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1954년)
김병준(金秉準, 1954년 3월 26일~)은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출신 정치인이다. 국민대 교수로 재직하던 중 제49대 교육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논문 표절 논란으로 13일 만에 사퇴하였다. 본관은 의성이며 경상북도 고령 출생이다.
김병준
| |
---|---|
대한민국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
임기 | 2006년 7월 21일~2006년 8월 7일 |
대통령 | 노무현 |
총리 | 한명숙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54년 3월 26일 | (69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고령군 |
학력 | 델라웨어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
경력 | 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2001년 1월 6일~2002년 2월 15일)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2018년 7월 17일~2019년 2월 27일) 자유한국당 당무위원(한국당 복당) 미래통합당 당무위원 |
정당 | 국민의힘 |
본관 | 의성 |
종교 | 불교 |
생애편집
1986년부터 국민대학교 행정정책학부 교수였다.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역임하고, 2006년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도 임명됐지만 한나라당에서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하여 취임 13일 만에 사퇴하였다. 박근혜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내정되었으나,[1] 실제로 임명되지는 않았다.
자유한국당은 2018년 7월 17일 김병준 신임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을 공식 추대했으며, 이날 전국위원회를 열고 김 위원장 추대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2] 김 비대위원장은 인적청산보다 가치와 비전 정립이 먼저임을 강조하였다.[3] 또한 "박정희 시대처럼 국가기획주의에 입각해 기업을 간섭하는 국가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한국당에) 따라올 수 없는 것이다."면서 시장자유 확대를 강조하였고, 문재인 정부를 향해서도 국가주의라고 비판하였다.[4] 문재인 정부에서 '먹방'을 규제하겠다고 하자 다시 국가주의적이라고 비판하였다.[5]
학력편집
경력편집
- 1986년 3월~2018년 3월: 국민대학교 행정정책학부 교수
- 1995년~2002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지방자치특별위원회 위원장
- 2001년 3월~2002년 2월: 전국사립대교수협의회연합 공동회장
- 2001년 3월~2002년 2월: 국민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
- 2002년 3월~2004년 2월: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
- 2002년 5월~2002년 12월: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 정책자문단 단장
- 2002년 12월~2003년 2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분과위원회 간사위원
- 2003년 4월~2006년 5월: 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 2004년 6월~2006년 5월: 대통령비서실 정책국장
- 2006년 7월~2006년 8월: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2006년 10월~2008년 2월: 대통령정책특별보좌관 겸 대통령자문(청와대) 정책기획위원장
- 2008년 2월: 사단법인 공공경영연구원 이사장
- 2008년 7월~2010년 2월: 제2대 이투데이 회장
- 2009년 7월~: 사단법인 사회디자인연구소 이사장
-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와중에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본인이 공식적으로 승낙하였으나 국회에서 인준되지 않은 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가 이뤄지면서 내정자 신분이 소멸해 자연히 낙마하였다.[6][7]
- 2018년 3월~: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명예교수
- 2018년 7월~2019년 2월: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 2020년 3월~2020년 4월: 미래통합당 4·15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중부권역 선대위원장
- 미래통합당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을 당협위원장
- 2020년 7월~2020년 9월: 미래통합당 세종시당 위원장
- 2020년 9월~2021년 7월: 국민의힘 세종시당 위원장
- 2020년 9월: 국민의힘 세종을 당협위원장
- 2021년 3월~2021년 4월: 국민의힘 4·7 재보궐선거 서울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본부장
- 2021년 11월~2022년 1월: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상임선대위원장
- 2022년 3월~2022년 5월: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 2022년 12월~: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상임고문
- 2023년 2월~: 제11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
- 2023년 2월~: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 겸 미래발전위원장
논란편집
- 2006년 당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으로 지명된 후, 청문회에서 두 딸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명문고들인 대원외고와 대일외고에 각각 편법으로 편입했다는 의혹도 제기받아[8] 정운찬 전 서울대학교 총장과 김대용 전 대일외고 교감 등이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2020년 | 총선 | 21대 | 국회의원 | 세종특별자치시 을 | 미래통합당 | 31,495 표 |
|
2위 | 낙선 |
각주편집
- ↑ 김병준 "국정붕괴 보고있기 힘들어…헌법상 권한 100% 행사할 것" 조선일보 2016년 11월 3일
- ↑ “김병준 "계파·진영논리와 싸우다 죽겠다"”. 《조선일보》. 2018년 7월 18일.
- ↑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김병준 "한국당, 인적청산보다 가치·비전 먼저 볼 것"”. 《SBS NEWS》. 2018년 7월 26일.
- ↑ 세계일보 (2018년 7월 26일). “[세계초대석] 김병준 “박정희식 국가 개입에 동의하는 사람은 같이 갈 수 없다””.
- ↑ 이한승 (2018년 7월 30일). “김병준 "조선 시대도 아닌데…먹방 규제는 국가주의적"”. 《연합뉴스》.
- ↑ 이한승 (2016년 12월 8일). “김병준 총리 내정자, 38일만에 자연인으로 돌아가나”. 《연합뉴스》.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정윤섭,이한승 (2016년 12월 11일). “김병준 "현 내각에 힘 실어줘야…내각도 일대 전환 필요"”. 《연합뉴스》.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최창봉 (2006년 7월 5일). “金교육 내정자 두딸 外高편법 입학”. 《동아일보》. 2016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이재현 (2018년 7월 18일). “김병준 골프 접대 논란…경찰,김영란법 관련 3가지 쟁점 수사 중”. 《연합뉴스》.
- ↑ NEWSIS. “한국당, '자격논란' 김대준 비대위원 사의표명”.
전임 박봉흠 |
제3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04년 6월 14일~2006년 5월 31일 |
후임 권오규 |
전임 김진표 |
제49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2006년 7월 21일~2006년 8월 7일 |
후임 (직무대행)이종서 |
전임 김성태(대표권한대행) |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2018년 7월 17일~2019년 2월 27일 |
후임 황교안 |
전임 허창수 |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 2023년~ |