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어: منتخب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لكرة القدم)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연맹에서 관리한다. 중동의 강호로 손꼽히는 팀들 중 하나로, 1957년 1월 18일 레바논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png
별칭The Green Falconst
연맹사우디아라비아 축구 연맹
대륙AFC
주장살만 알파라지
최다 출전자모하메드 알데아예아 (172)
최다 득점자마제드 압둘라 (71)
FIFA 코드KSA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21위 (2004년 7월)
최저 순위126위 (2012년 12월)
첫 국제 경기 출전
Flag of Saudi Arabia (1938–1973).svg 사우디아라비아 1 - 1 레바논 Flag of Lebanon.svg
(레바논 베이루트; 1957년 1월 18일)
최다 점수차 승리
Flag of East Timor.svg 동티모르 0 - 10 사우디아라비아 Flag of Saudi Arabia.svg
(동티모르 딜리; 2015년 11월 17일,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다 점수차 패배
Flag of Germany.svg 독일 8 - 0 사우디아라비아 Flag of Saudi Arabia (1938–1973).svg
(일본 삿포로; 2002년 6월 1일, 2002 한일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6회 (199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16강 (1994년)
AFC 아시안컵
출전 횟수10회 (198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84년, 1988년, 1996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4회 (199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준우승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월드컵 본선에는 6회 출전하여 이 가운데 1994년 대회에서 사이드 알오와이란을 앞세워 중동 국가로는 처음이자 아랍권 국가로는 1986년 모로코에 이어 역대 2번째로 16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2002년 대회 본선에서는 이 대회 준우승국인 독일에 0-8로 대패를 당하는 등 3전 전패·E조 최하위 및 전체 국가 최하위로 밀려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맛보았고, 이전 대회인 1998년과 이후 대회인 2006년 대회에서는 3전 전패는 면했지만 1무 2패에 그쳐 역시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으며 특히 1998년에는 대한민국처럼 조별리그 도중 감독이 경질되는 비극을 겪었다. 이후 2번의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2010년, 2014년)에서는 모두 탈락하면서 본선에 오르지 못했으며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6승 1무 3패로 일본에 이어 B조 2위로 12년 만에 통산 5번째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물론 본선 A조 개막전에서 개최국 러시아에 0-5로 대패를 당했고 우루과이와의 2차전에서도 0-1로 패하면서 또 다시 조별리그 탈락의 쓴잔을 마셨지만 아랍권 더비로 열린 이집트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모하메드 살라에게 선제골을 허용한 이후 2-1로 역전승을 거두며 1994년 대회에서 모로코와 벨기에를 꺾은 이후 무려 24년 만에 월드컵 통산 2번째 승리를 안으면서 1승 2패 조 3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그 후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통해 6번째 본선에 출전했고 2022년 FIFA 월드컵 C조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거함 아르헨티나를 2-1로 제압하는 대이변을 일으켰고 비록 1승 2패·조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멕시코의 8회 연속 16강 진출을 가로막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AFC 아시안컵편집

아시안컵 본선에는 10번 출전했고 이 중 6번 결승에 진출하여 3번의 대회(1984년, 1988년, 1996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3번의 대회(1992년, 2000년, 2007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중동의 강호다운 면모를 보여주었으나 최근 2번의 대회(2011년, 2015년)에서는 조별리그 탈락의 쓴 맛을 봤고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 머무는 등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이면서 아시안컵 최다 우승국이라는 타이틀도 일본에게 넘겨주었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4번 출전하여 이 중 자국에서 열린 1992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1999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 특히 1992년 대회는 사우디아라비아가 FIFA 주관 대회 중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둔 대회로 남아 있다.

아시안 게임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5번 참가하여 1986년 대회에서 개최국인 대한민국에 패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고 1982년 대회에서는 북한이 준결승에서 쿠웨이트에 2-3으로 석패한 이후 태국 국적 심판을 폭행하는 사건이 벌어졌고 이로 인해 실격 처리되면서 자동적으로 동메달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U-23 대표팀으로는 2번(2014년, 2018년) 출전하여 2번의 대회에서 모두 8강에 이름을 올렸으나 메달권과는 거리가 멀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걸프컵에는 22번 출전하여 3번의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준우승도 7번 차지했으며 아랍 네이션스컵에는 6번 출전하여 2번의 우승을 차지했고 1번의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팬아랍 게임에는 8번 출전하여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2번 출전했지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그리고 아프로-아시안 네이션스컵에서는 2번의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2005년 이슬라믹 솔리대리티 경기 대회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최근 경기 결과편집

  승   무   패

2022년편집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없음[1] 없음[2]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불참 불참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예선 탈락 4 1 0 3 3 7 3
  1982년 10 4 1 5 9 16 13
  1986년 2 0 1 1 0 1 1
  1990년 9 4 3 2 11 9 15
  1994년 16강 12위 4 2 0 2 5 6 6 11 6 5 0 28 7 23
  1998년 조별리그 28위 3 0 1 2 2 7 1 14 9 3 2 26 7 30
   2002년 조별리그 32위 3 0 0 3 0 12 0 14 11 2 1 47 8 35
  2006년 조별리그 28위 3 0 1 2 2 7 1 12 10 2 0 24 2 32
  2010년 예선 탈락 16 8 5 3 25 15 29
  2014년 8 3 3 2 14 7 12
  2018년 조별리그 26위 3 1 0 2 2 7 3 18 12 3 3 45 14 39
  2022년 조별리그 25위 3 1 0 2 3 5 3 18 13 4 1 34 10 43
합계 6회 진출(6/22) 16강(1회) 19 4 2 13 14 44 14 118 68 28 22 232 93 232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44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22위 (아시아 4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준우승 2위 2 1 0 1 4 3 3
  1995년 조별리그 5위 2 0 0 2 0 4 0
  1997년 조별리그 7위 3 1 0 2 1 8 3
  1999년 4강 4위 5 1 1 3 8 16 4
   2001년 진출 실패
  2003년
  2005년
  2009년
  2013년
  2017년
합계 4회 진출(4/10) 준우승(1회) 12 3 1 8 13 31 10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4위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독립 이전
  1904년
  1908년
  1912년
  1920년
  1924년
  1928년 불참
  1936년
  1948년
  1952년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조별리그 16위 3 0 0 3 1 10 0
  1988년 진출 실패
합계 1회 진출(1/20) 조별리그(1회) 3 0 0 3 1 10 0

지역대회 기록편집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비회원국 비회원국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예선 통과 후 기권 6 3 1 2 12 5 10
  1980년 기권 기권
  1984년 우승 1위 6 3 3 0 7 3 12 4 4 0 0 19 0 12
  1988년 우승 1위 6 3 3 0 5 1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1992년 준우승 2위 5 2 2 1 8 3 8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1996년 우승 1위 6 3 2 1 11 6 11 4 4 0 0 10 0 12
  2000년 준우승 2위 6 3 1 2 11 8 10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2004년 조별리그 13위 3 0 1 2 3 5 1 6 6 0 0 31 1 18
     2007년 준우승 2위 6 4 1 1 12 6 13 6 5 0 1 21 4 15
  2011년 조별리그 15위 3 0 0 3 1 8 0 자동참가(전 대회 준우승)
  2015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5 5 3 6 5 1 0 9 3 16
  2019년 16강 12위 4 2 0 2 6 3 6 8 6 2 0 28 4 20
  2023년 본선 진출 8 6 2 0 22 4 20
합계 10회 진출(10/17) 우승(3회) 48 21 13 14 69 48 76 40 33 4 3 130 17 103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5위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불참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조별리그 10위 3 0 2 1 3 4 2
  1982년[3] 동메달 3위 5 2 2 1 5 4 8
  1986년 은메달 준우승 6 3 2 1 9 6 11
  1990년 8강 5위 3 2 1 0 6 0 7
  1994년 8강 5위 5 3 0 2 9 10 9
  1998년 불참
합계 5회 진출(5/17) 준우승(1회) 22 10 7 5 32 24 37

UAFA 걸프컵편집

걸프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70년 결선리그 3위 3 0 2 1 2 4 2
  1972년 결선리그 준우승 3 2 1 0 10 2 7
  1974년 준우승 2위 4 3 0 1 9 6 9
  1976년 결선리그 5위 6 2 0 4 8 14 6
  1979년 결선리그 3위 6 3 2 1 14 4 11
  1982년 결선리그 4위 6[4] 2 2 2 7 5 8
  1984년 결선리그 3위 6 3 1 2 9 8 10
  1986년 결선리그 3위 6 3 0 3 9 9 9
  1988년 결선리그 3위 6 2 3 1 5 4 9
  1990년 기권
  1992년 결선리그 3위 5 3 0 2 6 4 9
  1994년 결선리그 우승 5 4 1 0 10 4 13
  1996년 결선리그 3위 5 2 2 1 8 6 8
  1998년 결선리그 준우승 5 3 2 0 5 2 11
  2002년 결선리그 우승 5 4 1 0 10 3 13
  2003년 결선리그 우승 6 4 2 0 8 2 14
  2004년 예선탈락 5위 3 1 0 2 4 5 3
  2007년 4강 3위 4 2 1 1 4 3 7
  2009년 준우승 2위 5 3 2 0 10 0 11
  2010년 준우승 2위 5 2 2 1 6 2 8
  2013년 예선탈락 5위 3 1 0 2 2 3 3
  2014년 준우승 2위 5 3 1 1 9 5 10
  2017년 본선 진출
합계 22회 출전(22/23) 우승(3회) 102 52 25 25 155 95 181

UAFA 아랍 네이션스컵편집

아랍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63년 예선 탈락
  1964년
  1966년
  1985년 4강 3위 4 2 1 1 7 3 7
  1988년 조별리그 10위 4 0 2 2 1 4 2
  1992년 준우승 2위 4 2 1 1 7 5 7
  1998년 우승 1위 4 4 0 0 12 3 12
  2002년 우승 1위 6 5 1 0 11 3 16
  2012년 4강 4위 4 1 1 2 6 5 4
합계 6회 출전(6/9) 우승(2회) 26 14 6 6 44 23 48

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서아시안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2000년 불참
  2002년
  2004년
  2007년
  2008년
  2010년
  2012년 예선탈락 7위 3 1 1 1 1 1 4
  2014년 예선탈락 9위 2 0 1 1 1 4 1
  2017년 불참
합계 2회 출전(2/9) 예선탈락(2회) 5 1 2 2 2 5 5

판 아랍 게임편집

판 아랍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3년 불참
  1957년 조별리그 5위 3 1 1 1 4 3 4
  1961년 결선리그 5위 5 1 0 4 4 38 3
  1965년 불참
  1976년 은메달 준우승 6 3 1 2 9 4 10
  1985년 4강 4위 4 3 0 1 6 3 9
  1992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7 5 7
  1997년 불참
  1999년 조별리그 9위 2 0 1 1 2 3 1
  2004년 축구 종목 제외
  2007년 동메달 3위 4 1 1 2 5 5 4
  2011년 조별리그 8위 2 0 1 1 0 2 1
합계 8회 출전(8/11) 은메달(2회) 30 11 6 13 37 63 39

주요 선수편집

각주편집

  1. 사우디아라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2. 사우디아라비아 축구협회 창립 이전
  3. 4강전에서 이라크에 0:1로 패한 후 3·4위전에서 북한과 경기하기로 되어있었는데, 북한 팀이 심판을 폭행하여 실격되고 2년간 국제대회 출전 정지를 받아, 자동으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4. 이라크(중도기권) 경기 포함
내용주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Quarantine restrictions in China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