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군의 지질

본 문서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의 지질에 대해 설명한다.

선캄브리아기 편마암으로 구성된 치악산

개요

편집

횡성군은 경기 육괴 중동부에 위치해 있으나 지질은 대부분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남부의 안흥면만이 선캄브리아기 원생대에 형성된 편마암류로 구성되어 있다.[1][2]

선캄브리아기 고원생대의 암석들은 횡성군 남부 치악산과 가까운 지역인 안흥면에 가장 넓게 분포한다. 그 외의 지역(공근면 삼배리 등)에서는 아주 조금만 분포한다. 이중 안흥면에 분포하는 고원생대 변성암류는 광역적인 미그마타이트화 작용과 화강암화 작용을 받은 편마암 복합체와 이들을 관입하는 고기 화강암류로 구분된다. 이 지역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는 편마암 복합체는 퇴적암과 석회암이 다양한 성분의 화강암질 물질의 유입을 수반하는 고도 변성작용에 의해 미그마타이트화 작용 및 화강암화 작용을 받은 암체이다.[1]

치악산 편마암

편집

치악산 편마암(PRcgn; Precambrian chiaksan gneiss)은 횡성군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이다. 이는 남으로는 치악산과 박달령, 동으로는 평창군 방림면 일대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하는 변성 기반암 복합체의 일부이며, 치악산 편마암은 이질(泥質) 및 사질(沙質) 성분의 퇴적암과 석회암이 다양한 성분의 화강암질 물질의 유입을 수반하는 고도 변성작용에 의해 미그마타이트화 작용 및 화강암화 작용을 받아 형성된 준(準)편마암 복합체이다.

치악산 편마암은 대체로 호상구조가 뚜렷한 흑운모편마암과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이 우세하나, 유입된 화강암질 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석영장석질 편마암, 거정질 편마암, 반상질 편마암, 우백질 편마암 등 다양한 암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SHRIMP 저어콘 U-Pb 연대(이하 U-Pb 연대)를 측정한 결과 치악산 편마암의 퇴적시기는 약 2,070∼1,960 Ma, 약 20억 년 전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약 1,860 Ma 시기에 변성작용과 화강암화 작용을 받아 현재의 치악산 편마암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1]

반상 화강편마암

편집

반상 화강편마암(PRpgrgn)은 둔내면 조항리 절고개 일대와 안흥면 상안리 국도 제42호선 도로변 일대에서 2개의 암체로 분포한다. 특히 횡성군 상안임도의 서쪽 끝부분인 오두치에 삿갓봉 하부를 연결하는 임도와 안흥면 상안리 정자골과 마림골 계곡을 따라서 잘 노출되어 있다. 이 암체는 1∼2 cm 크기의 장석 반정을 함유하는 중립질 조직의 우백질 흑운모화강편마암이다. U-Pb 연대측정 결과 약 19억 년 전의 관입연대와 고생대 말기인 3억 700만 년 혹은 2억 5200만 년의 후기 변성작용의 시기를 지시한다.[1][2]

운학 화강암

편집

운학 화강암(PRumpgr; Precambrian unhak granite)은 영월군 수주면 운학리와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일대에 분포하며, 운학리 운학교에서 서원리까지 계곡을 따라서 잘 노출되어 있다. 운학화강암은 직경 1 cm 미만에서 최대 4 cm 크기의 장석 반정을 포함하는 조립질 반상흑운모화강암이며 주로 정장석, 사장석, 석영, 흑운모의 주구성 광물로 구성되고 장석반정의 경계부를 따라 이차 변성 광물로 생각되는 백운모가 흔히 산출된다.

송용선 외(2011)는 운학 화강암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지방도 제411호선 도로변의 부분 용융된 화강편마암질 암석에서 채취된 시료에서 3개의 일치연령 평균인 1988±2 Ma (19억 8800만년)의 U-Pb 연대를 보고하였다.[1][2]

안흥 화강암

편집

안흥 화강암(PRagr; Precambrian anheung granite)은 치악산 편마암과 운학 화강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담회색의 중립질에서 세립질 조직을 보이는 균질한 흑운모 화강암이다. 부분적으로 흑운모의 함량이 적어지는 곳에서는 우백색을 띠기도 한다. 안흥화강암은 안흥면 안흥리를 중심으로 안흥면 송한리 동창교에서, 강림면 강림리 노곡소교까지 주천강과 강림천을 따라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하며, 안흥면 안흥리와 국도 제42호선 도로변의 신지교, 가천리 등에 렌즈 형태로 소규모 분포한다. 특히 이 암체는 치밀, 견고하고 판상의 쪼개짐이 강하여 주천강을 따라 강변에 험한 절벽을 형성하여 원거리에서도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안흥 화강암은 주로 정장석, 사장석, 석영, 흑운모 등으로 구성되고 부분적으로 각섬석을 포함하며, 강한 압쇄작용에 의해 형성된 백운모가 흔히 관찰된다. 역시 고원생대에 관입한 암석이다.[1][2]

횡성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생대의 화강암은 한반도를 북동-남서 방향으로 관입한 거대한 대보 화강암체의 일부이다.

화강섬록암

편집

화강섬록암(Jgd)은 횡성군 횡성읍, 우천면, 둔내면 일대에 넓게 분포한다. 화강섬록암은 한반도 중부 지역에 분포하는 대보 화강암 저반(底盤)의 일부에 속하며, 주로 알칼리장석, 사장석, 석영, 각섬석, 흑운모, 녹염석, 스핀, 인회석, 갈염석, 저어콘 및 불투명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U-Pb 연대측정 결과 약 1억 7천만년 전에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1][2]

중생대

편집

안산암(Kan)은 횡성군 북부 청일면 봉명리와 신대리 북부에 분포하는 안산암류이다. 중생대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다.[3]

 
강원특별자치도 안흥 단층, 당골 단층, 강림 단층, 부곡 단층

횡성군 남부 강림면우천면 일대에는 치악산을 중심으로 발달하는 북서 주향의 일련의 단층들과 북동 주향의 단층들이 발달한다. 이들 주향 이동 단층군은 백악기 변형작용의 산물로 해석된다. 단층은 쥬라기 화강섬록암의 관입 이후에 형성되었으며, 주요 단층으로는 북동 30°방향의 단층군과 안흥 단층으로 대표되는 북서 30°∼40°방향의 단층군이 인지된다.

이들 두 방향의 단층군은 지체 구조적으로 한반도에 형성된 백악기 단층들과 동일한 특성의 주향 이동 단층이며,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단층들이 무리 지어 단층군으로 상호 평행하게 발달되는 것이 특징이다. 우천면 서부에 발달하는 북동 주향의 단층들은 금왕 단층과 평행한 것으로서 금왕 단층의 활동과 연관되어 동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1]

안흥 단층

편집

안흥 단층은 우천면 양적리 우항교에서 국도 제42호선을 따라 오원저수지를 거쳐 안흥면 안흥리 신천교까지 연장된다. 인흥단층의 단층대 노두는 안흥면 가천리 골새재 신설 도로변에서 잘 관찰된다. 단층대는 3 m 이상의 폭으로 단층비지를 포함하는 단층각력암으로 구성된다. 단층각력은 수 십 cm에서 수 cm 까지 다양한 크기이며, 파쇄작용을 강하게 받은 손상대는 5 cm 이하 크기의 각력이 대부분이다.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임이 인지되나 지질도 규모에서 안흥단층을 경계로 암상의 차이가 인지되지 않아 단층운동에 의한 변위량을 측정할 수가 없다. 이는 단층 작용에 의해 형성된 선형구조가 지형적으로 명확해도 안흥단층의 운동에 의한 암체의 변위량은 그리 크지 않았음을 지시한다.[1][2]

당골 단층

편집

당골 단층은 강림면 강림리에서 영월군 무릉도원면 두산리를 지나 제천시 송학면까지 이어지며 제천화강암 내에서 소멸된다. 강림면 강림리에서 당골 단층이 소멸됨에 따라 당골 단층과 동일한 특성의 강림 단층과 부곡 단층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었다.

강림 단층

편집

강림 단층은 원주시 소초면 학곡저수지 인근에서 수리넘어재를 거쳐 강림면 강림리까지 연장된다.

부곡 단층

편집

부곡 단층은 원주시 소초면 신흥동 구룡사 인근에서 큰골, 비로봉 동쪽 고개마루를 거쳐 강림면 부곡리까지 연장된다. 치악산 편마암을 절단하는 강림 단층과 부곡 단층의 궤적을 따라서 험준한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1][2]

광산과 지하자원

편집

횡성군에는 광물이 풍부하지 않으나 갑천 지질도폭에서는 1984년까지 개발된 3개소의 금·은 광산이 보고되어 있다.[3]

청일광산

편집

청일광산(晴日鑛山)은 청일면 춘당리에 소재하며 1985년 10월까지 가행된 광산이다. 본 광산은 금, 은을 주로 생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봉명광산

편집

봉명광산(鳳鳴鑛山)은 청일면 봉명리에 소재하며 발교산(髮校山)에서 남쪽으로 약 1.5 km 떨어진 산중턱에 위치한다. 본 광산은 1984년까지 가행되었으며 현재 품위 저하로 채굴이 중지되었다. 모암은 안산암으로 본 광체는 열극충진(裂隙充塡) 금·은 석영맥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