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리
벼과의 두해살이풀
귀리는 벼과의 두해살이풀로 학명은 Avena sativa이다.
![]() | ||||||||||||||||||||||||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Avena sativa L. 1753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628 kJ (389 kcal) |
66.3 g | |
식이 섬유 | 11.6 g |
6.9 g | |
포화지방 | 1.21 g |
단일불포화지방 | 2.18 g |
다불포화지방 | 2.54 g |
16.9 g | |
비타민 | 함량 %DV† |
티아민 (B1) | 66% 0.763 mg |
리보플라빈 (B2) | 12% 0.139 mg |
나이아신 (B3) | 6% 0.961 mg |
판토테산 (B5) | 27% 1.349 mg |
비타민 B6 | 9% 0.12 mg |
엽산 (B9) | 14% 56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5% 54 mg |
철분 | 38% 5 mg |
마그네슘 | 50% 177 mg |
망간 | 233% 4.9 mg |
인 | 75% 523 mg |
칼륨 | 9% 429 mg |
나트륨 | 0% 2 mg |
아연 | 42% 4 mg |
기타 성분 | 함량 |
β-glucans (soluble fiber) [1] | 4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
분포편집
재배종인 귀리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지역이며 한국에는 고려시대부터 재배하기 시작했다.
특징편집
밑부분에서 뭉쳐나며 높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거의 털이 없으나 마디에는 아래로 향한 털이 있다. 잎은 길이 15-30cm, 너비 6-12mm로 밀보다 너비가 좀 넓고 짙은 녹색이다. 잎집은 길고 잎혀는 짧으며 잘게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로 길이 20-30cm이다. 작은이삭은 대가 있고 녹색이며 2개의 작은 꽃이 들어 있고 밑으로 처진다. 꽃의 구조는 다른 맥류와 비슷하나 까락(芒)이 외영의 등에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용편집
녹말을 포함한 식용식물로, 온대지방에서 널리 심는다. 귀리는 주로 가축의 사료로 쓰이지만, 껍질을 벗기고 납작하게 눌러서, 오트밀이나 쿠키 등을 만들어 먹는다.
효능편집
수용성 식이섬유소인 ' 베타글루칸 '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효과적으로 낮춰 동맥경화·고혈압 등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데 탁월하며, 현미의 4배나 많은 칼슘을 함유 있다. 폴리페놀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적이다.[2]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Oat and barley ß-glucans” (PDF).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Government of Canada. 2008년 8월 1일. 2019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공감신문 알쓸다정] ‘귀리 효능’과 효과만점 ‘귀리우유 다이어트’ 방법”. 《공감신문》. 2018년 6월 26일. 2018년 11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