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
트로트(영어: Trot)는 대한민국의 음악 장르 중 하나로, 정형화된 반복적인 리듬과 펜타토닉 스케일 음계와 한국 민요의 영향을 받은 떠는 창법이 특징인 장르이다. 또한 트로트는 미국의 춤곡인 폭스트로트(영어: Foxtrot)가 트로트의 어원이며, 기존의 동양 전통 음악과 미국, 유럽 국가들의 다양한 음악들이 혼합하여 탄생했다.
역사편집
일제 강점기 까지편집
1922년 ∼ 1930년 사이 《사의 찬미》의 윤심덕을 비롯해 《낙화유수》(김서정 작사/작곡)의 이정숙과 《봄노래 부르자》(김서정 작사/작곡)의 채규엽 및 세동무의 채동원, 그리고 《암로(暗路)》의 김연실 등이 대표적인 가수였다.
1930년대 중후반으로 이르러서는 음반산업과 라디오 방송으로 대표되던 거대 매체가 자리 잡게 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30년대 중후반 트로트의 주류화를 결정한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이나 남인수의 《애수의 소야곡》, 《감격시대》 이래 황금심의 《알뜰한 당신》이나 김정구의 《눈물 젖은 두만강》 등이 있다.
일제가 민족말살정책을 시행하며 친일 가수들의 활동과 함께 엔카 성향을 띤 노래들이 늘어나게 되었지만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은 노래 또한 유지되고 있었다.
광복 이후 ~ 1950년대편집
광복과 함께 전반적으로 왜색 문화를 걷어내기 시작한다.
1947년에 데뷔 한 현인은 《신라의 달밤》을 크게 히트 시켰다. 이후 1950년대까지 활발한 활동을 통해 많은 명곡을 발표하였다.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전쟁 기간 동안 현인의《전우여 잘 자라》, 신세영의《전선야곡》과 같은 전쟁가요가 유행하기도 했지만, 휴전 이후에는 전쟁의 아픔과 실향민의 비애를 그린 현인의 《굳세어라 금순아》, 남인수의 《이별의 부산정거장》과 같은 곡이 유행했다. 특히 1954년에 이해연이 발표 한 《단장의 미아리고개》는 한국 전쟁의 아픔을 깊이 담아 냈다는 평가를 얻어 크게 히트 했다.
한국 전쟁 전후로 월북한 작가들의 작품은 발행금지 조치가 취해지기도 했는데, 작곡가·작사가나 가수의 곡 또한 많은 곡이 발행금지처분 되었다. 대표적으로 박재홍의 《유정 천리》와 같은 곡을 비롯해 많은 곡이 1988년까지 발행되지는 않았으나, 인기를 끌어 노래는 불리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
1957년에는 ‘엘레지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가진 대한의 대표 가수 이미자가 데뷔했으며, 1959년경부터 LP판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고학력의 가수가 등장하여 눈길을 끌기도 하였다.[출처 필요] 또한 트로트는 왈츠, 블루스, 탱고, 맘보, 룸바, 부기우기 등과 더불어 ‘리듬’의 하나로 간주 돼 악보 앞에 씌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시에 발표 된 《늴리리 맘보》, 《비의 탱고》, 《기타 부기》와 같은 곡들은 트로트 리듬을 기초로 하고 있지 않다. 적어도 1950년대까지 트로트를 하나의 형식이나 장르로 보지 않았던 것은 분명하다.
1960년대 ~ 1970년대편집
트로트는 1960년대 이후 하나의 장르로 굳어졌다. 이 장르가 뽕짝이라는 별칭을 얻은 것도 이 무렵이다. 1960년대 중반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트로트와 뽕짝이라는 말이 혼용되고 있었고, 이 가운데 뽕짝은 비하하는 성격이 강해서 점차 트로트라는 말로 대체됐음을 알 수 있다. LP판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트로트는 한층 더 발전되어 갔다. 특히 1959년에 데뷔한 이미자는 1960년대 왕성한 활동을 하는 가수 중 하나로 손꼽히며 이 시기에서 정상으로 올라 트로트의 중심에서 서 있던 가수다. 그리고 최희준, 김상희 등 고학력 가수들이 등장 하면서 학사 출신 가수들이 주목을 받았다. 미8군 무대에서 활동하다가 데뷔한 현미의 《밤안개》가 인기를 끌었다. 또한 1961년은 한명숙이 발표한 《노란 샤쓰의 사나이》가 크게 인기를 끌었으며, 프랑스의 샹송 가수 이베트 지로나 일본의 하마무라 미치코 등이 리메이크하면서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권까지 크게 유행하기도 하였다[1]. 1966년에는 《동숙의 노래》로 데뷔한 문주란이 있었는데 허스키한 목소리가 매력적인 가수로 손꼽혔다.
1967년에는 남진이 부른 《가슴 아프게》가 크게 히트했고, 같은 해에는 그의 라이벌이자 후일 국민가수로 불리는 나훈아가 데뷔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두 명의 신인가수가 등장하였다. 그런가 하면 자매 가수들도 많은 활동을 했는데 《워싱턴 광장》, 《울릉도 트위스트》등을 부른 정씨스터즈를 비롯 해 《남성 금지구역》, 《화진포에서 맺은 사랑》등을 부른 이씨스터즈, 《마포종점》, 《삼천포 아가씨》등을 부른 은방울 자매가 유명하다.
1970년 대에는 신인 가수였던 남진, 나훈아가 라이벌 2인 체제를 이루어 대한민국 가요계를 주름 잡았다. 이 시기에는 통기타 가수, 포크송 가수 등 여러 장르의 가수들이 대거 등장 하였지만 트로트 가수였던 남진, 나훈아의 인기가 더 많았기 때문에 트로트가 아직까지 장악하고 있었다. 특히 남진은 팝 스타일과 빠른 템포의 트로트를 선보였으며 나훈아는 정통 트로트를 주로 노래하였기에 이때부터 트로트는 정통과 정통에서 벗어 나 다양한 음악적 요소로 세분화 되어 가고 있었다. 문주란은 〈공항의 이별〉, 〈공항의 부는 바람〉, 〈공항 대합실〉 등 공항 시리즈가 인기를 얻었다. 1975년에는 송대관이 직접 작사한 《해뜰날》이 많은 사랑을 받아 가수왕에 등극 하기도 하였고 1976년에는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가 크게 히트 하면서 트로트의 영향력을 행사 했다. 1977년에는 그룹사운드 '히식스', '최헌과 검은나비' 등을 결성 해 보컬과 기타리스트로 활동 하던 최헌의 《오동잎》이 후반에 히트 하였고 이성애가 일본에서 데뷔 하면서 트로트를 소개 했다. 이후 조용필이나 김연자, 계은숙 등의 가수가 일본에서 활동 하는 계기가 되었고, 많은 트로트 곡이 히트 하기도 했다.
1980년대편집
1970년대 말에 조용필이라는 대형 가수가 등장 하여 《미워 미워 미워》, 《일편단심 민들레야》 등의 트로트 가요를 히트 시켰다. 이 시기에도 다양한 국내 음악들이 자리 잡고 있었으나 무엇보다 트로트가 주류를 이루었다. 특히 트로트계 여성 가수들이 대거 등장하였는데 김수희, 심수봉, 주현미가 대표적이다.
김수희는 작곡가 출신으로 미8군 부대에서 '블랙켓츠'의 보컬로 활동하여 《남포동 부르스》, 《멍에》, 《잃어버린 정》 등 느린 곡조의 트로트를 히트 시켰고 다양한 창법을 트로트에 접목시키기도 하였다. 1986년에 대한민국의 국민가요이자 응원가로 유명한 《남행열차》로 많은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심수봉은 제2회 대학가요제에서 처음으로 트로트로 출전해 입상 한 계기로 데뷔 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였고 《당신은 누구시길래》, 《무궁화》, 《사랑밖엔 난 몰라》 등 자작곡들을 히트 시켰는데 1984년,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는 2만 여장의 음반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주현미는 약사 출신으로 제 2회 강변가요제로 데뷔 하여 《비내리는 영동교》, 《울면서 후회하네》,《눈물의 부르스》등을 히트 시켜 1988년, 《신사동 그 사람》으로 MBC 10대 가수상, 제18회 KBS 가요대상 대상, 제 3회 골든 디스크 대상을 수상 하였다.
1980년 대 후반에는 트로트의 최고 정점을 찍는 시기였다. 1987년에는 당시 여고생이던 문희옥이 《사투리 디스코 메들리》로 360만 장을 판매하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우면서 데뷔했으며, 1989년에는 당시에 새로운 도시로 떠오르던 남서울 영동을 노래 한 《사랑의 거리》를 발표했다.
문주란이 남편과 아내의 삶을 표현 한 《남자는 여자를 귀찮게 해》를 히트 시키면서 여러 세대층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일본에서 엔카 가수로 크게 성공 한 김연자의 《수은등》, 미8군 부대에서 활동하던 김지애의 《물레야》가 히트 되어 트로트를 활성화 시켜주었다.
문성재는 1982년에 《부산 갈매기》를 불렀고 이 노래는 롯데 자이언츠 야구대표팀의 응원가로 쓰이면서 더욱 히트하였다. 그 해 설운도는 KBS 신인탄생으로 데뷔하였고 데뷔곡 《잃어버린 30년》이 이산가족 찾기 운동의 주제가로 쓰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현철은 1989년에 《봉선화 연정》으로 KBS 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하면서 트로트 황제의 위력을 전국에 전파 시키기도 했다. 그리고 태진아는 임종수가 작곡 한 《옥경이》로 가수로써의 두 번째 데뷔를 하였고 가요차트에서 상위권을 차지 하고 전성기를 맞이 하였다.
1990년대편집
1980년대 말에 미국에서 귀국하여 대성공을 이뤄낸 송대관과 태진아는 트로트 신예로 급상승한 설운도, 오랜 무명시절을 거쳐 인기를 얻은 현철 (가수)과 함께 트로트 사국시대를 형성하여 트로트 음악의 부활을 주도하였다. 그들은 이제까지의 정통 트로트를 고수하는 방식과는 약간의 다른 음악적 요소를 접미 시켜 새로운 방식의 트로트를 대중들에게 선보이기도 하였다. 배일호는 농민 출신의 가수로 《신토불이》를 불러 한국산 농산물을 홍보하는 계기가 되어 한동안 코리아 드림 열풍이 불기도 했다.
한편, 여성 가수들 중에서 서울 시스터즈로 데뷔했던 방실이가 솔로 가수로 전향하여 음반을 낸 《서울탱고》가 가요계 정상권을 차지하며 트로트의 위상을 떨쳤다. 또한 최유나의 《흔적》, 한혜진의 《갈색추억》, 박윤경의 《부초》 등 서정적이고 단조로운 분위기의 트로트들이 주로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에 들어설 무렵 락, 발라드. 댄스 팝, R&B, 힙합이 대한민국 가요계를 주도 하면서 트로트는 상당히 소외되었고 트로트를 고집하던 가수들은 한동안 침체기에 놓이게 되었다. 이 시기에 댄스가수였던 김혜연이 등장하여 기존의 정통 트로트에 여러 음악적 요소를 가미 시킨 세미 트로트를 선보였다. 김혜연은 《서울 대전 대구 부산》으로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열풍" 을 일으켜 젊은 층들을 확보하며 신세대 트로트 가수로 자리 잡았다.
2000년대 이후편집
김혜연이 새로운 세미 트로트를 시도하게 되면서 대부분의 트로트 가수들은 정통 트로트에서 벗어 나 트로트와 여러 장르의 음악을 접목시킨 세미 트로트가 번성하기 시작하면서 트로트의 다변화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트로트 음악은 아직까지 어른들의 노래 (일명: 성인가요), 시대에 뒤떨어진 노래 등으로 인식 되어 중견층들에게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2004년에 장윤정이 데뷔 함과 동시에 《어머나》로 "어머나 열풍" 을 일으키면서 점점 트로트가 신세대들에게 친근감이 느껴지게 되었다. 이 여파로 트로트 음악은 계속 정통이 아니라 퓨전으로 대중에 널리 보급화되었다. 그리고 2005년에 박상철이 발표한 《무조건》은 남성들이 노래방에서 아님 회식 자리 등 여러 행사에서 선곡되는 트로트곡 1위로 자리 잡았다. 2006년에는 박현빈이 《곤드레만드레》로 트로트계 신예로 부상 하면서 이 세 가수는 트로트계 새로운 3인자로 급부상했다. 이들의 탄생으로 많은 젊은 가수들이 트로트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데 윙크, 홍진영, 김수찬, 백수정등 젊은 트로트 가수들이 배출되고 있다.
특히 정통 트로트에 타장르의 음악과 결합시켜 트로트를 재조명하는 음악 프로그램 〈트로트 엑스〉가 2014년에 방송되었으며, 2019년부터 TV조선에서 〈내일은 미스트롯〉(여성)와 〈내일은 미스터트롯〉(남성)을 시즌제 방송하여, 트롯 열풍이 선풍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뿐만 아니라 문화방송의 〈놀면 뭐하니?〉에서도 유재석이 이른바 트로트 가수 '유산슬'로 데뷔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현재 정통 트로트에서 벗어난 세미 트로트가 보급화되고 있다. 하지만 정통 트로트 계보도 이어 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주현미, 문희옥, 김용임, 유지나 등이 있다.
연대별 히트곡편집
1950년대까지편집
- 《사의 찬미》- 윤심덕 (1926년)
- 《낙화 유수》- 이정숙 (1927년)
- 《황성옛터》- 이애리수 (1932년)
- 《목포의 눈물》- 이난영 (1935년)
- 《알뜰한 당신》- 황금심 (1936년)
- 《애수의 소야곡》- 남인수 (1938년)
- 《바다의 교향시》- 김정구 (1938년)
- 《눈물 젖은 두만강》- 김정구 (1938년)
- 《오빠는 풍각쟁이》- 박향림 (1938년)
- 《감격시대》- 남인수 (1939년)
- 《홍도야 우지마라》- 김영춘 (1939년)
- 《나그네 설움》- 백년설 (1940년)
- 《번지없는 주막》- 백년설 (1940년)
- 《선창》- 고운봉 (1941년)
- 《대지의 항구》- 백년설 (1941년)
- 《찔레꽃》- 백난아 (1942년)
- 《목포는 항구다》- 이난영 (1942년)
- 《청춘의 봄》- 김용대 (1947년)
- 《신라의 달밤》- 현인 (1947년)
- 《비 내리는 고모령》- 현인 (1949년)
- 《낭랑 18세》- 백난아 (1949년)
- 《울고넘는 박달재》- 박재홍 (1950년)
- 《서울야곡》- 현인 (1950년)
- 《꿈에 본 내 고향》- 한정무 (1952년)
- 《굳세어라 금순아》- 현인 (1953년)
- 《홍콩 아가씨》- 금사향 (1954년)
- 《이별의 부산 정거장》- 남인수 (1954년)
- 《백마강》- 허민 (1954년)
- 《청춘고백》- 남인수 (1955년)
- 《아리랑 목동》- 박단마 (1955년)
- 《단장의 미아리 고개》- 이해연 (1956년)
- 《백치 아다다》- 나애심 (1956년)
- 《오동동 타령》- 황정자 (1956년)
- 《대전 부르스》- 안정애 (1956년)
- 《닐리리 맘보》- 김정애 (1957년)
- 《처녀 뱃사공》- 황정자 (1958년)
- 《울리는 경부선》- 남인수 (1958년)
- 《유정천리》- 박재홍 (1959년)
- 《열아홉 순정》- 이미자 (1959년)
1960년대편집
- 《무너진 사랑탑》- 남인수 (1960년)
- 《카츄사의 노래》- 송민도 (1960년)
- 《노란 샤쓰의 사나이》- 한명숙 (1961년)
- 《우리 애인은 올드미스》- 최희준 (1961년)
- 《노랫가락 차차차》- 황정자 (1962년)
- 《밤안개》- 현미 (1962년)
- 《잘 있거라 부산항》- 백야성 (1962년)
- 《첫사랑 마도로스》- 남일해 (1963년)
- 《빨간 구두 아가씨》- 남일해(1963년)
- 《아메리칸 마도로스》- 고봉산 (1963년)
- 《동백 아가씨》- 이미자 (1964년)
- 《울산 큰 애기》- 김상희 (1965년)
- 《아빠의 청춘》- 오기택 (1965년)
- 《동숙의 노래》- 문주란 (1965년)
- 《흑산도 아가씨》- 이미자 (1965년)
- 《울어라 열풍아》- 이미자 (1965년)
- 《무작정 좋았어요》- 현미 (1966년)
- 《미워하지 않으리》- 정원 (1966년)
- 《황포돛대》- 이미자 (1966년)
- 《경상도 청년》- 김상희 (1966년)
- 《하숙생》- 최희준 (1966년)
- 《수덕사의 여승》- 송춘희 (1966년)
- 《회전의자》- 김용만 (1966년)
- 《갈대의 순정》- 박일남 (1966년)
- 《섬마을 선생님》- 이미자 (1967년)
- 《그리움은 가슴마다》- 이미자 (1967년)
- 《대머리 총각》- 김상희 (1967년)
- 《가슴 아프게》- 남진 (1967년)
- 《안개 낀 장충단 공원》- 배호 (1967년)
- 《청춘을 돌려다오》- 나훈아 (1967년)
- 《처녀농군》- 최정자 (1968년)
- 《마포종점》- 은방울자매 (1968년)
- 《사랑은 눈물의 씨앗》- 나훈아 (1968년)
- 《아네모네》- 이미자 (1968년)
- 《여자의 일생》- 이미자 (1968년)
- 《기러기 아빠》- 이미자 (1969년)
- 《어머님》- 남진 (1969년)
- 《서산 갯마을》- 조미미 (1969년)
1970년대편집
- 《아씨》- 이미자 (1970년)
- 《선생님》- 조미미 (1970년)
- 《비 내리는 명동거리》- 배호 (1970년)
- 《소양강 처녀》- 김태희 (1970년)
- 《정주고 내가 우네]]》- 김훈 (1970년)
- 《영시의 이별》- 배호 (1971년)
- 《마지막 잎새》- 배호 (1971년)
- 《세월이 약이겠지요》- 송대관 (1971년)
- 《가지마오》- 나훈아 (1971년)
- 《정》- 박일남 (1971년)
- 《바다가 육지라면》- 조미미 (1971년)
- 《먼데서 오신 손님》- 조미미 (1971년)
- 《마음이 고와야지》- 남진 (1971년)
- 《물새 한 마리》- 하춘화 (1971년)
- 《돌아와요 부산항에》- 조용필 (1972년)
- 《낭주골 처녀》- 이미자 (1972년)
- 《단골손님》- 조미미 (1972년)
- 《여로》- 이미자 (1972년)
- 《공항의 이별》- 문주란 (1972년)
- 《젊은 초원》- 남진 (1972년)
- 《님과 함께》- 남진 (1972년)
- 《고향역》- 나훈아 (1972년)
- 《영암 아리랑》- 하춘화 (1972년)
- 《하동포구 아가씨》- 하춘화 (1972년)
- 《고향이 좋아》- 김상진 (1972년)
- 《알고 계세요》- 하춘화 (1973년)
- 《공항 대합실》- 문주란 (1973년)
- 《흙에 살리라》- 홍세민 (1973년)
- 《그대여 변치마오》- 남진 (1973년)
- 《물레방아 도는데》- 나훈아 (1973년)
- 《서귀포를 아시나요》- 조미미 (1973년)
- 《난생 처음》- 하춘화 (1974년)
- 《김포가도》- 남진 (1974년)
- 《나에게 애인이 있다면》- 남진 (1974년)
- 《연락선》- 조미미 (1975년)
- 《각시와 신랑》- 남진 (1975년)
- 《우리 사이》- 하춘화 (1975년)
- 《오동잎》- 최헌 (1975년)
- 《나를 두고 아리랑》- 김훈 (1975년)
- 《해뜰날》- 송대관 (1975년)
- 《너무합니다》- 김수희 (1976년)
- 《앵두》- 최헌 (1977년)
- 《모정》- 이미자 (1977년)
- 《안개 속의 두 그림자》- 함중아 (1977년)
- 《내게도 사랑이》- 함중아 (1977년)
- 《사랑만은 않겠어요》- 윤수일 (1977년)
- 《애정이 꽃피던 시절》- 나훈아 (1977년)
- 《구름나그네》- 최헌 (1977년)
- 《난 정말 몰랐었네》- 최병걸 (1978년)
- 《우연히 정들었네》- 박우철 (1978년)
- 《그 때 그 사람》- 심수봉 (1978년)
- 《타국에 계신 아빠에게》- 현숙 (1979년)
- 《어차피 떠난 사람》- 한민 (1979년)
- 《연안부두》- 김트리오 (1979년)
- 《순아》- 최헌 (1979년)
1980년대편집
- 《[[당신은 누구시길래》- 심수봉 (1980년)
- 《[[대동강 편지》- 나훈아 (1981년)
- 《[[일편단심 민들레야》- 조용필 (1981년)
- 《항구》- 정재은 (1981년)
- 《정거장》- 김수희 (1981년)
- 《진정인가요》- 김연자 (1982년)
- 《부산 갈매기》- 문성재 (1982년)
- 《멍에》- 김수희 (1982년)
- 《빈잔》- 남진 (1982년)
- 《사랑은 나비인가봐》- 현철 (1982년)
- 《울긴 왜 울어》- 나훈아 (1983년)
- 《18세 순이》- 나훈아 (1983년)
- 《미워 미워 미워》- 조용필 (1983년)
- 《잃어버린 30년》- 설운도 (1983년)
- 《[못잊겠어요》- 김수희 (1983년)
- 《잃어버린 정》- 김수희 (1984년)
- 《수은등]]》- 김연자 (1984년)
-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 심수봉 (1984년)
- 《나침반》- 설운도 (1984년)
- 《물레야》- 김지애 (1985년)
- 《허공》 - 조용필 (1985년)
- 《비 내리는 영동교》- 주현미 (1985년)
- 《울면서 후회하네》- 주현미 (1985년)
- 《남행열차》- 김수희 (1986년)
- 《첫차》- 서울시스터즈 (1986년)
- 《첫정》- 주현미 (1986년)
- 《눈물의 부르스》- 주현미 (1986년)
- 《원점》- 설운도 (1986년)
- 《무명초》- 김지애 (1987년)
- 《사랑밖엔 난 몰라》- 심수봉 (1987년)
- 《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 최진희 (1987년)
- 《천방지축》- 문희옥 (1987년)
- 《내 마음 별과 같이》- 현철 (1987년)
- 《무시로》- 나훈아 (1988년)
- 《미워요》- 심수봉 (1988년)
- 《사랑의 자리》- 염수연 (1988년)
- 《신사동 그 사람》- 주현미 (1988년)
- 《봉선화 연정》- 현철 (1988년)
- 《혼자랍니다》- 송대관 (1988년)
- 《미스 고》- 이태호 (1988년)
- [갈무리》- 나훈아 (1989년)
- 《짝사랑》- 주현미 (1989년)
- 《칠갑산》- 주병선 (1989년)
- 《간데요 글쎄》- 이태호 (1989년)
- 《정 때문에》- 송대관 (1989년)
- 《옥경이》- 태진아 (1989년)
- 《미움인지 그리움인지》- 나미 (1989년)
- 《얄미운 사람》- 김지애 (1989년)
- 《사랑의 거리》- 문희옥 (1989년)
- 《미련때문에》- 최진희 (1989년)
1990년대편집
- 《날버린 남자》- 하춘화 (1990년)
- 《잠깐만》- 주현미 (1990년)
- 《몰래한 사랑》- 김지애 (1990년)
- 《서울탱고》- 방실이 (1990년)
- 《거울도 안보는 여자》- 태진아 (1990년)
- 《돌팔매》- 오은주 (1990년)
- 《정에 약한 남자]]》- 고영준 (1990년)
- 《날이 날이 갈수록]]》- 이영화 (1990년)
- 《몇 미터 앞에 두고》- 김상배 (1990년)
- 《당신》- 김정수 (1991년)
- 《여자야》- 유현상 (1991년)
- 《안돼요 안돼》- 김상배 (1991년)
- 《59년 왕십리》- 김흥국 (1991년)
- 《잠깐》- 인순이 (1991년)
- 《서울여자》- 김수희 (1991년)
- 《다함께 차차차》- 설운도 (1991년)
- 《타타타》- 김국환 (1991년)
- 《성은 김이요》- 문희옥 (1991년)
- 《부초]]》- 박윤경 (1991년)
- 《사는게 뭔지》- 이무송 (1992년)
- 《노란 손수건》- 태진아 (1992년)
- 《또 만났네요》- 주현미 (1992년)
- 《여자 여자 여자》- 설운도 (1992년)
- 《찬찬찬》- 편승엽 (1992년)
- 《차표 한장》- 송대관 (1992년)
- 《카스바의 여인》- 윤희상 (1993년)
- 《도로남》- 김명애 (1993년)
- 《세상은 요지경》- 신신애 (1993년)
- 《신토불이》- 배일호 (1993년)
- 《갈색추억》- 한혜진 (1993년)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김혜연 (1994년)
- 《서울 평양 반나절》- 김혜연 (1994년)
- 《삼각관계》- 강진 (1994년)
- 《해변의 첫사랑》- 문희옥 (1994년)
- 《비나리》- 심수봉 (1994년)
- 《낭만에 대하여》- 최백호 (1995년)
- 《장녹수》- 전미경 (1995년)
- 《간 큰 남자》- 김혜연 (1995년)
- 《사랑하는 영자씨》- 현숙 (1995년)
- 《고향이 남쪽이랬지》- 송대관 (1995년)
- 《찰랑찰랑》- 이자연 (1995년)
- 《쌈바의 여인》- 설운도 (1995년)
- 《꽃바람 여인》- 조승구 (1996년)
- 《공주는 외로워》- 김자옥 (1996년)
- 《마지막 연인》- 한혜진 (1996년)
- 《당돌한 여자》- 서주경 (1996년)
- 《예쁜 여우》- 김혜연 (1996년)
- 《요즘 여자 요즘 남자》- 현숙 (1997년)
- 《남자라는 이유로》- 조항조 (1997년)
- 《네 박자》- 송대관 (1998년)
- 《사랑의 이름표》- 현철 (1998년)
- 《장모님》- 배일호 (1998년)
- 《서울의 밤》- 한혜진 (1999년)
- 《꽃을 든 남자》- 최석준 (1999년)
- 《화살을 쏘고 간 남자》- 안다미 (1999년)
- 《해바라기꽃》- 전미경 1999년)
2000년대편집
- 《정열의 꽃》- 김수희 (2000년)
- 《둥지》- 남진 (2000년)
- 《러브레터》- 주현미 (2000년)
- 《사랑은 아무나 하나》- 태진아 (2000년)
- 《혼자 사는 여자》 - 이혜리 (2000년)
- 《외로운 여자》- 조승구 (2000년)
- 《저 하늘 별을 찾아》- 유지나 (2001년)
- 《친구에서 애인으로》- 현숙 (2001년)
- 《잘났어 정말》- 태진아 (2001년)
- 《있을 때 잘해》- 오승근 (2001년)
- 《당신 때문에》- 배일호 (2001년)
- 《자옥아》- 박상철 (2001년)
- 《사랑은 장난이 아니야》- 태진아 (2002년)
- 《사랑의 포로》- 오은주 (2002년)
- 《오빠는 잘 있단다》- 현숙 (2002년)
- 《아미새》- 현철 (2002년)
- 《꽃보다 아름다운 너》- 배일호 (2002년)
- 《떠날 수 없는 당신》- 김상배 (2003년)
- 《정말 좋았네》- 주현미 (2003년)
- 《유행가》- 송대관 (2003년)
- 《빠이 빠이야》- 소명 (2003년)
- 《너는 내 남자》- 한혜진 (2003년)
- 《사랑의 밧줄》- 김용임 (2003년)
- 《유리구두》- 김혜연 (2004년)
- 《춤추는 탬버린》- 현숙 (2004년)
- 《사는 동안》- 이태호 (2004년)
- 《춘자야》- 설운도 (2004년)
- 《어머나》- 장윤정 (2004년)
- 《사랑을 한번 해보고 싶어요》- 하동진 (2004년)
- 《짠짜라》- 장윤정 (2005년)
- 《고장난 벽시계》- 나훈아 (2005년)
- 《우연히》- 우연이 (2005년)
- 《자기야》- 박주희 (2005년)
- 《무조건》- 박상철 (2005년)
- 《어허라 사랑》- 주현미 (2006년)
- 《만약에》- 조항조 (2006년)
- 《별난 사람》- 최유나 (2006년)
- 《아줌마》- 태진아 (2006년)
- 《이따, 이따요》- 장윤정 (2006년)
- 《곤드레 만드레》- 박현빈 (2006년)
- 《사랑에 한 표 던진다》- 현숙 (2007년)
- 《쓰러집니다》- 서주경 (2007년)
- 《소문난 사랑》- 김혜연 (2007년)
- 《황진이》- 박상철 (2007년)
- 《오빠만 믿어]》- 박현빈 (2007년)
- 《깍쟁이》- 백수정 (2007년)
- 《사랑한다》- 주현미,조PD (2008년)
- 《참아주세요》- 김혜연 (2008년)
- 《그대는 내사랑》 - 현숙 (2008년)
- 《샤방샤방》- 박현빈 (2008년)
- 《안동역에서》- 진성 (2008년)
- 《잠자는 공주》- 신유 (2008년)
- 《시계바늘》- 신유 (2008년)
- 《천년지기》- 유진표 (2008년)
- 《딱이야》- 성진우 (2009년)
- 《짜라자짜》- 주현미, 서현 (2009년)
- 《거짓말》- 조항조 (2009년)
- 《사랑의 배터리》- 홍진영 (2009년)
- 《잡지마》- 문연주 (2009년)
- 《고추》- 유지나 (2009년)
- 《일편단심》- 금잔디 (2009년)
2010년대편집
- 《신 사랑 고개》- 금잔디 (2010년)
- 《초혼》- 장윤정 (2010년)
- 《얼쑤》- 윙크 (2010년)
- 《뿐이고》- 박구윤 (2010년)
- 《마지막은 나와 함께》- 김혜연 (2010년)
- 《당신만》- 우연이 (2010년)
- 《바로 내 남자》-백수정 (2011년)
- 《여백》- 주현미 (2011년)
- 《언니가 간다》- 연지후 (2011년)
- 《추억속으로》- 설운도 (2011년)
- 《못난이》- 양양 (2011년)
- 《꽃물》- 신유 (2011년)
- 《오라버니》- 금잔디 (2012년)
- 《행복한 세상》- 지원이 (2012년)
- 《남자의 인생》- 홍원빈 (2012년)
- 《미워도 미워도》- 최유나 (2012년)
- 《미안해 고마워 사랑해》- 소명 (2012년)
- 《내 나이가 어때서》- 오승근 (2012년)
- 《왔구나 왔어》- 장윤정 (2013년)
- 《아모르 파티》 - 김연자(2013년)
- 《이봐요》- 문희옥 (2013년)
- 《고무줄》- 서인아 (2013년)
- 《몰랐네》- 우연이 (2013년)
- 《일소일소 일노일노》- 신유 (2014년)
- 《여여》- 금잔디 (2014년)
- 《청풍명월》- 금잔디 (2014년)
- 《빈깡통》- 박상철 (2014년)
- 《아서라 마서라》- 양용모 (2014년)
- 《산다는 건》- 홍진영 (2014년)
- 《사랑 꽃》- 조항조 (2014년)
- 《당신을 사랑합니다》- 왕소연 (2014년)
- 《천태만상》- 윤수현 (2014년)
- 《숟가락 젓가락》- 박규리 (2014년)
- 《나무꾼》- 박구윤 (2015년)
- 《인생팁》- 현숙 (2015년)
- 《진진자라》- 태진아 (2015년)
- 《반창고》- 장윤정 (2015년)
- 《아이참》- 유민지 (2015년)
- 《떨려 떨려》- 권민정 (2015년)
- 《꿀이다》- 장미 (2015년)
- 《곁에 있어도》- 정해진 (2015년)
- 《여자랍니다》- 박규리 (2015년)
- 《거울아》- 한영 (2016년)
- 《엄지 척》- 홍진영 (2016년)
- 《꽃씨》- 태진아 (2016년)
- 《며느리》- 강수빈 (2016년)
- 《누나가 딱이야》- 영탁 (2016년)
- 《왜 가니》- 박주희 (2016년)
- 《먹물 같은 사랑》- 김유라 (2016년)
- 《이제서야》- 지원이 (2016년)
- 《서울가 살자》- 금잔디 (2016년)
- 《아저씨 넘버원》- 금잔디 (2016년)
- 《엄마의 노래》- 금잔디 (2016년)
- 《하트하트》- 조은새 (2016년)
- 《그 남자》- 우연이 (2016년)
- 《별들에게 물었죠》- 김다나 (2016년)
- 《쏟아집니다》- 김가현 (2017년)
- 《거기까지만》- 송가인 (2017년)
- 《앞뒤로》 - 서인아 (2017년)
- 《왕자님》- 금잔디 (2017년)
- 《이별없는 부산정거장》- 현숙 (2017년)
- 《단 둘이야》- 강소리 (2017년)
- 《응답하라 내사랑》 - 유하은 (2017년)
- 《심지 곧은 사람》- 정해진 (2017년)
- 《니까짓게 뭔데》- 지원이 (2017년)
- 《묻지 말고 해요》- 소유미 (2017년)
- 《하얀미소》- 성진우 (2017년)
- 《한평만》- 현상 (2017년)
- 《여정》- 주현미 (2018년)
- 《제주도 사랑》- 백수정 (2018년)
- 《여기서》- 서지오 (2018년)
- 《위하여》- 조항조 (2018년)
- 《잘가라》- 홍진영 (2018년)
- 《사랑이 뭐길래》- 김가현 (2018년)
- 《초생달》- 김소유 (2018년)
- 《세월은 세월대로》- 강수빈 (2018년)
- 《사랑의 계산기》- 정해진 (2018년)
- 《있어도 없어도》- 김유라 (2018년)
- 《오늘밤》- 김민채 (2018년)
- 《사랑엔 답이없네요》- 태진아 (2018년)
- 《니가 왜 거기서 나와》- 영탁 (2018년)
- 《아리아리》- 진달래 (2018년)
- 《날 울린 당신》- 현상 (2018년)
- 《사랑의 해결사》- 김수찬 (2019년)
- 《사랑탑》- 금잔디 (2019년)
- 《김치볶음밥》- 현숙 (2019년)
- 《꿈길》- 요요미 (2019년)
- 《주마등》- 윤태화 (2019년)
- 《달빛연가》- 한담희 (2019년)
- 《목포행 완행열차》- 장윤정 (2019년)
- 《세월아》- 장윤정 (2019년)
- 《사랑, 참》- 장윤정 (2019년)
- 《손가락 하트》- 노지훈 (2019년)
- 《무명배우》- 송가인 (2019년)
- 《라밤바》- 정미애 (2019년)
- 《여기요》- 홍자 (2019년)
- 《찍어》- 송가인 (2019년)
- 《엄마 아리랑》- 송가인 (2019년)
- 《아잉아잉》- 방초록 (2019년)
- 《사랑의 재개발》- 유산슬 (2019년)
- 《합정역 5번 출구》- 유산슬 (2019년)
- 《남은 인생》- 현상 (2019년)
2020년대편집
- 《시치미》 - 금잔디 (2020년)
- 《길》- 우연이 (2020년)
- 《긴가 민가》- 이지혜 (2020년)
- 《사랑..하시렵니까?》- 전유진 (2020년)
- 《이제 나만 믿어요》- 임영웅 (2020년)
- 《사랑은 꽃잎처럼》- 홍진영 (2020년)
- 《찐이야》- 영탁 (2020년)
- 《남자의 일생》- 백수정 (2020년)
- 《마시던 커피로 주세요》- 강수빈 (2020년)
- 《운명에게》- 장윤정 (2020년)
- 《고향가는 기차를 타고》- 태진아 (2020년)
- 《예쁨주의보》- 두리 (2020년)
- 《소양강 봄바람》 - 금잔디 (2020년)
- 《여인의 눈물》 - 주현미 (2020년)
- 《세 번의 사랑》- 주현미 (2020년)
- 《아무 일 없었듯이》- 백수정 (2020년)
- 《알랑가몰라》- 소유미 (2020년)
- 《그대와》- 소유미 (2020년)
- 《밥 한번 먹어요》- 신유 (2020년)
- 《좋은 당신》- 장윤정 (2020년)
- 《돌아오지 마세요》- 주현미 (2020년)
- 《상심》- 주현미 (2020년)
- 《길》- 주현미 (2020년)
- 《금동아 은동아》- 주현미 (2020년)
- 《바람이 되어》- 주현미 (2020년)
- 《동해 울릉도》- 윤수현 (2020년)
- 《남남으로》 - 신유 (2020년)
- 《그 여자, 그 남자》- 주현미 (2020년)
- 《천일홍》- 주현미 (2020년)
- 《트로트가 나는 좋아요》- 송가인 (2020년)
- 《사랑만 해도 모자라》- 김수찬 & 주현미 (2021년)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박성서의 7080가요 X파일〉佛 샹송가수, 한국가요 부르다, 서울신문, 2007년 2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