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산강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2년 4월 1일) |

형산강(兄山江)은 대한민국의 동해로 흐르는 강 중 가장 긴 강으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도리 인내산에서 발원한다.[2][3]
형산강 | |
兄山江 | |
(지리 유형: 강) | |
경주 동대교에서 본 형산강
| |
나라 | 대한민국 |
---|---|
지방 | 경상북도 · 울산광역시 |
도시 | 경주시 · 포항시 |
발원지 | 인내산 |
- 위치 | 경주시 서면 도리 |
하구 | 동해 영일만 |
-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송도동 |
길이 | 61.95 km (38 mi)[1] |
면적 | 1,140.00 km2 (440 sq mi)[1] |
평야는 형산강평야(兄山江平野)라고 부르며, 인구 밀집지역이다. 동해선과 국도 제7호선이 강을 따라 위치하고 있어 교통은 편리하다. 한편 하구에는 포스코의 제철소가 위치하여, 공업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신라 시대에는 수도를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하천 중의 하나였다. 강 주변에는 신라 때의 고분군이나 유적들이 많아, 경주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국가하천이며 그 구간은 경주시 탑동의 대천 합류점부터 하구까지다. 현재까지 발원지가 어디인지의 논란이 많으나 국토교통부에서 발간한 한국하천일람에서 공인한 형산강의 최장 발원지는 '경주시 서면 도리, 인내산'이다.[4]
지리 편집
형산강의 하구인 경상북도 포항시 송도동에 삼각주가 있다. 삼각주에는 대도, 상도, 해도, 죽도, 송도 등 다섯 개의 섬이 있었다. 그러나 1968년 포스코가 들어서면서 유로변경이 이루어지고 복개되었다. 물이 정체된 구하도(동빈내항)의 오염문제가 심각해지자, 포항시에서는 포항운하를 복원하였다.
하천 시설 편집
제1류 편집
형산강의 제1류는 형산강 본류에 직접 닿아 있는 지류들이다.
제2류 편집
형산강의 제2류는 제1류로 흘러 들어가는 지류들이다.
제3류 편집
형산강의 제3류는 제2류로 흘러 들어가는 지류들이다.
- 암곡천
- 야일천
댐, 보 편집
교량 편집
- 명계교
- 노곡2교
- 노곡교 - 국도 제35호선 : 반구대로
- 월산교
- 이조교
- 지방도 제904호선 : 내외로
- 국도 제35호선 : 반구대로
- 형산강교 - 국도 제7호선 : 외현로
- 세월교
- 인천교
- 용장교 - 국도 제35호선 : 반구대로
- 망성교
- 나정교 - 서라벌대로
- 서천교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 : 태종로
- 장군교(舊 서천철교) - 자전거 보행도로
- 동대교 - 동대로
- 금장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 용담로
- 형산강철교 -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 황금대교 - 현재 공사중
- 형산강교 - 국도 제7호선 · 국도 제20호선 : 건포산업로
- 강동대교 - 국도 제7호선 : 산업로
- 국당교 - 천강로
- 국당2교
- 유강대교 - 국도 제31호선 : 영일만대로
- 연일대교 - 연일로
- 섬안철교 - 한국철도공사 괴동선
- 섬안큰다리 - 섬안로
- 포스코대교 - 동해안로
형산강 지구대 편집
형산강 일대에는 지구대(Graben)가 있어 다수의 정단층이 발달한다. 이 구조에 의해 포항시 흥해읍과 그 남쪽의 형산강 지역이 하강하고 그 이북과 이남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하였다. 정단층이 있음을 지층(연일층군)의 두께로 알 수 있는데, 흥해읍 양백리와 바로 옆의 용천리를 잇는 단층을 기준으로 남쪽의 지층이 약 250m 하강하였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가 나 한강홍수통제소 하천정보센터 (2015). 《한국하천일람 2014》 (PDF). 세종: 국토교통부. 164-165쪽. 2019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Korea River Association 강이야기2 River&Culture 형산강 발원지 답사기” (PDF). 이용수 (주)도화종합기술공사 수자원개발부. 2009년 11월 17일.
- ↑ “(네이버지도-경주 인내산)”.
- ↑ 한강홍수통제소 하천정보센터 (2015). 《한국하천일람 2014》 (PDF). 세종: 국토교통부. 787쪽. 2019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포항 및 장기분지에 대한 고지자기, 층서 및 구조 연구; 중력탐사에 의한 홍해 및 형산강지역의 지질구조”.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2년.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형산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