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한민족방송
(KBS 한민족 방송에서 넘어옴)
KBS 한민족방송은 한국방송공사가 반공주의 선전을 목적으로 미실시하고 있는 한국어 국제방송으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과 중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 러시아 연해주에 거주하는 한민족이 주 청취 대상이다. 대한민국의 라디오 채널 중 FM방송을 하지 않는 유일한 대한민국 라디오 채널이다.[1]
한자표기 | KBS 韓民族放送 |
---|---|
형태 | 국제방송, 대북방송 |
웹사이트 | http://radio.kbs.co.kr/list01.html?section_id=6565 |
김대중 정부 이후에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이후에 반공주의 방송이 많이 줄어들었으나, 이명박 정부 이후에 남북 관계가 좋지 않게 되면서 2012년 7월 개편으로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3개가 신설하는 등 반공주의 방송이 많이 늘어났다.
방송 내용에는 뉴스, 해설, 보도가 많지만, 음악 프로그램에서는 옛 노래와 대중가요가 많으며 이산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1972년부터 사용된 사회교육방송이란 명칭은 2007년 8월 15일에 한민족방송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0년 이전에는 KBS 제1라디오와 KBS 제3라디오의 대구경북권 중파 송신소(558㎑)에서 당시 KBS 사회교육방송의 새벽시간대 프로그램을 실시간 재송출하던 적이 있었다. 현재에는 일부 프로그램 정도가 KBS 제1라디오, KBS 제3라디오, KBS 클래식FM에서 재방송되고 있다. 2014년 10월 1일 KBS 라디오 앱 '콩 (KBS Kong)'이 출시되어 휴대전화로도 한민족방송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1980년대 중반까지 오전 2시 50분에 '금수산의 밀실'이라는 프로그램이 MBC 라디오에서도 방송된 적이 있다.
연혁편집
로고송편집
- 한민족 네트워크 한민족 하나로 KBS 한민족방송
시보 멘트편집
- 중파 972㎑, 단파 6015㎑. 한민족 네트워크 채널 KBS 한민족 제1방송입니다.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KBS 한민족 제1방송)
- 중파 1170㎑. 대한민국 서울에서 보내드리는 한민족 네트워크 채널 KBS 한민족 제2방송입니다.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KBS 한민족 제2방송)
방송 주파수편집
방송국 | 호출부호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주소 |
---|---|---|---|---|---|
한민족 제1방송 | HLCA | 당진 송신소 | AM 972㎑ | 1500㎾ | 충남 당진시 석문면 삼화리 100 |
화성 송신소 | SW 6015㎑ | 100㎾ | 경기 화성시 마도면 두곡리 113[2] | ||
한민족 제2방송 | HLSR | 김제 송신소 | AM 1170㎑ | 500㎾ | 전북 김제시 신곡동 338-1 |
참고 사항편집
방송 언어편집
방송 프로그램편집
제1방송 (13:00 ~ 09:00)편집
- 매 정시 뉴스 (13,16,18,20시)
- 13:05《안녕하십니까 여기는 서울입니다》(주중 18:05 재방송) - 신성원 아나운서
- 13:10《시대음감》(주말) - 김태훈
- 20:05《한민족 하나로》(월~금 20:05/토,일 20:00) - 강준영 교수 (월~금), 원종배 (토.일)
- 21:00《KBS 뉴스 9 (1TV 수중계)》
- 21:30《정관용의 지금, 이 사람 (1R 수중계)》(평일) - 정관용
- 21:20《스포츠 스포츠 (1R 수중계)》(주말) - 주말 : 이창진 아나운서
- 22:10《통일전망대》(주중) - 김정환 기자
- 22:10《KBS 무대》(일 16:05 재방송)
- 22:10《라디오 문학관》(일)
- 23:00《오늘과 내일》(주중) - 진희관 교수
- 23:00《자유를 찾아 온 사람들》(주말) - 김광진, 최윤경
- 00:00《KBS 제1라디오 24시 뉴스 (1R 수중계)》
- 00:05《통일열차》(주중,토요일) - 서기철 아나운서
- 00:05《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일) - 김석환 교수
- 01:00《5분 여행기, 구석구석 코리아》(08:00,16:05 재방송)
- 01:10《경제로 통일로》(16:10 재방송) - 이인철 소장
- 01:55《서울말 따라잡기》 - 성기영 아나운서
- 02:00《라디오 극장》(17:00 재방송)
- 02:20《이산가족 이야기 나의 살던 고향은》(17:20,22:00,주말 13:00 재방송) - 임수민 아나운서
- 02:30《통일백세》(17:30 재방송) - 성기영 아나운서
- 03:00《팝스 프리덤》 - 박주아 아나운서
- 03:46《와이파이 한국인》(재방송) (1R 재방송)》(주중)
- 04:00《세월따라 노래따라》 - 원석현 아나운서
- 05:00《국악의 향기》(클래식FM 수중계)》(15:00 재방송) - 변우영 아나운서
- 06:00《대한민국 인기가요》(14:00 재방송) - 김희수 아나운서
- 07:00《보고 싶은 얼굴 그리운 목소리》(19:00 재방송) - 이소연
- 08:05《문화 공감》 - 김재원 아나운서
제2방송 (19:00 ~ 13:00)편집
- 23:00《오늘과 내일》(주중) - 진희관 교수
- 23:00《자유를 찾아 온 사람들》(주말) - 김광진, 최윤경
- 00:00《KBS 제1라디오 24시 뉴스 (1R 수중계)》
- 00:05《통일열차》(주중,토요일/10:05 재방송) - 서기철 아나운서
- 01:00《5분 여행기, 구석구석 코리아》(10:00 재방송)
- 01:05《경제로 통일로》 - 이인철 소장
- 01:55《서울말 따라잡기》 - 성기영 아나운서
- 02:00《라디오 극장》
- 02:20《이산가족 이야기 나의 살던 고향은》
- 02:30《통일백세》 - 성기영 아나운서
- 03:00《팝스 프리덤》 - 박주아 아나운서
- 03:46《와이파이 한국인》(주중)
- 04:00《세월따라 노래따라》 - 원석현 아나운서
- 05:00《국악의 향기》 (클래식FM 수중계)》- 변우영 아나운서
- 06:00《대한민국 인기가요》(11:00 재방송) - 김희수 아나운서
- 07:00《보고 싶은 얼굴 그리운 목소리》(12:00 재방송) - 이소연
- 08:05《문화 공감》 - 김재원 아나운서
- 09:00《라디오 극장》
- 09:20《이산가족 이야기 나의 살던 고향은》 - 임수민 아나운서
- 09:30《통일백세》 - 성기영 아나운서
- 10:05《한민족 하나로》(월~금 10:02/토.일 10:00) - 강준영 교수 (월~금), 원종배 (토.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