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 (육조)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
(공조 (행정기관)에서 넘어옴)

공조(工曹)는 고려조선의 중앙 행정 기관이었다.

공조(工曺)는 고려 성종 이전에는 공관(工官)이라는 명칭을 쓰다가 고려 성종 이후에 공부(工部)라는 명칭을 썼다. 그러나 원 간섭기 초엽 원종 14년(1273년)에 잠시 혁파되었다가, 충숙왕 11년(1324년)에 공조(工曺)로 다시 환원되었지만 이듬해(1325년)에 곧 또 다시 혁파되었다. 하지만 공민왕 5년(1356년)이던 때에 다시 공부(工部)로 환원되었고, 그 뒤 공민왕 8년(1359년)에 전공사(典工司)를 거쳐, 공민왕 14년(1365년)에 다시 공부(工部)가 되었다가, 공민왕 17년(1368년)에 또 다시 전공사(典工司)로 환원되었다. 이후 공양왕 1년(1390년)에, 그 때 비로소 공조(工曺)라는 명칭으로 바뀐다. 육조 가운데 국가의 토목 공사, 공예품과 도량형의 제작, 산림과 농업 관리, 소택 관리, 교통 업무 등을 관장하였다.

갑오개혁이 실시된 고종 31년(1894년)에 공무아문(工務衙門)과 농상아문(農商衙門)으로 기능이 분리되었다가 이듬해(1895년)에 농상공부(農商工府)로 합쳐졌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시절에는 농상공부가 조선시대와 대한제국의 공조의 업무를 이어받았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노동국, 교통부, 선전부가 그 기능을 이어받았다. 갑오개혁이 실시된 고종31년인 1894년에 공무아문과 농상아문으로 기능이 분리되었다가 이듬해에 농상공부로 합쳐졌다.[1]

고대 주나라에서 대사공(大司空)으로 불렀다하여 옛스럽게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동관(冬官), 수부(水府), 예작(例作), 수례(修例), 전공(典工)이라고도 한다. 공자가 53세에 대사공 등을 지내다가 이듬해 54세 되던 해에 대사구[2] 지위로 자리를 옮겼다는 기록이 있다.

청사

편집

공조 청사는 경복궁 광화문 앞 세종대로의 서편에 있었으며,[3] 판서, 참판, 참의의 세 당상관이 근무하던 당상대청, 정랑과 좌랑이 근무하던 낭청대청 등의 건물이 존재하였다.

관직

편집
품계 관직 정원 비고
정2품 판서 1명
종2품 참판 1명
정3품 참의 1명
정5품 정랑 3명
정6품 좌랑 3명

역대 공조의 당상관들

편집

역대 공조판서

편집
공조전서
편집
태조
편집
정종
편집
  • 유한우
태종
편집
공조판서
편집
태종
편집
세종
편집
문종
편집
단종
편집
세조
편집
예종
편집
성종
편집
연산군
편집
중종
편집
인종
편집
명종
편집
선조
편집
광해군
편집
인조
편집
효종
편집
현종
편집
숙종
편집
경종
편집
영조
편집
정조
편집

역대 공조참판

편집

역대 공조참의

편집

속아문

편집

공조에서 관장하는 속아문(屬衙門, 하급 관청)은 아래와 같다.

각주

편집
  1. 해방 이후 미군정 체제에서는 미군정 광공국과 농상국, 교통국을 거쳐서 미군정 운수부, 농림부가 그 기능을 이어받았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 정부에서는 교통부, 상공부, 체신부, 농림부가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가 이승만 정부 후반기에 부흥부가 추가되면서 교통부, 부흥부, 상공부, 체신부, 농림부가 계속 그 기능을 이어받았다. 이는 장면 정부에서도 이어지다가 5.16 군사정변으로 들어선 군정에서 부흥부를 건설부로 바꾸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체신부, 농림부가 계속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 이는 박정희 정부 첫번째 임기까지 이어지다가 박정희 정부가 두 번째 임기 들어서면서 과학기술처를 신설하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림부가 그 기능을 계속해서 이어받는다. 그러다가 삼선개헌 이후 박정희 정부에 의해 국토통일원이 설치되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림부, 국토통일원이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는다. 이는 유신 직후까지 이어지다가 유신 초반기에 농림부가 농수산부로 바뀌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수산부, 국토통일원이 계속 그 기능을 이어받았다. 그러다가 유신정권 후반기에 동력자원부가 설치되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동력자원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수산부, 국토통일원이 계속해서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았고 이후 12.12 쿠데타로 들어선 전두환 정부 때는 노동청이 노동부로 승격되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동력자원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수산부, 국토통일원, 노동부가 계속 그 기능을 이어받았다. 그 뒤 전두환 정권 후반기에 농수산부가 농림수산부로 개칭되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동력자원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림수산부, 국토통일원, 노동부 등이 계속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 이는 민주화 이후 노태우 정부 초반기에도 이어지다가 노태우 정부 중반기에 환경처를 신설하고 국토통일원을 통일원으로 개칭하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부, 동력자원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림수산부, 통일원, 환경처, 노동부가 계속 그 기능을 이어받았고 김영삼 정부 때 상공부와 동력자원부가 상공자원부로 통합되면서 교통부, 건설부, 상공자원부, 체신부, 과학기술처, 농림수산부, 통일원, 환경처, 노동부가 그 기능을 계속 이어받았다가 그 뒤에 교통부와 건설부가 합쳐져서 건설교통부로 바뀌고 상공자원부가 통상산업부로 바뀌고 환경처가 환경부로 바뀌고 체신부가 정보통신부로 바뀌면서 건설교통부, 통상산업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처, 농림수산부, 통일원, 환경부, 노동부가 계속해서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는다. 그러다가 김영삼 정부 후반기에 농림수산부가 농림부로 바뀌고 수산청이 해양수산부로 신설승격되면서 건설교통부, 통상산업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처, 농림부, 해양수산부, 통일원, 환경처, 노동부가 그 기능을 계속 이어받는다. 그 뒤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통상산업부가 산업자원부로 바뀌고 과학기술처가 과학기술부로 바뀌고 통일원이 통일부로 바뀌면서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농림부, 해양수산부, 통일부, 환경부, 노동부가 계속해서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는다. 이는 노무현 정부 때도 계속 이어지다가 이명박 정부 때 다시 바뀌었는데 건설교통부가 국토해양부로, 농림부가 농림수산식품부로, 산업자원부가 지식경제부로 바뀌고, 정보통신부가 곳곳에 업무가 이관되고, 과학기술부가 교육부와 합작하여 예조 분야로 일부 넘어가면서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농림수산식품부, 통일부, 환경부, 노동부가 계속해서 그 기능을 이어받는다. 그러다가 이명박 정부 중반기에 노동부가 고용노동부로 바뀌면서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농림수산식품부, 통일부, 환경부, 고용노동부가 계속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을 이어받았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에는 해양수산부가 부활하고 농림수산식품부가 농림축산식품부로 바뀌고 지식경제부가 산업통상자원부로 바뀌고 과학기술 분야가 미래창조과학부로 넘어오고 국토해양부가 국토교통부로 바뀌면서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농림축산식품부, 통일부, 환경부, 고용노동부가 그 기능을 이어받았다. 문재인 정부 때는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바뀌고 중소기업청이 승격되어 중소벤처기업부가 신설되면서 조선시대 공조의 기능은 계속해서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통일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이어받아서 오늘날에는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통일부 등 기관이 공조의 기관을 수행하고 있다.
  2. 지금의 대한민국으로 짚어보면, 현재 법무부 장관 직에 해당.
  3. 현재 주소 체계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81-3번지의 세종문화회관 남쪽 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