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2018년 AFC U-23 챔피언십의 개최국인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15개 팀을 가리기 위한 예선으로, 2017년 7월 15일부터 23일까지 열린다.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개최국 키르기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팔레스타인
미얀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개최기간2017년 7월 15일 ~ 23일
경기장11개 (10개 도시)
통계
최다 득점이라크 아이멘 후세인
« 2016
2020 »

20개 팀이 5개 조로 나뉘어 각 조 2위 이내 팀, 조 3위 팀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올린 한 팀이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 진출한다.

43개 팀이 5개 팀씩 3개 조, 4개 팀씩 7개 조로 나눠 예선을 치루며 각 조에서 1개 팀 또는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참가팀

편집

시드 배정

편집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서아시아
(A-E조)
  이라크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이란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타지키스탄
  팔레스타인
  바레인
  인도
  키르기스스탄
  레바논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투르크메니스탄
동아시아
(F-J조)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라오스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중화 타이베이
  캄보디아
  싱가포르
  몽골
  홍콩
  필리핀
  브루나이
  마카오

조별 리그

편집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오만 2 2 0 0 7 1 +6 6 본선 진출
2   이란 2 1 0 1 2 3 -1 3
3   키르기스스탄 2 0 0 2 2 7 -5 0
4   스리랑카 0 0 0 0 0 0 0 0 기권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9:00
키르기스스탄   1 – 2   이란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비슈케크
관중: 3,000
심판: 아흐마드 야쿠브 이브라힘 (요르단)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9:00
오만   5 – 1   키르기스스탄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비슈케크
관중: 2,500
심판: Saoud Ali Al-Adba (카타르)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9:00
이란   0 – 2   오만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비슈케크
관중: 1,000
심판: Muhammad Nazmi Nasaruddin (말레이시아)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이라크 3 3 0 0 12 1 +11 9 본선 진출
2   사우디아라비아 3 2 0 1 11 3 +8 6
3   바레인 3 1 0 2 4 5 -1 3
4   아프가니스탄 3 0 0 3 0 18 -18 0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7:55
이라크   8 – 0   아프가니스탄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관중: 500
심판: Sultan Abdulrazzaq Al Marzooqi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20:55
사우디아라비아   3 – 1   바레인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관중: 500
심판: Nagor Amir Noor Mohamed (말레이시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7:55
바레인   1 – 2   이라크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관중: 200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오만)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20:55
아프가니스탄   0 – 8   사우디아라비아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관중: 200
심판: Dmitry Mashentsev (키르기스스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7:55
바레인   2 – 0   아프가니스탄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관중: 70
심판: Sultan Abdulrazzaq Al Marzooqi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20:55
이라크   2 – 0   사우디아라비아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관중: 500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오만)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카타르 3 2 1 0 4 1 +3 7 본선 진출
2   시리아 3 1 2 0 3 1 +2 5
3   인도 3 1 0 2 3 4 -1 3
4   투르크메니스탄 3 0 1 2 1 5 -4 1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7:00
시리아   2 – 0   인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 853
심판: 김희곤 (대한민국)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20:00
카타르   2 – 0   투르크메니스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 1,736
심판: Suhaizi Shukri (말레이시아)
아피프   4′15′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7:00
투르크메니스탄   0 – 0   시리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 780
심판: 니본 로베시 가미니 (스리랑카)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20:00
인도   0 – 1   카타르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 2,768
심판: Chen Hsin-chuan (중화민국)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7:00
인도   3 – 1   투르크메니스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 312
심판: 김희곤 (대한민국)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20:00
카타르   1 – 1   시리아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관중: 1,760
심판: Suhaizi Shukri (말레이시아)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우즈베키스탄 3 3 0 0 7 1 +6 9 본선 진출
2   아랍에미리트 3 2 0 1 6 2 +4 6
3   레바논 3 1 0 2 3 4 -1 3
4   네팔 3 0 0 3 0 9 -9 0
2017년 7월 15일 (2017-07-15)
18:25
아랍에미리트   5 – 0   네팔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 5,423
심판: Jameel Abdulhusin (바레인)
리포트 (AFC)
2017년 7월 15일 (2017-07-15)
21:15
우즈베키스탄   3 – 1   레바논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 50
심판: Takuto Okabe (일본)
리포트 (AFC)

2017년 7월 17일 (2017-07-17)
18:25
네팔   0 – 2   우즈베키스탄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 1,825
심판: 아흐메드 알알리 (요르단)
리포트 (AFC)
2017년 7월 17일 (2017-07-17)
21:15
레바논   0 – 1   아랍에미리트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 570
심판: Mohammed Al-Hoish (사우디아라비아)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8:25
아랍에미리트   0 – 2   우즈베키스탄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 1,250
심판: 아흐메드 알알리 (요르단)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21:15
레바논   2 – 0   네팔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
관중: 1,850
심판: Jameel Abdulhusin (바레인)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팔레스타인 3 2 1 0 8 4 +4 7 본선 진출
2   요르단 3 2 0 1 11 3 +8 6
3   타지키스탄 3 1 1 1 5 5 0 4
4   방글라데시 3 0 0 3 1 13 -12 0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6:30
요르단   7 – 0   방글라데시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관중: 50
심판: 셰르조드 카시모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9:30
타지키스탄   2 – 2   팔레스타인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관중: 700
심판: 마흐무드 살림 사이드 마자라피 (오만)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6:30
방글라데시   1 – 3   타지키스탄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관중: 50
심판: Çarymyrat Kurbanow (투르크메니스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9:30
팔레스타인   3 – 2   요르단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관중: 700
심판: Pranjal Banerjee (인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6:30
요르단   2 – 0   타지키스탄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관중: 50
심판: 셰르조드 카시모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9:30
팔레스타인   3 – 0   방글라데시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관중: 500
심판: Mahmood Salim Said Al-Majarafi (오만)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오스트레일리아 3 3 0 0 12 0 +12 9 본선 진출
2   미얀마 3 2 0 1 5 3 +2 6
3   싱가포르 3 1 0 2 4 10 -6 3
4   브루나이 3 0 0 3 1 9 -8 0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5:00
오스트레일리아   2 – 0   브루나이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관중: 3,000
심판: 야마모토 유다이 (일본)
Blackwood   53′ (페널티)
맥그리   85′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8:00
미얀마   2 – 0   싱가포르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관중: 13,200
심판: Khamis Al-Kuwari (카타르)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5:00
싱가포르   0 – 7   오스트레일리아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관중: 750
심판: Ammar Mahfoodh (바레인)
리포트 (AFC) Mauk   8′
Blackwood   13′18′
Popovic   39′60′
Clut   68′ (페널티)
Sotirio   73′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8:00
브루나이   0 – 3   미얀마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관중: 10,260
심판: 무드 보냐디파르 (이란)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5:00
싱가포르   4 – 1   브루나이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관중: 9,270
심판: 야마모토 유다이 (일본)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8:00
오스트레일리아   3 – 0   미얀마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관중: 30,000
심판: Ammar Mahfoodh (바레인)
Kamau   6′
Aspropotamitis   32′
Sotirio   58′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1 0 14 2 +12 7 본선 진출
2   홍콩 3 1 2 0 6 2 +4 5
3   라오스 3 1 1 1 4 8 -4 4
4   중화 타이베이 3 0 0 3 2 14 -12 0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5:00
라오스   3 – 1   중화 타이베이 릉라도5월1일경기장, 평양
관중: 12,400
심판: Võ Minh Trí (베트남)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8: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1   홍콩 릉라도5월1일경기장, 평양
관중: 14,500
심판: 시바꼰 푸우돔 (태국)
서정혁   63′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5:00
홍콩   1 – 1   라오스 릉라도5월1일경기장, 평양
관중: 12,500
심판: Nguyễn Hiền Triết (베트남)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8:00
중화 타이베이   1 – 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릉라도5월1일경기장, 평양
관중: 13,000
심판: Võ Minh Trí (베트남)
리포트 (AFC) 김유성   4′34′90+3′
리은철   24′
서정혁   37′
김 성-sun   64′
김국철   72′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5:00
중화 타이베이   0 – 4   홍콩 릉라도5월1일경기장, 평양
관중: 13,000
심판: 시바꼰 푸우돔 (태국)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8: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 – 0   라오스 릉라도5월1일경기장, 평양
관중: 14,000
심판: Wang Di (중국)
김국범   5′
서정혁   14′33′
리훈   21′
김유성   56′
전 Se-gye   87′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말레이시아 3 2 0 1 5 3 +2 6 본선 진출
2   태국 3 1 2 0 4 1 +3 5
3   인도네시아 3 1 1 1 7 3 +4 4
4   몽골 3 0 1 2 1 10 -9 1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6:00
인도네시아   0 – 3   말레이시아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관중: 360
심판: 재러드 질릿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20:10
태국   1 – 1   몽골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관중: 1,500
심판: 로완 아루무간 (인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6:00
몽골   0 – 7   인도네시아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관중: 296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일본)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9:00
말레이시아   0 – 3   태국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관중: 3,019
심판: 하산 아크라미 (이란)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6:00
말레이시아   2 – 0   몽골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관중: 669
심판: 재러드 질릿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9:00
태국   0 – 0   인도네시아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관중: 4,400
심판: 로완 아루무간 (인도)
리포트 (AFC)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대한민국 3 2 1 0 12 1 +11 7 본선 진출
2   베트남 3 2 0 1 13 3 +10 6
3   동티모르 3 1 1 1 7 5 +2 4
4   마카오 3 0 0 3 2 25 -23 0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6:00
대한민국   10 – 0   마카오 통녓 경기장, 호찌민
관중: 1,000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우즈베키스탄)
조영욱   10′14′25′55′
황인범   29′
두현석   48′
박성부   53′ (페널티)78′
조성욱   64′
박재우   90+3′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9:00
베트남   4 – 0   동티모르 통녓 경기장, 호찌민
관중: 6,010
심판: Yu Ming-hsun (중화민국)
하득찐   17′
응우옌꽁푸엉   67′71′ (페널티)
응우옌뚜언아인   88′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6:00
동티모르   0 – 0   대한민국 통녓 경기장, 호찌민
관중: 2,500
심판: Khurram Shahzad (파키스탄)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9:00
마카오   1 – 8   베트남 통녓 경기장, 호찌민
관중: 7,000
심판: 마수드 투파예리에 (시리아)
응와켕   64′ 리포트 (AFC) 레타인빈   4′20′
응우옌반또안   7′63′
응우옌꽁푸엉   12′ (페널티)
쯔엉   24′ (페널티)
호앙반카인   26′
응우옌퐁홍주이   49′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6:00
동티모르   7 – 1   마카오 통녓 경기장, 호찌민
관중: 5,500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우즈베키스탄)
윌슨스 다 크루스 마르틴스 엔리케   1′
지헤수스 레이스 나다니엘   23′65′ (페널티)
나학 포르텔라 코넬리스   30′75′ (페널티)
월터 가마 루피노   51′
사르멘투   85′
리포트 (AFC) 로만힌   63′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9:00
대한민국   2 – 1   베트남 통녓 경기장, 호찌민
관중: 18,000
심판: 마수드 투파예리에 (시리아)
이상헌   19′
황인범   41′
리포트 (AFC) 응우옌꽁푸엉   33′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중화인민공화국 3 2 1 0 12 1 +11 7 본선 진출
2   일본 3 2 0 1 13 3 +10 6
3   캄보디아 3 1 1 1 7 5 +2 4
4   필리핀 3 0 0 3 2 25 -23 0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5:30
일본   8 – 0   필리핀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관중: 321
심판: Payam Heidari (이란)
고지   10′
Komatsu   23′29′42′46′
모리시마   31′
Nakasaka   83′
Hiroki   89′
리포트 (AFC)
2017년 7월 19일 (2017-07-19)
18:30
중화인민공화국   0 – 0   캄보디아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관중: 7,326
심판: 김대용 (대한민국)
리포트 (AFC)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5:30
필리핀   0 – 2   중화인민공화국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관중: 4,328
심판: Timur Faizullin (키르기스스탄)
리포트 (AFC) 허차오   15′
Zhang Xiuwei   74′
2017년 7월 21일 (2017-07-21)
18:30
캄보디아   0 – 2   일본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관중: 15,825
심판: Sukhbir Singh (싱가포르)
리포트 (AFC) 엔도   73′
Komatsu   84′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5:30
일본   1 – 2   중화인민공화국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관중: 6,372
심판: Payam Heidari (이란)
엔도   54′ 리포트 (AFC) 웨이스하오   40′
덩한원   45+1′
2017년 7월 23일 (2017-07-23)
18:30
캄보디아   1 – 0   필리핀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관중: 17,282
심판: 김대용 (대한민국)
리포트 (AFC)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편집

2위 팀 중 본선에 올라갈 5개 팀은 다음의 규칙을 따라 결정된다. A조에 속해 있던   스리랑카가 기권을 선언함에 따라 공정성을 위해 각 조 4위 팀과의 결과를 제외하고 순위를 정한다.

  1. 승점
  2. 득실차
  3. 득점
  4. 승리
  5.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경고 : 1점, 3점 :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4점 :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6. 추첨
순위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결과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4위 팀
1 H   태국 2 1 1 0 3 0 +3 4 본선 진출   몽골
2 C   시리아 2 1 1 0 3 1 +2 4 본선 진출   투르크메니스탄
3 I   베트남 2 1 0 1 5 2 +3 3 본선 진출   마카오
4 E   요르단 2 1 0 1 4 3 +1 3 본선 진출   방글라데시
5 J   일본 2 1 0 1 3 2 +1 3 본선 진출   필리핀
6 B   사우디아라비아 2 1 0 1 3 3 0 3 본선 진출   아프가니스탄
7 A   이란 2 1 0 1 2 3 -1 3 지역 예선 탈락 없음
8 F   미얀마 2 1 0 1 2 3 -1 3 지역 예선 탈락   브루나이
9 D   아랍에미리트 2 1 0 1 1 2 -1 3 지역 예선 탈락   네팔
10 G   홍콩 2 0 2 0 2 2 0 2 지역 예선 탈락   중화 타이베이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