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기상 현상의 하나
(🌁에서 넘어옴)

안개(Fog)는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어떤 이유로 내려가 이슬점 온도에 도달할 때 포함된 수증기가 크기 1~5μm 크기의 작은 물입자가 되어 공중에 뜬 상태를 말한다. 대기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의 모임 중에서 지표면과 접촉하며 가시거리가 1,000m 이하가 되게 만드는 것이며, 구름과 비슷한 현상이며 일종의 저지대 구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인근의 물, 지형 및 바람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육지에서 발생한 안개를 육무(陸霧), 바다에서 발생한 안개를 해무(海霧)라고 부른다.[1]

중앙고속도로의 안개, 의성군 안평면
안개 낀 도로
샌프란시스코에 낀 안개.
알제리의 부세구프 근처 계곡의 안개
금문교의 아침안개

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 때 형성되며, 흡습성의 작은 입자인 응결핵이 있으면 잘 형성된다. 하층운이 지표면까지 하강하여 생기기도 한다. 안개는 관측자의 입장에 따라 달라져 높은 산 위의 것은 지상에서 관측하면 구름, 산 위에서 관측하면 안개라 한다. 안개는 그 밀도에 따라 짙은 안개 등으로 분류된다. 세계에서 안개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캐나다 뉴펀들랜드섬이다. 캘리포니아, 뉴펀들랜드 등이 1년에 200일 이상 안개가 발생한다.

생성

편집

지상에서 증발된 물은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면서 팽창하여 차가워진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을 포함할 수 있다.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는 응결되어 안개가 된다. 그러다가 기온이 올라가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늘어나면 안개는 사라진다. 특징에 따라 이류안개·전선안개·복사안개·활승안개로 나눈다.

종류

편집

안개는 생성 원리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1][2]

복사 안개

편집

지표면의 복사냉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개이다. 바람이 거의 없고 상대습도가 90% 이상으로 높을 때 복사냉각으로 인해 지표의 온도가 공기의 온도보다 낮아지면 발생한다. 이 안개는 그리 높게 발달하지 않고, 대체로 내륙 지방에 형성되며, 해가 뜨면 기온이 상승해 보통 발생 후 1~2시간 내에 소산된다. 지형적인 영향으로 산간 분지 지역은 복사냉각으로 찬 공기가 경사면을 타고 내려와 안개가 발생하며 이를 땅안개라고도 한다.[2]

이류 안개 (해무)

편집

이류 안개 또는 이류무(異流霧, Advection Fog)는 비교적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고 습한 공기 위를 천천히 지나갈 때 그 밑부분이 냉각되어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형성되는 안개로, 대체로 해안 지방에 형성된다. 해상에서 발생하는 안개는 대부분 이류안개로 이를 연안무(沿岸霧, Coastal Fog) 또는 해무(Marine/Sea Fog)라 한다. 육상 안개보다 두껍고 새벽뿐 아니라 심야나 주간에도 발생할 수 있다.[2]

증발 안개 (증기무)

편집

증발안개 또는 증기안개(蒸發霧, Evaporation Fog)는 이류무(해무)와 반대로 차갑고 건조한 공기 덩어리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면 위를 이동할 때 급격한 증발에 의해 생기는 안개이다. 겨울철 맑은 날 새벽에 호수나 하천 수면에서 올라오는 김이 대표적 예시이다. 여름에도 맑은 날 밤에 복사냉각이 잘 되고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서 냉기의 침강으로 호수나 하천에서 발생할 수 있다.[2]

전선 안개

편집

온난 또는 한랭전선이 통과할 때 발생한다. 전선의 따뜻한 기층에서 내려온 빗방울이 지표면 쪽의 찬 기층으로 증발해서 생기게 된다.

박무(薄霧, 영어: mist)는 대기중 수증기의 응결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안개보다 시정이 좋은 상태를 가리킨다. 대한민국 기상청 기준은 가시거리 1 km 이상 10 km 미만 상태에서 상대습도 70% 이상을 말한다. 70% 이하는 연무라고 한다.

안개로 인한 사고

편집

안개는 시정을 급격하게 떨어뜨려 도로교통, 항공, 선박 사고의 원인이 된다. 2006년 10월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나 2015년 영종대교 연쇄 추돌 사고한국의 안개가 직접 원인이 된 사고였다. 해외에서도 1977년에 일어난 테네리페 공항 참사2024년 바르자칸 헬리콥터 추락 사고의 경우 안개가 사고의 원인 중 하나였다.

한국

편집

안개 관련 작품

편집

미술

편집

음악

편집

예능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땅으로 다가온 구름, ‘안개’”. 《사이언스타임즈》. 2010년 11월 15일. 
  2. 조혜진; 윤수정; 정준화; 윤덕근; 전재연 (2003년). “[국가R&D연구보고서] 안개다발지역의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안개"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