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신문
한국의 신문은 1883년(고종 20년) 10월 31일에 창간된 순한문의 《한성순보(漢城旬報)》로부터 비롯되었다.[1] 한국의 개화운동은 서구문물을 직접 받아들여 우리 것으로 소화한 것이 아니라, 중국, 특히 일본이 일단 수입하여 그들의 것으로 번역, 소화한 것을 다시 수입한 중역적(重譯的) 근대화의 유형으로 굳어졌다. 이러한 중역적 근대화 과정을 배경으로 하여 나타난 한국근대신문의 성격적 원형은 일본으로부터 들여온 '번역적 근대신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최초의 근대신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 《한성순보(漢城旬報)》와 얼마 후 제호를 바꿔 발행한 《한성주보(漢城週報)》는 기획·발행·주재(主宰)의 추천으로부터 공원(工員)·기자의 알선에 이르기까지 일본인 후쿠자와(福澤論吉)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하에서 출발한 한국 근대신문의 조면(構造面), 다시 말해서 성격적 원형은 일본을 모델로 한 번역적 근대신문으로 정착화되었다.[2]
발전 과정
편집전근대신문
편집한국에서는 조선 중엽에 이미 '조보(朝報)'와 '기별지(奇別紙)'를 조정에서 필사, 혹은 인쇄하여 각 기관에 돌리는 일종의 관보(官報)가 있었고 또 이 조보를 민간인이 맡아 발행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정치적·사회적 사정은 이 조보가 본격적인 신문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해주지 못하여 일시적인 것으로 끝나고 19세기 말 개화기(開化期)에 이르러서야 근대적 신문이 등장하였다.[3]
근대신문
편집《한성순보》는 한국 최초의 근대적 신문이라 할 수 있다. 《한성순보》는 국한문을 혼용하면서 주보(週報)로 발전하여 민간인 구독자까지 갖게 되었지만 관보(官報)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 채 1888년 박문국(博文局)의 폐지와 더불어 사라졌다.[1]
한국 근대신문의 효시는 1896년 4월 7일에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지인 《독립신문》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것은 순국문과 영문의 격일간(隔日刊)으로서 한국에서 최초로 광고를 다룬 신문이었고 또 최초로 외국인에게 국내여론을 알린 신문이었다. 또, 독립신문은 그보다 2년 뒤 창간된 《매일신문》 및 《황성신문》과 더불어 개화사상을 고취시키고 외세침투의 배격과 민족의 자주독립을 부르짖으면서 독립협회운동을 성원해 주었다.[1]
경술국치로 총독부기관지를 제외한 이들 민간신문은 모두 소멸되고, 이때부터 1920년 《조선일보》·《동아일보》·《시사신문》의 3개지가 나타날 때까지는 한국 언론 암흑기 중의 암흑기로도 불린다. 특히 동아·조선 양대신문은 창간당시부터 1940년 8월 10일 일제의 탄압으로 강제 폐간당할 때까지 잇따른 정간·압수·언론인 투옥 등 온갖 시련을 참아가면서 민족의 대변기관으로 일제식민정책에 항거하였다.[1]
대한민국의 신문
편집광복 이후
편집광복 후 복간된 《조선일보》·《동아일보》의 양대신문은 당시 한창 성행되었던 좌익계 신문들의 맹렬한 선동과 대결하면서 신탁통치안을 반대하여 자유민주주의의 수호에 크게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유당 독재하에서는 그들의 부정과 비행폭로를 서슴지 않고 민권투쟁의 선봉에 서서 줄기차게 투쟁하면서, 초창기부터 1960년대까지의 한국 신문은 정치지향적 정론신문으로 발전해 왔다.[1] 1961년 군사정권으로 언론 통제정책 발행의 자유가 제한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유신헌법 통치,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태,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종합지는 6개사, 경제지는 2개사, 영자지는 1개사, 지방지는 1도 1사 원칙에 따라 통합되었다.
1962년 8월에 단간제가 실시된 이후, 주 48면(62년 10월), 40면(64년 2월), 36면(64년 6월), 32면(64년 8월), 28면(65년 11월), 48면(70년 3월)으로 유지되어 오다가, 1981년에 주 72면으로 발행체제를 증면하였다.
6·29 선언 이후
편집1980년말 오랫동안 언론의 활동을 규제해 왔던 언론기본법이 폐지되면서 대한민국의 신문은 새롭게 변모하였다. 언론통폐합으로 폐간되었던 신문들이 일부 복간되었으며 우후죽순처럼 창간되는 신문이 늘어났다.[4] 또한, 과거 타성화되다시피 했던 외적인 압력에서 벗어나 정치적 민주화 물결과 함께 언론도 그 본연의 환경감시기능과 비판기능을 크게 회복하였고 회복을 위한 의지도 두드러졌다.[1]
1987년에는 문화공보부에 약 80개의 일간신문이 등록되어 있었고, 중앙의 경제·스포츠·영자지를 포함한 조·석간지의 발행부수는 약 1,268만 부로 추산되었다. 1987년의 6·29 선언은 언론이 지금까지의 권위주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율경쟁시대에 진입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함축하고 있다. 6·29선언 이후에 정치 상황의 변화, 경제 성장, 그리고 서울올림픽 개최 등을 통해서 언론은 이전의 여러 가지 통제에서 점진적으로 벗어나 과거에는 금기시 되었던 영역을 과감하게 보도할 수 있게 되었다. 1987년 11월에는 '언론기본법'이 폐지되었고 이에 앞서 8월부터는 언론통폐합 때에 폐기되었던 신문사의 주재기자 제도가 부분적으로 부활되었다. 9월부터는 6년만에 신문의 증면이 이루어졌고 10월에는 기독교방송이 뉴스방송을 다시 시작했다.[1]
제6공화국의 출범을 전후해서 신문, 잡지 등 정기간행물의 숫자는 급격히 늘어났다. 자유화, 자율화의 물결을 타고 다양한 종류의 신문과 잡지들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6·29선언 이후 언론정책의 변화가 있자 1980년 언론통폐합 때에 폐간된 신문과 잡지 등의 복간과 신규 언론기관의 설립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했다. 서울에서는 《한겨레신문》(1988. 5. 15), 《세계일보》(1989. 2. 10), 《국민일보》(1988. 12. 10) 등의 종합일간지가 새로 창간되었고, 경제지를 비롯한 특수지, 그리고 지방에서는 언론통폐합 때에 폐간된 신문들의 복간과 신규등록 신문의 창간 등이 활발했다. 지방지 외에 서울의 지역과 지방의 군단위 '지역 신문'의 창간도 늘어나서 6공 이후의 특이한 언론현상으로 지적되었다.[1]
전국적으로는 1987년 6·29선언 때에 32종이던 일간지가 1992년 6월 말에 117개로 일간신문이 92개, 기타 일간이 25개로 5년만에 3배 가까이 늘었다. 주간은 1987년 6월 29일에 201종이던 것이 1,561개(격주 포함:유가지 1,092)로 약 7배(1,360종)가 증가했다. 월간은 2,745개(유가지 1,518), 격월간 641개(유가지 123), 계간 938개(유가지 252), 반년간 220개(유가지 52), 연간 158개(유가지 113)으로 모두 6,380개(유가지 3,271)이다. 이는 1987년 6·29 이전의 2,236종과 비교하면 무려 185%인 4,144종이 늘어난 것이다.[1]
언론기관의 증가에 따라 언론 인구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980년대의 언론인구는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여오다가, 1988년 4월 1일부터 하루당 지면수 12면에서 16면 체제되었다가, 1990년대 이후에 신문 발행의 자유화와 더불어 급격히 늘어나자, 증면 체제에 따라 휴일판 및 주말 타블로이드 부록 발행에 이르고 있다.
하루당 발행 면수는 16면에서 48면 이상으로 게재하고 있으나, 광고 지면을 늘어나는 추세가 종이량 수요의 중대한 자원 낭비로 우려도 많았으며, 독자층이 신문을 넣지 말라는 것이다.
코로나19 시대 영향으로 신문 지국에 들어오는 60% 정도는 배달이 되고, 40% 정도는 폐기 처분의 불필요하게 되어서 한국산 신문의 동남아시아 시장 열풍으로 수출되었다.
신문 구독률을 따르면 종이 신문량이 1996년에 69.3%이었으나, 21세기 들어서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등장하는데, 2014년과 2015년 14.3%, 2019년 6.4%으로 크게 떨어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신문
편집조선노동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이 있으며, 나머지 민주조선, 청년전위, 평양신문 등이 있다. 원칙적으로 신문 지면수의 겉지 4면과 속지 2면 등의 6면 발행체제를 사용하고 있다. 가로쓰기 한글 전용이며, 토막뉴스나 상업 광고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