | 1 | 2 | 4 | 6 | 1 |
합계 | 3회 진출(4/16) | 8강(1회) | 14 | 2 | 7 | 5 | 11 | 15 | 13 |
순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18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60년 | 2 | 0 | 0 | 2 | 2 | 7 | 0 | ||
1964년 | 2 | 0 | 0 | 2 | 0 | 4 | 0 | ||
1968년 | 6 | 3 | 1 | 2 | 13 | 9 | 10 | ||
1972년 | 6 | 2 | 2 | 2 | 10 | 6 | 8 | ||
1976년 | 6 | 3 | 2 | 1 | 9 | 5 | 11 | ||
1980년 | 8 | 5 | 2 | 1 | 13 | 4 | 17 | ||
1984년 | 6 | 1 | 2 | 3 | 6 | 9 | 5 | ||
1988년 | 8 | 3 | 2 | 3 | 9 | 11 | 11 | ||
1992년 | 6 | 2 | 3 | 1 | 8 | 6 | 9 | ||
1996년 | 10 | 3 | 4 | 3 | 14 | 12 | 13 | ||
2000년 | 8 | 4 | 1 | 3 | 12 | 8 | 13 | ||
2004년 | 8 | 4 | 1 | 3 | 11 | 7 | 13 | ||
2008년 | 14 | 8 | 4 | 2 | 24 | 12 | 28 | ||
2012년 | 자동참가(개최국) | ||||||||
2016년 | 10 | 6 | 3 | 1 | 33 | 10 | 21 | ||
2020년 | 10 | 8 | 1 | 1 | 18 | 5 | 25 | ||
합계 | 110 | 52 | 28 | 30 | 182 | 115 | 184 | ||
순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0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20년 | 없음[18] | ||||||||
1924년 | 예비라운드 | 20위 | 1 | 0 | 0 | 1 | 0 | 5 | 0 |
1928년 | 불참 | ||||||||
1936년 | 4강 | 4위 | 4 | 2 | 0 | 2 | 11 | 10 | 6 |
1948년 | 불참 | ||||||||
1952년 | 1라운드 | 14위 | 2 | 1 | 0 | 1 | 2 | 3 | 3 |
1956년 | 불참 | ||||||||
1960년 | 조별리그 | 10위 | 3 | 1 | 0 | 2 | 7 | 5 | 3 |
1964년 | 진출 실패 | ||||||||
1968년 | |||||||||
1972년 | 금메달 | 우승 | 7 | 6 | 1 | 0 | 21 | 5 | 19 |
1976년 | 은메달 | 준우승 | 5 | 3 | 1 | 1 | 11 | 5 | 10 |
1980년 | 진출 실패 | ||||||||
1984년 | 불참[19] | ||||||||
1988년 | 진출 실패 | ||||||||
1992년[20] | 은메달 | 준우승 | 6 | 4 | 1 | 1 | 17 | 6 | 13 |
1996년[21] | 진출 실패 | ||||||||
2000년[22] | |||||||||
2004년[23] | |||||||||
2008년[24] | |||||||||
2012년[25] | |||||||||
2016년[26] | |||||||||
합계 | 7회 진출(7/21) | 금메달(1회) | 28 | 17 | 3 | 8 | 69 | 39 | 54 |
최근 대표팀 경기 결과와 일정편집
2021년편집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3월 25일 | 헝가리 | 3 – 3 | 폴란드 | 푸슈카시 아레나, 부다페스트 | ||
20:45 UTC+1 | 셜러이 6' 설러이 52' 오르반 78'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60' 피옹테크 61' 유지비아크 82' 레반도프스키 |
관중 수: 0명[27] 심판: 펠릭스 브리흐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3월 28일 | 폴란드 | 3 – 0 | 안도라 | 폴란드 육군 경기장, 바르샤바 | ||
20:45 UTC+2 | 레반도프스키 30', 55' 시비데르스키 88'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관중 수: 0명[27] 심판: 에릭 람브레흐츠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3월 31일 | 잉글랜드 | 2 – 1 | 폴란드 | 웸블리 스타디움, 런던 | ||
19:45 UTC+1 | 케인 19' (PK) 매과이어 85'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58' 모데르 | 관중 수: 0명[27]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 ||
UEFA 유로 2020-조별리그 E조 2021년 6월 14일 | 폴란드 | 1 - 2 | 슬로바키아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 ||
19:00 MSK/UTC+3 | 리네티 46' | 리포트 | 슈쳉스니 18′ (OG) 슈크리니아르 69' |
관중 수: 12,862명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 ||
UEFA 유로 2020-조별리그 E조 2021년 6월 19일 | 스페인 | 1 - 1 | 폴란드 | 에스타디오 데 라 카르투하, 세비야 | ||
21:00 CEST/UTC+2 | 모라타 25' | 리포트 | 레반도프스키 54' | 관중 수: 11,742명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 ||
UEFA 유로 2020-조별리그 E조 2021년 6월 23일 | 스웨덴 | 3 - 2 | 폴란드 |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 ||
19:00 MSK/UTC+3 | 포르스베리 2', 58' 클라에손 90+4' |
리포트 | 레반도프스키 61', 83' | 관중 수: 14,252명 심판: 마이클 올리버,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9월 2일 | 폴란드 | 4 - 1 | 알바니아 |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 바르샤바 | ||
20:45 UTC+2 | 레반도프스키 12' 북사 44' 크리호비아크 55' 리네티 89'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25' 치칼레시 | 관중 수: 38,254명 심판: 마우리치오 마리아니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9월 5일 | 산마리노 | 1 - 7 | 폴란드 | 산마리노 스타디움, 세라발레 | ||
20:45 UTC+2 | 니콜라 난니 48'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4', 21'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16' 카롤 스비데르스키 44' 카롤 리네티 67', 90+2', 90+4' 아담 북사 |
관중 수: 500명 심판: 마티아스 게스트라니우스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9월 8일 | 폴란드 | 1 - 1 | 잉글랜드 |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 바르샤바 | ||
20:45 UTC+2 | 다미안 시만스키 90+2'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72' 해리 케인 | 관중 수: 56,212명 심판: 다니엘 지베르트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10월 9일 | 폴란드 | 5 - 0 | 산마리노 |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 바르샤바 | ||
20:45 UTC+2 | 카롤 시비데르스키 10' 크리스티안 브롤리 20′ (OG) 토마슈 켕지오라 50' 아담 북사 84' 크시슈토프 피옹텍 90+1'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관중 수: 56,128명 심판: 프란 요비치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10월 12일 | 알바니아 | 0 - 1 | 폴란드 | 아레나 콤버타레, 티라나 | ||
20:45 UTC+2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77' 카롤 시비데르스키 | 관중 수: 21,000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11월 12일 | 안도라 | 1 - 4 | 폴란드 | 에스타디 나시우날, 안도라라벨랴 | ||
20:45 UTC+1 | 조안 세르보스 모로 45'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5', 73'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11' 카밀 유지비악 45+2' 아르카디우시 밀릭 |
관중 수: 1049명 심판: 존 비튼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I조 2021년 11월 15일 | 폴란드 | 1 - 2 | 헝가리 |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 바르샤바 | ||
20:45 UTC+1 | 카롤 스비데르스키 61' | 리포트 (FIFA) 리포트 (UEFA) |
37' 언드라시 셰페르 79' 다니엘 가즈닥 |
관중 수: 56,197명 심판: 티아구 마르틴스 | ||
2022년편집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플레이오프 준결승전 2022년 3월 24일 | 러시아 | 부전승(몰수승) | 폴란드 | |||
| ||||||
친선경기 2022년 3월 24일 | 스코틀랜드 | 1 - 1 | 폴란드 |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 ||
19:45 UTC±0 | 티어니 68' | 피옹테크 90+4' (PK) | 경기장: 햄던 파크 심판: 로버트 헤네시 | |||
2022년 FIFA 월드컵 유럽 플레이오프 결승전 2022년 3월 29일 | 폴란드 | 2 - 0 | 스웨덴 | 폴란드, 호주프 | ||
20:45 UTC+2 | 레반도프스키 50' (PK) 지엘린스키 72' |
경기장: 실롱스키 경기장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 ||||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6월 1일 | 폴란드 | 2 - 1 | 웨일스 | 폴란드, 브로츠와프 | ||
20:45 CEST (UTC+2) | 카민스키 72' 시비데르스키 85' |
J. 윌리엄스 52' | 경기장: 브로츠와프 시립경기장 관중 수: 35,214 심판: 라데 오브레노비치 | |||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6월 8일 | 벨기에 | 6 - 1 | 폴란드 | 벨기에, 브뤼셀 | ||
20:45 CEST (UTC+2) | 위첼 42' 더 브라위너 59' 트로사르 73', 80' 덴동커르 84' 오펜다 90+3' |
레반도프스키 28' | 경기장: 보두앵 국왕 경기장 관중 수: 27,409 심판: 이반 크루즐리아크 | |||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6월 11일 | 네덜란드 | 2 - 2 | 폴란드 | 네덜란드, 로테르담 | ||
20:45 CEST (UTC+2) | 클라선 51' 둠프리스 54' |
캐시 18' 지엘린스키 49' |
경기장: 스타디온 페예노르트 관중 수: 39,382 심판: 할릴 우무트 멜레르 | |||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6월 14일 | 폴란드 | 0 - 1 | 벨기에 | 폴란드, 바르샤바 | ||
20:45 CEST (UTC+2) | 바추아이 16' | 경기장: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 관중 수: 56,803 심판: 이르판 펠리토 | ||||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9월 22일 | 폴란드 | v | 네덜란드 | 폴란드, 바르샤바 | ||
20:45 CEST (UTC+2) | 경기장: 바르샤바 국립 경기장 | |||||
UEFA 네이션스리그 2022년 9월 25일 | 웨일스 | v | 폴란드 | 웨일스, 카디프 | ||
20:45 CEST (UTC+2) | 경기장: 카디프 시티 스타디움 | |||||
2022년 FIFA 월드컵 2022년 11월 22일 | 멕시코 | v | 폴란드 | 카타르, 도하 | ||
18:00 (UTC+3) | 경기장: 스타디움 974 | |||||
2022년 FIFA 월드컵 2022년 11월 26일 | 폴란드 | v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알라이얀 | ||
15:00 (UTC+3) | 경기장: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
2022년 FIFA 월드컵 2022년 11월 30일 | 폴란드 | v | 아르헨티나 | 카타르, 도하 | ||
21:00 (UTC+3) | 경기장: 스타디움 974 | |||||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은 UEFA 유로 2020에 출전하는 최종 26인 명단이다.
출장 수와 골 수 기준: 2021년 6월 1일 러시아전 이후
|
각주편집
- ↑ 체코슬로바키아와 1차전 홈에서 1:2로 패한 후 2차전을 치르지 않고 기권했다.
- ↑ 유고슬라비아와 1승 1패로 같았지만 골득실에 앞서 본선에 올라갔다.
- ↑ 소련과 3승 1패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 끝에 0:2로 지고 탈락했다. 골득실에서 소련에게 9점이나 뒤졌으므로 지금이었더라도 소련이 진출했을 것이다.
- ↑ 유고슬라비아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이탈리아에 본선 진출권을 내주고, 스코틀랜드에게 순위가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 ↑ 불가리아에 승점 1점차로 밀려 아깝게 본선티켓을 내주었다.
- ↑ 6회연속 진출한 잉글랜드를 누르고 본선에 올라가서 4강에까지 오른다.
- ↑ 포르투갈을 누르고 본선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역예선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 ↑ 동독, 몰타 단 세 팀만 있는 꿀조에 들어가 전승으로 본선에 올라갔다.
- ↑ 벨기에에 다득점에 앞서며 1위로 본선에 올라갔다.
- ↑ 스웨덴과 잉글랜드에 밀려 조 3위로 진출에 실패, 4회 연속 본선행으로 기록을 마감한다.
- ↑ 네덜란드, 잉글랜드와 같은 조에 속해 4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북구의 약팀이라 불리던 노르웨이가 잉글랜드를 떨어뜨리고 본선에 오르는 등 조 편성이 상당히 좋지 않았다.
- ↑ 잉글랜드, 이탈리아와 같은 조에 속해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 편성 운이 나빴다.
- ↑ 우크라이나,벨로루시,노르웨이,웨일즈,아르메니아와 같은 조에 속해 조 1위를 차지하고 16년만의 본선에 올랐다.
- ↑ 잉글랜드를 제외한 모든 팀에게 전승을 거두고 조 2위를 차지, 조 2위 국가 중 승점이 가장 높아 본선에 직행했다.
- ↑ 산마리노를 10:0으로 이기는 기록을 세웠지만 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체코,북아일랜드에 연이어 밀려 5위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 ↑ 잉글랜드,우크라이나,몬테네그로에 밀려 조 4위를 차지하면서 또다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폴란드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적성국인 미국에서 경기가 열려 폴란드를 비롯한 공산 진영 대다수 국가들이 불참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가 나 다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무관중
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