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갑수 (언어철학자)

(한갑수 (1913년)에서 넘어옴)

한갑수(한국 한자: 韓甲洙, 1913년 6월 26일~2004년 11월 21일)는 대한민국의 국어국문·한글학자 겸 시인이고, 대학 교수영문학·언어철학이자, 교육인이다.

한갑수
학자 정보
출생 1913년 6월 26일(1913-06-26)
일제강점기 경기도 가평군 가평면
사망 2004년 11월 21일(2004-11-21)(91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자택
직업 철학자국어국문학
한글학자 겸 대학 교수
언어 한국어, 일본어, 영어
국적 대한민국
학력 미국 유니언 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경력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명예교수
숭실대학교 철학과 석좌교수
상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좌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석좌교수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석좌교수
전쟁에 참전한 예비역 공군 소령 출신
종교 개신교
활동기간 1941년~2004년
학파 철학, 언어학, 국어국문학
부모 한홍석(부)
배우자 부인 있었음(1994년 10월 하세)
자녀 한상대(장남), 한상영(차남)
친지 박화서(장자부), 한오람(친장손자)
웹사이트 한갑수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조선어학회 부이사장 겸 이사장 직무대리, 한글 학회 이사장, 한글재단 초대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겸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지냈다.[주 1] 그의 본관(관향)은 청주(淸州), (號)는 눈메·설산(雪山)·왈례(曰禮)·목원(牧原)이다. 아울러 그는 동시대의 동료 학술 교수였었던 안병욱(安秉煜)과는 생일이 같다.

그는 1913년 6월 26일(1913-06-26), 경기도 가평군 가평면에서 태어났으며, 만12세 때에 경기가평보통학교를 거쳐, 만18세 때에 전라북도 고창군전북고창고등보통학교졸업하였으며, 1933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에 유학하여, 1938년 일본 도쿄 메이지 대학법학부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41년 일본 도쿄 주오 음악전문학교 성악학과에서 테너 실기의 전공으로,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41년 9월, 경성상명실천여자고등보통학교 음악 교사(~1942년 3월)를 거쳐, 1942년 3월, 경성상명여자기예학원 공예학 교수(~1942년 9월)를 지냈으며, 1942년 12월 17일 (1942-12-17)(임오년 강제 징병)부터 1945년 8월 15일 (1945-08-15)(을유년 해방 목도)까지 일본 육군 항공 탑승 사병 계급의 신분으로 강제 입대 및 복무하여, 일본 제국 육군 항공 탑승 사병 병장 말년기의 시절이던 1945년 8월 15일 (1945-08-15)일본나고야(名古屋)에서 광복(을유 해방)을 목도하였고, 1946년 1월 1일 (1946-01-01), 귀국선(歸國船)을 타고 미군정 시대경상남도(慶尙南道)의 통영(統營)의 충무항(忠武港)으로 귀거하여, 1946년 9월, 서울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강사 등을 거쳐, 이듬해 1947년 3월 동 음악대학 성악학과 교수, 1948년 조선어학회 부이사장(1949년 동 이사장 직무대리 겸직)을 잠시 역임하였다. 1949년 10월, 공군사관학교에 특2기 생도 입교 이후 이듬해 1950년 3월, 공사의 특2기 생도로 입교한지도 약5개월여만에 장교(공군 소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에도 참전한 그는, 같은해(1950년) 11월, 공군 중위로 진급, 이듬해(1951년 3월)에 육군보병학교 타군사분야위탁교육대상과정훈련학반을 수료한 후 동년(1951년) 7월, 대위로 진급, 이듬해(1952년) 8월, 소령으로 진급을 하였고, 역시 당시 두 동료 공군 소령 장극[주 2]·최형섭[주 3]·당시 두 공군 중위 안세희[주 4]·이인수[주 5] 등과 함께 전쟁에 참전하며, 향후 1957년까지 공군 장교로 7년 동안 군복무중이던, 1953년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졸업하여, 같은해 1953년 미국 동성 무공 훈장·대한민국 을지무공훈장 등을 받았고, 이듬해(1954년)에는 미국 공군참모대학교졸업하였으며, 1956년 2월, 국방대학교 1기(행정학사)를 나왔고, 당시 공군 대령 박충훈[주 6]·역시 당시 공군 대령 윤천주[주 7]·당시 공군 중령 현승종[주 8] 등과 함께 공군본부 정훈국에서 장교로 복무하다가 1957년 7월 1일 월요일, 금성충무무공훈장을 받음과 동시에 일주일 후 1957년 7월 8일(월요일)을 기하여, 공군 소령으로 예편(전역)하였다. 1957년 8월 6일, 이기붕 당시 국회의장의 비서실 실장(~1958년 6월 30일 (1958-06-30))을 거쳐, 1958년 8월 5일, 곽상훈 당시 민의원 의장의 비서실 실장(~1961년 5월 16일 (1961-05-16))·1965년 3월, 대한일보 전무이사 등을 거쳐, 같은 1965년 8월, 5·16 민족상 재단 이사장·1975년 8월, 대한 민속음악 학회 회장·1982년 8월, 국가 국화 제정 추진위원회 부위원장·1989년 8월, 세계 서예가 연맹 총재 등을 역임하였다. 1972년·1975년 각각 국민투표지도 계몽연설회 연사·국민투표 계몽담당자 등으로 활동하며 유신헌법 찬성을 독려하였다.

미국 동성 무공 훈장·대한민국 을지무공훈장·대한민국 금성충무무공훈장[주 9]·제5회 외솔상·제1회 방송문화상[주 10] 등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원본 훈민정음 풀이》, 《태극기 해설》 등이 있으며, 대표 감수를 담당한 사전으로는 《바른 말 고운 말 사전》, 《국어대사전》 등이 있다.

2004년 11월 21일, 노환으로 사망했다. 향년 92세.

학력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앞서 언급한 것처럼 그는, 조선어학회 부이사장 겸 이사장 직무대리, 한양대학교 초빙교수 겸 상명여자대학교 객원교수, 연세대학교 외부강사 겸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한글 학회 이사장, 한글재단 초대 이사장,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겸 숭실대학교 석좌교수,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겸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 충북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지냈다.
  2. 훗날 공군 소령 예편 후 인천대학교 명예교수 등을 역임.
  3. 훗날 공군 소령 예편 후 과학기술처 장관·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등을 역임.
  4. 훗날 공군 중위 예편 후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겸 충북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역임.
  5. 훗날 공군 대위 예편 후 명지대학교 명예교수 등을 역임.
  6. 훗날 공군 소장 예편 후 상공부 장관·국무총리 서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 등을 역임.
  7. 훗날 공군 대령 예편 후 문교부 장관·부산대학교 교수·경북대학교 명예교수 등을 역임.
  8. 훗날 공군 중령 예편 후 고려대학교 교수·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한림대학교 석좌교수·국무총리 등을 역임.
  9. 셋 모두 대한민국 공군 장교 시절에 받은 서훈.
  10. 1957년 7월 8일 월요일,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소령 예편한 이후 받은 여타 상훈.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